쾌락 적응: 불만족이 계속되는 이유
누구나 쾌락 적응을 경험한다. 감정에 너무 빨리 익숙해져서 더 이상 강렬하지 않다. 쾌락 적응 과정은 행복의 정도와 지속 시간이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또한 뇌가 다양한 사건에 반응하는 방식 또는 의제를 구성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쾌락 적응은 좋아했던 음식에 질리는 것과 비슷하다. 승진, 상사의 칭찬 등을 기뻐하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처럼 오랫동안 갈망했던 것도 갖고 나면 흥미를 잃게 된다.
그렇다면 쾌락 적응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더 읽어보기: 유머의 다섯 가지 기능 알아보기
쾌락 적응 정의
쾌락 적응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사건에 빠르게 적응하는 심리적 현상이다. 결과적으로 쾌락이나 고통을 받지 않는다. 다시 말해, 쾌락 적응은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사건에 익숙해지게 한다.
이 적응은 비교적 빨리 일어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큰 기쁨이 가벼운 행복으로 변하기도 한다.
쾌락 적응이 일어나는 이유에 관한 몇 가지 이론이 있다. 가장 호응을 얻고 있는 이론은 어려운 삶의 사건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진화적 적응이라는 것이다.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경험에 적응할 수 없다면 아마도 인간은 너무 압도되어 기능을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쾌락 적응은 슬픔이나 상실에 직면했을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반면에 긍정적인 기분을 조장하거나 유발하는 사건이 발생한 후에는 긍정적인 기분이 사라지는 경향이 있다. 쾌락 적응은 복권에 당첨된 사람들에게서 흔히 보인다.
복권에 당첨되자마자는 큰 기쁨을 느끼지만 곧 덤덤해지고 좀 더 큰 것을 바라게 된다.
쾌락 적응: 삶의 원동력으로서의 불만
그리고 불만이 커지기 시작한다. 인간은 마음속에 일종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전에 만족했던 목표에 도달하면 더 이상 만족감을 느끼지 못한다.
쾌락 적응에 직면하면 환경이나 관점을 바꾸려고 할 수 있다. 복권에 당첨되면 물질적 필요에 대한 만족에 빠져서 몇 년간 즐길 수 있다.
스트리밍 플랫폼이 존재하기 전에 시리즈를 시청하는 방식은 때때로 짜증이 났을 수도 있지만 정신 건강에 더 좋았다. 시리즈는 지루하거나 질리는 데 오래 걸리고 억지로 즐기는 시간까지 늘어난다. 사실 광고도 쾌락 적응의 좋은 척도다.
어린 시절, 슈퍼에서 사탕을 한 아름 안고 나오는 상상을 한 적이 있는가? 나중에 주머니가 넉넉해졌을 때 그만큼 사탕을 산 적이 있는가? 그런 적이 있다면 몇 번이나 해봤는가? 또 연속으로 한 적이 있는가?
더 읽어보기: 허기로 표현될 수 있는 애정 결핍
행복과 쾌락적 기준선
1978년, 브릭먼과 연구진이 Helson의 적응 수준 이론 내에서 쾌락적 쾌락을 이해하기 시작했을 때도 상대적 행복의 개념은 이미 존재했다. 이 이론은 자극의 지각이 이전 자극의 비교에 달려 있다고 제안한다. 어떤 사건이나 요소를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은 이전 사건과 관련이 많다는 의미다.
더 맛있는 음식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맛있는 요리도 먹다 보면 질리게 된다. 쾌락 적응은 자극을 노출하는 사건에 좌우된다.
‘쾌락 적응, 웰빙 적응 이론( Diener, Lucas & Scollon, 2006)’은 쾌락적으로 중립적일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 사실, 브릭먼과 캠벨은 ‘쾌락 상대주의와 건전한 사회 계획(1971)’에서 인간에게는 행복에 대한 ‘기준점’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기준점은 유전자와 환경이 좌우한다고 한다. 고정 소수점 이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삶의 변화에 적응한다는 것을 발견한 후속 연구로 뒷받침되었다.
기준선의 복잡성
무슨 일이 있든 되돌아가려는 성향의 기준선이 있고 자기 삶에 만족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만족(행복) 앞에서 인간은 다양한 사건에 의해 변한다.
이 문제는 기준선이 여러 개일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하다. 일반적인 삶과 현재 삶에 대한 만족도 기준선이 각각 다를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iener E, Lucas RE, Scollon CN. Beyond the hedonic treadmill: revising the adaptation theory of well-being. Am Psychol. 2006 May-Jun;61(4):305-14. doi: 10.1037/0003-066X.61.4.305. PMID: 16719675.
- Brickman, P., & Campbell, D. T. (1971). Hedonic relativism and planning the good society. In M. H. Appley (Ed.), Adaptation-level theory (pp. 287-305). New York: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