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적 무력화 정의 및 결과

무력화는 서로에게 입히는 조용한 손상으로 구성한다. 무의식적으로 자주 하기 때문에 침묵하거나 타인이 정서적 무력화를 할 때 알아차리지 못한다.
정서적 무력화 정의 및 결과
Elena Sanz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Elena Sanz.

마지막 업데이트: 09 11월, 2022

현재 가장 강하게 경험하고 있는 감정을 주변 환경과 공유한다면 어떨까? 자신이 이해하거나 오해했다고 생각할까? 오해였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면 정서적 무력화 희생자일 수 있다. 정서적 무력화는 모두가 한 번쯤은 빠져본 함정이지만 매우 해로운 결과를 초래한다.

일인칭이든 삼인칭이든 감정을 확인하는 일은 감정에 공간을 제공하고 허용하는 것이다. 그 존재가 현재 상황에서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의미다.

이 관점에서 자신이 느끼는 모든 것과 관련될 수 있다. 또한 감정을 공유하는 사람들로부터도 동일한 존경과 인정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무시당하거나 감정을 억누르거나 숨기고 바꾸라고 강요당할 수 있다.

정서적 무력화

정서적 무력화는 누군가가 자신 또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최소화하거나 무시할 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서 파생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공감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태도는 효과적인 정서적 도움을 제공하기가 정말 어렵다.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때 자주 발생하며 다른 사람의 불편함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상대의 감정으로 자신이 불편해지거나 압도당해 어쩔 바를 몰라서 무력화하기로 선택한다. 그러나 긍정적인 감정에 직면할 때도 있다. 공개적으로 아이들을 꾸짖는 어른들에게서 볼 수 있는 태도다.

다음은 정서적 무력화를 설명하는 몇 가지 문구다.

  • ‘그게 무슨 걱정이야? 별거 아니야.’
  • ‘넌 강해야 해.’
  • ‘무슨 일이야? 아무 일도 없었어.’
  • ‘내가 훨씬 더 나쁜 일을 겪었어.’
  • ‘답답한 소리 그만하고,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
  • ‘넌 너무 튀고 극적이야.’ 또는 ‘단지 관심받고 싶을 뿐이잖아.’
  • ‘너무 비참해하지 말고 나가서 즐기자.’

거의 모두가 나쁜 의도 없이 이런 종류의 말을 한 적이 있다. 단순히 다른 말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넘어졌을 때 울지 않도록 ‘괜찮아, 괜찮아’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괜찮을 리가 없다. 넘어져서 다쳤을 수도 있고 무서울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의도가 선하다 할지라도 이런 식으로 상황을 취급한다면 올바른 길로 가는 것이 아니다.

정서적 무력화 감정 조절
지속적인 정서적 무력화는 자기 회의로 이어진다.

정서적 무력화 결과

가장 큰 영향은 어린 시절에 부모와 주요 양육자로부터 정서적 무력화를 겪을 때 발생한다. 우정, 파트너, 로맨스 같은 이후의 관계에서도 정서적 무력화가 발생하면 깊은 손상을 줄 수 있다. 정서적 무력화 희생자라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발생한다.

감정 조절하는 법을 배우지 않았다

감정 조절은 타고난 감각이 아니다. 주변 어른의 모범과 지도 덕분에 성숙해지면서 얻게 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자신이 느끼는 것을 끊임없이 무력화하는 부모 밑에서 자랐다면 이러한 감정 상태를 받아들이고, 느끼고, 표현하고,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압도감을 느끼고 부적절한 반응을 보이기 쉽다.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어린 시절의 인지된 정서적 무력화는 경계선 성격 장애와 관련이 있다.

끊임없이 자신을 의심한다

감정은 자연스러운 나침반이다. 감정에 따라 어떤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 알려준다. 예를 들어, 자신이 좋아하는 것, 두렵게 하는 것, 상처를 주는 것,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도 감정이 자신을 무력화하면 자기감정과 메시지로부터 단절된다.

자신이 느끼는 것이 항상 틀리거나 부적절하다고 믿어서 가이드로 사용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끊임없이 자신을 의심하기 때문에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 못하게 된다.

다른 사람들과 연결할 때 수치심을 경험한다

인간은 관심과 타인과의 정서적 연결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서적 무력화를 당하면 감정을 공유하려는 생각에 대해 무참하게 여긴다. 감정 표현과 상대방이 자기감정을 이해해주기를 바라는 것이 부끄러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내부 상태를 철회하고 숨길 가능성이 크다. 건강하고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 일이 정말로 어렵게 느껴진다.

정서적 무력화 결과: 공감 능력을 키우는 데 문제가 있다

어릴 때부터 정서적 무력화를 겪었다면 공감력을 키우기 어렵고 배운 그대로 다른 사람들에게도 정서적 무력화를 하게 된다.

중요한 학습을 박탈당했다

모든 감정은 기능을 수행하고 학습하게 한다. 예를 들어, 분노는 자신을 방어하도록 촉구하고, 슬픔은 자신을 돌보라고 촉구하고, 두려움은 조심해야 한다. 그러나 자기감정에서 자신을 분리하면 다른 상황에서 적절하게 반응하는 방법을 모르고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 실수할 가능성이 더 커진다.

같은 이유로 결정이 정말 어려울 수 있으며 지나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감정에 귀 기울이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관계가 어려워진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무력화 결과는 관련 당사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아무도 혼자라고 느끼거나 오해받거나 조롱당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사람들이 감정을 표현할 때 공감하고 연결하고 수용할 수 없다면 다른 사람들과 멀어지거나 강한 분노를 유발한다.

정서적 무력화 오해
부부 관계의 오해와 원한은 종종 정서적 무력화 경험에서 비롯한다.

정서적 무력화에서 벗어나는 방법

건강한 가정 환경에서 자란다면 적절한 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정서적 무력화를 표준으로 삼고 자랐다면 그 영향을 감지하기 어렵다.

서로 공감하고 존중받는지 확인한다. 그렇지 않다면 변화가 필요하다. 공감하고 존중받는 관계는 기분과 자신감을 향상하고 만족스러운 관계로 발전시킨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Krause, E. D., Mendelson, T., & Lynch, T. R. (2003). Childhood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ult psychological distress: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inhibition. Child abuse & neglect27(2), 199-213.
  • Selby, E. A., Braithwaite, S. R., Joiner, T. E., Jr., & Fincham, F. D. (2008). Features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erceived childhood emotional invalidation, and dysfunction within curren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6), 885–893. https://doi.org/10.1037/a0013673
  • Westphal, M., Leahy, R. L., Pala, A. N., & Wupperman, P. (2016).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invalidation mediate the effects of parental indifference on psychopathology. Psychiatry Research100(242), 186-191. https://www.infona.pl/resource/bwmeta1.element.elsevier-6bc341a5-a117-3d69-b6ce-02f7d1326eb7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