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신, 포세이돈 신화

포세이돈 신화는 모든 지중해 민족의 근본적인 신인 바다의 신에 관한 것이다. 포세이돈은 크로노스를 몰아내고 유명한 올림포스를 만들었다.
바다의 신, 포세이돈 신화
Sergio De Dios González

검토 및 승인: 심리학자 Sergio De Dios González.

작성자: Edith Sánchez

마지막 업데이트: 03 10월, 2023

포세이돈 이야기는 가장 중요한 고대 그리스 신화다. 당시 최고의 신, 크로노스가 지휘하는 티탄족을 올림피아의 신들이 어떻게 물리쳤는지를 알려주는 신화로  승리 후 새로운 올림피아 신들이 세상을 지배했다. 제우스는 하늘을, 지하 세계는 하데스가, 포세이돈은 물을 얻었다.

그리스인들은 지구가 ‘원시적 물’에 떠 있다고 생각했다. 같은 이유로 포세이돈 신화는 이 신이 텔루르 흐름을 다스렸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는 또한 말과 황소뿐만 아니라 특정 정신 장애와 관련이 있다.

바다의 신은 그리스 신화의 다양한 에피소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실제로 그는 아테네 건국에 참석했으며 유명한 트로이 전쟁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포세이돈의 신화는 오디세우스가 그의 사랑하는 페넬로페를 만나기 위해 그의 땅으로 돌아가는 데 오랜 세월을 보낸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노인이나 책의 설화보다 더 놀라운 것은 바다의 비밀 설화다.”

-HP 러브크래프트-

더 읽어보기: 불사조의 신화: 회복력의 놀라운 힘

포세이돈 올림푸스

포세이돈 신화

올림포스의 신들이 나타나기 전에 크로노스가 통치했다. 크로노스는 아들 중 한 명이 그를 폐위시킬 것이라고 신탁을 받고 아들이 태어날 때마다 삼켜버렸다. 그러나 미래의 바다의 신은 그의 어머니, 레아의 계략에 의해 목숨을 건졌다.

레아는아들인 포세이돈을 양 떼 사이에 숨겼다. 바람의 신, 아이올로스의 딸, 아르네가 포세이돈을 돌봤고 나중에는 텔키네스들 손에  자랐다.

개의 머리와 물갈퀴를 단 종족인 텔키네스는 철공과 야금술에 능숙해서 나중에 포세이돈의 상징이 될 삼지창을 위한 도구를 만들었다. 결국 포세이돈은 형제인 제우스와 함께 크로노스와 싸워 승리했다. 승리 후 포세이돈은 세계 해양을 지배하게 됐다.

아테네의 부상

포세이돈의 신화에 따르면 아테네는 번영하면서 아테나와 포세이돈 모두 그 도시의 통치자가 되기를 원했다. 분쟁은 마침내 아테네의 왕인 케크롭스에 의해 해결되었는데 그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두 신은 각각 선물을 줬다.

포세이돈은 삼지창으로 땅을 쳐서 샘물을 만들어 줬지만 바다만 다스렸기에 솟아나는 물이 짜서 거의 쓸모가 없었다.

한편 아테나는 왕에게 올리브 재배의 비법을 가르쳤다. 이는 케크롭스에게 깊은 인상을 줬고 아테나에게 도시를 맡겼다.

포세이돈은 분노하여 그 지역의 일부를 범람시켰고 케크롭스 후계자의 생명을 달라고 했다. 그렇지만 바다 민족으로 포세이돈의 가호가 필수인 그리스인은 여전히 포세이돈을 숭배했다.

포세이돈 바람둥이

포세이돈의 위대한 자손

다른 올림포스 신들과 마찬가지로 포세이돈 역시 정절과는 거리가 멀었다. 공식적으로 그의 아내는 잔잔한 바다의 여신인 님프 암피트리테였다.

결혼 선물로 바다의 신은 그녀에게 진주와 조개껍데기로 만든 왕관을 줬다. 사실, 암피트리테는 포세이돈 메신저의 간청으로 청혼을 받아들였다.

결혼 후 포세이돈은 여신, 님프, 인간과 많은 연애 관계를 가졌고 많은 자손을 낳았다. 그의 연인 중에는 강의 신, 에니오페스와 사랑에 빠진 타이로라도 있었다. 포세이돈은 그를 사칭하여 나중에 영웅이 된 쌍둥이, 펠리아스와 넬레우스를 낳았다.

포세이돈은 또 카이네우스라는 처녀를 강간한 후 남자 전사로 만들어달라는 카이네우스의 청을 들어줬고 손녀인 알로페와도 바람을 피웠다.

자신이 원하는 여성을 소유하기 위해 자주 동물로 변신했던 포세이돈은 능변가 말인 아리온과 날개 달린 숫양, 크리소말리우스(황금 양모)를 자녀로 뒀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Hamp, E. P. (1970). Postscript on Demeter and Poseidon. Minos: Revista de filología egea, (10), 93-95.
  • Abascal, J. M., & Alföldy, G. (1998). Zeus Theos Megistos en Segobriga. Archivo español de arqueología71(177-178), 157-168.
  • Lang, M. L. (2021). Reverberation and Mythology in the Iliad. In Approaches to Homer (pp. 140-164). University of Texas Press.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