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성신경계: 특성 및 기능을 알아보자
신경계의 본질적인 기능은 의사소통이다. 전문가들은 신경계를 체성신경계 (somatic nervous system)와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로 나눈다.
체성신경계도 복잡한 계통이다. 이것은 중추 신경계에 감각 정보를 전달하는 데 관여하는 신경계의 한 부분이다. 즉 체성신경계는 신체와 외부 환경 사이의 의사소통을 담당한다. 한편, 자율신경계는 기관 간의 통신을 담당하고 있다. 이것은 신체가 항상성을 유지하는 메커니즘이다.
체성신경계는 골격근을 통해 작용한다. 그것은 자발적이고 반사적인 행동을 규제한다. 이 체계는 수용체를 통해 생성되는 변화를 인식한다. 그렇기 때문에 체성신경계에 위치한 운동 섬유는 자율신경계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우선, 그 체계는 신경절이 없다.
- 신경절은 중추신경계 내에 위치한다. 또한, 말단 (골격근)에 도달할 때까지 쉬지 않고 정보를 전달한다.
- 또한, 그들의 교대 속도는 훨씬 더 빠르다.
체성신경계는 말단을 자극하거나 자극하지 않을 수 있지만, 억제하지는 못한다.
체성신경계 (SNS)의 감각 경로
당신이 감각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그 정보도 대뇌 피질에 도달해야 한다. 그래서 그 경로는 정보가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를 연결하는 뉴런의 집단을 통과하는 방법이다.
감각 자극이 목적지인 중추신경계에 도달하려면 수용체에서 중추신경계로 가야 한다. 이것은 세 개의 뉴런과의 연결을 통해 이루어진다. 체성감각 피질은 그 영역에서 담당하는 신체 부위의 크기가 아니라 그 신체 부위의 민감도에 따라 달라진다. 손끝과 입술과 같은 부분이 체성감각 피질 영역이 크다.
감각 경로의 종류는 다양하다. 전문가들은 자신이 운전하는 감각의 방식에 따라 이를 다음과 같은 그룹으로 나눈다.
- 미세한 접촉 경로 – 차별적 또는 정밀감수성
- 원시적 촉감의 경로 – 균열 또는 원시적 감도
- 통증과 온도에 대한 경로.
- 심부지각전도로 – 신체 위치
자극에 의한 신경 경로
그들을 명명하는 또 다른 방법은 자극의 근원에 따른 것이다.
- 피부지각전도로. 피부에 분포하는 신경로.
- 내부지각전도로. 내부 장기에 대한 정보를 전하는 신경로.
- 심부지각전도로. 근골격계에서 정보를 대뇌피질로 전하는 신경로.
감각을 전달하기 위해, 신경 자극은 세 가지 신경 중계를 통해 이동한다.
- 일차신경세포. 그들은 신체 주변으로부터 정보를 보낸다.
- 이차신경세포. 척추 골수의 후각에 위치한다. 그들은 그 신경 자극을 몸통에서 시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삼차신경세포와의 시냅스가 발생하는 곳이 있다.
- 삼차신경세포. 시상 중계 뉴런이다. 그들의 기능은 두정엽에 있는 측열구의 뒤에 위치한 그 지역의 체성감각영역을 향해 신경의 충동을 몰아내는 것이다.
감각이 해석되는 피질에 도달하기 전에, 시상은 모든 감각 정보를 처리한다(후각 입력은 제외). 그 후에, 그들은 보통 감각을 인식하고 기획하는 두정엽에 통합된다.
운동 경로
손을 뻗어 무언가를 취할 때, 이 정신 과정은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요구한다. 이 경우 손뿐만 아니라 팔의 근육도 포함한다.
운동 경로는 이러한 움직임에도 관여한다. 중추신경계로부터 골격근(체세포말단)까지 신경 자극을 전달한다. 신체는 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운동 뉴런을 사용한다. 이것들은 척수의 앞뿔에 위치한다.
전문가들은 신경의 발생과 종료점에 따라 운동 기관 시스템을 세 개의 묶음으로 나눈다.
- 피질 슬상 또는 피질핵. 이것들의 목적지는 뇌 신경의 운동 신경이다. 즉, 이것은 안면 근육을 제어하는 통로이기도 하다.
- 근접피라미드로. 신경은 전두골의 네 번째 영역에서 시작된다. 그들의 목적지는 구근망상체이다.
- 피라미드로 또는 겉질척수로. 피질을 앞뿔의 뉴런과 연결해 척수에 연결하게 한다. 이 연결을 통해 몸통, 목, 사지의 근육을 제어한다.
따라서 체성신경계 (SNS)도 복잡한 계통이다. 중추신경계로부터 움직임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연결을 해야 한다. 또한 많은 뉴런과 영역이 함께 작용해야 하므로 누군가가 당신을 만지거나 물체를 닦을 때도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Leira, M. S. (2012). Generalidades del sistema nervioso somático y de las vías de conducción. Manual de bases biológicas del comportamiento humano.
-
Tassinary, L. G., Cacioppo, J. T., & Vanman, E. J. (2017). The somatic system.
- Boggia, J. (2007), Fisiopatología, Compendio Udelar, Facultad de Medicina, Oficina del lib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