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image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행동

2분
사람은 누구나 자기 사고 및 행동 방식이 불편한지 편안한지 판단한다. 이러한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판단이 왜 변화에 대한 갈망을 키우는지 알아보자.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행동
Elena Sanz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Elena Sanz

마지막 업데이트: 29 6월, 2025

누구나 자신이 좋아하고 자부심을 느끼는 고유한 특성이 있는 반면 스스로 꺼리거나 없었으면 하는 면도 있다. 이러한 행동을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행동이라고 한다.

자아 친화적 행동은 기분을 좋게 하므로 긍정적이고, 자아 이질적 행동은 불편함을 느껴서 부정적이라고 볼 수 있지만 간단하게 판단할 수는 없다. 실제로 환경과 특정 충돌을 일으키는 많은 행동이 있지만 본인은 불편함을 느끼지 못할 수 있으며 본인은 편안하게 느껴도 사회적으로 강력히 거부되는 행동이 있다.이러한 측면을 분석하면 자기 계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행동을 잘 파악하면 개인적 웰빙과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더 읽어보기: 자아도취자가 생각하는 법: 자신이 전문가보다 더 많이 안다고 생각하는 이들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자기 계발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행동

‘자아 친화’는 자아와 조화를 이룬다는 의미로 자기에 관한 개인의 개념과 조화되어 있는 생각, 감정 및 행동을 말한다. 어떤 종류의 불편함이나 내부 갈등을 일으키지 않으며 바꿀 의도도 없다.

자기애성 성격 장애가 있으면 거드름 피우는 생각과 남들이 공감할 수 없는 행동을 편안하게 느낀다. 자기 행동이 타인이나 심지어 자신의 관계에 고통을 주지만, 자기 생각과 태도는 자신의 가치 및 이상과 일치한다.

한편, ‘자아 이질’이라는 용어는 자아와 부조화를 일으키며 생각, 감정, 행동이 자기 가치 및 목표와 충돌한다. 자신의 성적 지향에 대해 죄책감과 수치심을 느끼는 동성애자나 수줍음과 사회적 상황을 피하는 성향으로 큰 불편을 겪는 사회 공포증으로 고통받는 개인 등이 자아 이질적이다.

강박 장애가 있으면 자신의 가치와 너무 상반되어 큰 불안을 야기하여 강박적 행동을 유발하는 침투적 사고를 한다.

어떤 어머니는 빵을 썰다가 자녀를 공격하는 모습을 상상하고 파트너에게 사랑을 의심받고 추궁당하는 사람도 있다. 개인의 진실과 본질에 어긋나는 불확실한 생각은 극심한 불안을 촉발한다.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행동 변화

자아 친화와 자아 이질성은 심리학에서 개인의 증상을 분류할 때 널리 사용되는 용어다. 각자 태도를 인식하고 해석하고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이 포함하며 변화를 추구할 때 결정적이다.

현재 상태와 행동 방식에 만족하고 편안함을 느낀다면 변화를 추구하지 않겠지만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면 바뀌려고 할 것이다.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행동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있다. 갈등이나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지만 본인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경우로 의도하지 않게 관계를 파괴하는 회피적 애착을 가진 사람처럼 ‘자립의 필요’를 당연하게 용인한다고 생각한다.

또 목표가 행동을 바꾸는 대신 개인이 자신을 방해하는 생각이나 행동에 대해 평가하기도 한다. 자신을 폄하하고 수줍어하는 사람은 자기 요구적인 사고 대신 유연한 사고방식을 채택하여야 자아 이질적 행동을 멈출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성장을 촉진하는 전문적인 자아 인식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자기 분석

자신을 반영

자신을 잘 알고 싶다면, 자아 친화 및 자아 이질적 측면부터 분석하여 스스로 편안하거나 불편하게 느끼는 요소를 확인하자.

그리고 어떤 요소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바뀌기로 했으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해석하고 판단하는 방식을 수정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가 필요한 변경 사항을 조언하고 본인은 불편하지 않지만 실제로 작업이 필요한 영역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Hart, W., Tortoriello, G. K., & Richardson, K. (2018). Are personality disorder traits ego-syntonic or ego-dystonic? Revisiting the issue by considering functi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76, 124-128.
  • Sandia, I., & Baptista, T. (2020). Egodistónico: Una Revisión en Busca de Definiciones. Revista Colombiana de Psiquiatría.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