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네트워크: 온라인 세계의 가식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가식적으로 행동하려는 욕구는 사회적 승인에 대한 우리의 고유한 욕구에 의해 촉진되는 것 같다. 우리는 받아들여지고 다른 사람들에 의해 우리의 의견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소셜 네트워크: 온라인 세계의 가식

마지막 업데이트: 13 2월, 2020

현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는 가식적으로 행동하려는 욕구가 대단하다. 하지만, 우리는 소셜 네트워크 프로필에 있는 것처럼 정말 행복한가? 이 질문은 어쩌면 허구일 수도 있는 “행복”의 개념에서 비롯되는데, 그것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지속해서 보여줘야 하고, 사회 네트워크로 변환된다.

소셜 네트워크를 검색하면 많은 지인이 세계를 여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니면, 아마도 당신은 몇 주 동안 이야기하지 않았던 그 친구의 사진을 보게 될 것이다. 그는 지금 갑자기 사랑에 빠져 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행해진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우리는 일주일에 약 37시간을 온라인에서 보낸다고 한다. 그것은 우리 시간의 약 22%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우리의 개인적인 사회생활은 우리가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사회적 플랫폼과 더 크게 연관되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우리가 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우리와 가까운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보낸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는 모두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우리의 일상생활의 일부분이다. 거의 같은 방식으로 셀카를 찍는 개념은 우리의 일상생활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우리는 스스로 물어봐야 한다. 우리가 실제로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보여주는 현실은 어떤 부분일까?

소셜 네트워크 속 가식과 사회적 승인의 필요성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가식과 사회적 승인의 필요성

우리는 정말로 행복하지 않을지라도, 우리가 행복한 척하고 세상을 믿게 만들려는 노골적인 욕망이 있다.

여러 조사에 따르면,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려고 시늉을 하고 싶은 진정한 욕망이 있다고 한다.

이 주제에 대해 행해진 몇몇 연구에 따르면, 이것은 우리가 소셜 네트워크에 보여주는 사회적 승인의 필요성에 의해 명백하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열망은 사회적 승인에 대한 내재적 욕구에 의해 촉진되는 것 같다.

즉,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받아들이고 긍정적 강화를 주기를 원한다. 우리가 “셀카”를 올릴 때 받는 행복감을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는 호평과 아첨하는 말을 세면서 보강을 받는다. 누가 아첨을 좋아하지 않을까?

하지만, 이런 점에서 가식은 무슨 뜻일까? ‘가식’은 옥스퍼드 학습자 사전에서 수집한 표현이다.

가식은 자연스럽거나 성실하지 않지만, 관심을 끌거나 특히 소셜 네트워크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려는 태도나 행동을 말한다.

국제 최면 협회의 심리학자 호세 엘리아스(José Elias)는 가식의 개념을 “좋은 이미지를 투영하고자 하는 특정한 습관, 몸짓, 태도의 채택”이라고 정의한다. 비록 우리가 행복하지 않고 심지어 행복을 확신하지도 못하더라도, 우리가 행복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긍정적인 인정을 받는 것이다

즉, 가식은 현실의 일부가 아닐지도 모르는 우리의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사회적 승인의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염성 행복” 효과

캘리포니아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의 기분은 변화하고 소셜 네트워크에서 우리가 보는 게시물에 의해 조절된다.

출판된 콘텐츠는 ” 전염성 행복”의 이미지를 주려고 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다른 사람들의 기쁨과 행복을 인식하는 것은 우리가 그 상태에 도달하기를 원하게 한다.

따라서 비슷한 내용을 공유하도록 촉구하고, 스스로 ‘ 전염성 행복’의 효과를 낳는다.

이런 점에서, 소셜네트워크의 ‘행복’의 전시는 들불처럼 번진다. 또한 소셜네트워크에 존재감을 느끼고, ‘행복한’ 메시지와 사진의 연속적인 파장을 즐기려는 욕구를 촉진한다.

시늉하고 싶은 욕구 – 우리가 올리는 것이 진짜인가?

시늉하고 싶은 욕구 - 우리가 올리는 것이 진짜인가?
우리는 사회적 승인을 끊임없이 필요로 하므로 소셜 네트워크에서는 가식적이다.

심리학자 욜란다 페레즈는 “모든 것이 조금씩 있다. 가장 빈번한 것은 진실을 보여주는 사람들, 진짜가 아닌 사람들, 심지어 반 진실만을 보여주는 사람들이다.”

저자는 또 “우리는 우리가 얼마나 잘생기고 행복한지를 한순간에 보여준다. 하지만 우리는 단지 우리의 현실의 일부만을 보여준다. 하루 24시간 동안 행복하고 항상 웃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가 소셜 네트워크에 투영하는 현실은 아마도 완전한 것은 아닐 것이다. 이것은 항상 행복해지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삶은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감정들로 가득 차 있으며, 부정적인 감정을 무시하는 것은 우리에게 해를 끼칠 뿐이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소셜 네트워크에서 보는 대부분이 현실의 반영이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출현은 상대적이다. 우리는 하루 24시간 황홀한 사람들이 있다고 생각하는 실수에 빠져서는 안 된다. 우리는 모두 슬픔과 좌절감을 경험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그러므로, 나쁜 날을 보내는 것은 삶의 일부분이고, 우리가 좋은 시간을 더 가치 있게 여기도록 도와준다. 기억하자, 누구의 인생도 완벽하지 않다. 그러니 자신이 아닌 것처럼 가장 하고 싶은 욕망을 놓지 말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omínguez Espinosa, Alejandra del Carmen et al. La deseabilidad social revalorada: más que una distorsión, una necesidad de aprobación social. Acta de investigación psicol [online]. 2012, vol.2, n.3, pp.808-824. ISSN 2007-4719.
  • Caldevilla Domínguez, D. (2010). Las Redes Sociales. sociedad digital actual. Las Redes Sociales . Sociedad Digital Actual33(1), 45–68. https://doi.org/-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