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 관계 및 사회 리듬 치료(IPSRT)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Valeria Sabater
양극성 장애가 있으면 심각한 불안정, 고통과 좌절감을 안고 살게 된다. 환자는 예정된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침대에서 간신히 일어나지만 때로는 세상을 정복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이번 글에서 양극성 장애 치료에 도움이 될 대인 관계 및 사회 리듬 치료(IPSRT)에 관해 알아보자.
양극성 장애는 사회 및 관계적 영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환자는 우울해지면 모든 접촉과 책임을 피한다. 힘든 마음만큼 삶의 무게도 버거워지며 가혹하게도 자기 비하에 빠져 영원히 사라지고 싶다고 생각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일반 인구의 약 2~3%가 양극성 장애를 앓고 있다. 피츠버그 대학의 엘렌 프랭크 박사는 이러한 환자를 위해 효과적인 치료 전략을 개발했다.
대인 관계 및 사회 리듬 치료(IPSRT)는 환자가 자신의 사회 및 생물학적 패턴을 더 쉽게 돌보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더 읽어보기: 정신 건강과 정서적 건강 차이점 7가지

대인 관계 및 사회 리듬 치료(IPSRT) 목표
대인 관계 및 사회적 리듬 치료(IPSRT)는 환자가 생물 및 사회적 일상을 통해 기분을 조절하는 것이 목표인데 먼저 기분 장애의 특성부터 고려해야 한다.
순환 감정 장애, 우울증, 불안, 양극성 장애 환자는 조절되지 않는 생활 방식 때문에 건강한 일과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앞서 언급한 엘렌 프랭크 박사와 연구진에 따르면 양극성 장애 환자들은 사회적 습관을 조절하기 위해 대인 관계 및 사회적 리듬 치료의 혜택을 받았다.
이 요법에서 사회 및 대인 관계 리듬은 기분 장애 환자의 조정되고 일정하며 건강한 생물학적 및 관계적 일상을 촉진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궁극적으로 치료 후에는 모든 영역에서 더 나은 삶의 질뿐만 아니라 더 큰 정서적 안정을 달성한다.
대인 관계 및 사회 리듬 치료(IPSRT) 목표
IPSRT의 주요 목표는 환자의 기분과 행동 장애를 예방하고 잘 조절하는 것이다. 새로운 지식과 전략을 통해 환자에게 힘을 실어주므로 더 규칙적이고 유익한 습관을 채택하도록 돕는다.
양극성 장애의 경우 이 치료와 함께 약물 치료를 병행하기도 한다.
IPSRT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 환자의 휴식과 식습관을 개선한다.
- 사회적 관계에서 스트레스 관리 및 예방을 촉진한다.
- 환자가 일상 목표와 중요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는다.
- 기분 불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식하도록 지원한다.
- 환자가 치유하고 과거의 충격적인 사건에 직면하도록 허용하자.
대인 관계 및 사회 리듬 치료(IPSRT)는 기분 장애 증상을 활성화하는 외부 요인이 있다고 가정한다. 새로운 습관과 일과(사회적 리듬)를 채택하면 환자의 삶의 질이 향상한다.
더 읽어보기: 잊혀진 스트레스 관리 방법, 휴식

대인 관계 및 사회 리듬 치료(IPSRT) 치료 단계
IPSRT는 세 단계로 구성한다. 2002년, 엘렌 프랭크 박사와 연구진이 발표한 지침은 아래와 같다.
초기 단계: 이해
초기 단계에서 치료사가 환자의 기분 변화 단계 또는 에피소드를 이해하려고 한다. 인터뷰, 의료 보고서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 환자에게 기분 변화가 본인의 책임이 아니라고 말해주고 죄책감에서 벗어나도록 돕는다.
- 수면, 식사, 작업 패턴 등 자기 생활 습관을 연구하고 기능 장애가 있는 일과를 식별한다.
- 환자의 관계 패턴과 감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분석한다.
- 의사소통 스타일, 사회적 기술 등을 분석한다.
중간 단계: 새로운 사회적 리듬 설계하기
두 번째 단계에서 치료사는 환자가 준수할 사회적 리듬에 관한 일련의 지침을 설계하여 생물학 및 관계적 분야 모두에서 새로운 습관과 일과를 확립한다.
동시에 환자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다음을 기반으로 일련의 기본 전략으로 환자를 훈련시킨다.
- 새로운 수면 습관
- 식습관 개선
- 투약 지침 준수
- 운동과 활동적인 생활
- 치료에서 배운 의사소통 전략을 적용하여 관계를 개선
-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적용
- 낙심, 좌절, 분노 또는 부정적인 생각이 날 때 대처하는 방법을 습득
이러한 원칙은 일반적으로 환자 맞춤으로 설계된 공식을 정의한다. 각 세션에서 이러한 양식을 검토하고 작업하며 필요한 경우 업데이트한다.
최종 단계: 치료 종료 및 유지 전략
IPSRT의 궁극적인 목적은 환자가 마음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는 습관과 전략을 통합하는 것이다. 어려운 순간을 처리하는 일상과 기술을 삶에 적용하며 환자는 점차 치료가 필요 없는 상태가 된다.
마지막 단계에서 방문 치료는 간격을 두고 총 16회 정도 실시한다. 이 기간에 환자는 차츰 자신의 삶을 더 잘 통제한다고 인식한다. 치료를 중단한다고 해서 약리학적 치료를 포기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약물 치료는 대부분 필수다.
IPSRT는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이며 재발성 우울 장애(기분 부전증)와 같은 다른 정신 건강 상태에도 흥미로운 이점이 있다. 이 치료법은 상태를 더 잘 이해하고 환자의 라이프스타일을 최적화하는 매우 유익한 임상 자원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Frank E, Swartz HA, Boland E.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 an intervention addressing rhythm dysregulation in bipolar disorder. Dialogues Clin Neurosci. 2007;9(3):325-32. doi: 10.31887/DCNS.2007.9.3/efrank. PMID: 17969869; PMCID: PMC3202498.
- Frank, E., Kupfer, D. J., Thase, M. E., Mallinger, A. G., Swartz, H. A., Fagiolini, A. M., … & Monk, T. (2005). Two-year outcomes for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 in individuals with bipolar I disord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2(9), 996-1004.
- Frank, E., Prien, R. F., Jarrett, R. B., Keller, M. B., Kupfer, D. J., Lavori, P. W., … & Weissman, M. M. (1991). Conceptualization and rationale for consensus definitions of terms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remission, recovery, relapse, and recurrenc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8(9), 851-855.
- Frank, E., Swartz, H. A., & Kupfer, D. J. (2000).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 managing the chaos of bipolar disorder. Biological Psychiatry, 48(6), 593-604.
- Steardo, L., Luciano, M., Sampogna, G. et al. Efficacy of the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 (IPSRT)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results from a real-world, controlled trial. Ann Gen Psychiatry 19, 15 (2020). https://doi.org/10.1186/s12991-020-00266-7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