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이 막히게 하는 창살 없는 감옥, 불안정한 애착
1958년, 존 볼비가 제안한 애착 이론에 따르면 애착은 세상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부모 및/또는 양육자 사이에 구축하는 유대로 이해될 수 있다. 부모나 양육자는 아이의 사회와 정서 발달에 결정적인 애착 인물이다. 물론, 타인들과도 다른 유형의 애착을 형성하고 발전시키지만 첫 번째 애착은 그 이후의 애착 형태를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애착의 단계
보통 애착은 아래와 같이 4단계로 발달한다.
- 출생~생후 2개월: 애착 전 또는 비사회적 단계로 아기는 특정 양육자에게 특별한 애착을 보이지 않는다
- 생후 6주~생후 7개월: 무분별한 애착 단계로 아기가 사회적 반응을 부모나 가까운 가족에게 지시한다
- 생후 7개월 이상: 구체적이거나 차별적인 애착을 보이는 애착 형성의 중요한 단계다. 아기는 성인 애착 대상과 분리될 때 항의하고 낯선 사람에게 두려움을 나타낸다
- 생후 10개월 이상: 다중 부착 단계로 아기가 다른 보호자와 관계를 발전시키기 시작한다. 주요 양육자가 사라져도 두려움을 나타내거나 화를 내지 않는다
4단계 과정에서 안정적인 애착이나 불안정한 애착이 나타날 수도 있다. 많은 사람이 불안정한 애착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불안정한 애착은 유대감이 두려움으로 오염된 유형으로 대개 타인과의 관계에서 위축되거나 혼란스러운 감정, 의존, 거부 등으로 표현된다.
심리학자 대부분은 불안정한 애착이 어린 시절부터 시작된다고 주장한다. 유년기에 신뢰할 수 있는 인물들과 이러한 애착 패턴을 가졌다면 그 이후의 유대 관계에 기반이 될 수도 있다.
“인생은 자신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만드는 것이다.”
-조지 버나드 쇼-
안정된 애착은 강한 유대를 의미한다. 즉, 서로에게 최선을 기대한다. 반면에 불안정한 애착 관계에서는 서로에게 최선을 기대하지 않는다. 아이는 양육자가 자신을 포기 하거나 상처를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불안정한 애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와해된 애착
와해된 불안정한 애착은 유년기에 어떤 형태로든 학대를 겪은 사람들에게 극히 전형적인 애착 유형이다. 불안한 순간에 아무런 도움도 없이 홀로 남겨지고 양육자가 위협의 수단으로 체벌을 했을 수도 있다. 양육자의 이중적 태도를 경험했하면서 자신을 보호할 임무가 있는 사람들에게 무엇을 기대할지 모르게 된다. 가끔 다정한 태도를 보였던 양육자가 뚜렷한 이유 없이 돌변하거나 공격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학대받은 아이는 악습을 답습할 때가 많다. 생각과 감정뿐만 아니라 행동이 일관적이지 못해서 순종적이던 아이가 공격적으로 돌변하거나 가까웠던 사람을 갑자기 멀리하기도 한다. 게다가 스스로 무엇이 문제인지 모른다.
타인과의 관계가 힘들다고 느껴지면 감정적으로 완전히 단절되고 로봇처럼 행동하기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뇌에 대처하는 잘못된 방법이다.
더 읽어보기: 어린 시절에 익혔던 애착 패턴을 바꿀 수 있을까?
불안정한 양면적 애착
불안정한 양면적 애착의 주요 특징은 관계의 기복을 경험하는 강도다. 다른 불안정한 애착과 마찬가지로 모순적인 부모가 원인이다. 아이는 부모에게서 무엇을 기대해야 할지 모르고 성장한다.
불안정한 양면적 애착이 있는 사람은 타인과 관계를 유지하는 데 정말 강한 욕구를 나타내며 심할 정도로 애정을 갈구한다. 실제로 인간관계에 열정적이지만 상대에게 의존하면서 모든 일에 인정을 바라고 거절에 지나치게 민감하다.
처음 관계를 시작하면 항상 뭔가 잘못됐다고 생각한다. 상대와의 문제를 강조하고 긍정적인 측면은 당연시하기 때문에 모든 관계에 힘들어한다. 결국 중독, 자해 같은 도피/회피 행동을 한다.
불안정한 회피 애착
불안전한 회피 애착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타인과 친밀한 유대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또 친밀한 유대를 형성하지 못하면 심한 정서적 고통을 시달린다. 겉으로만 독립적인 척 행동하면서 누군가와 감정적으로 가까워졌다고 느낄 때 깊은 불안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불안정한 회피 애착이 있는 사람은 자기감정을 잘 인식하지 못한다. 무언가에 관심이 있다고 말하지만 그 대상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반대로 무언가 또는 누군가가 자신에게 전혀 관심이 없다고 말하면서 상반되는 행동을 한다. 전혀 고의성이 없으며 그저 자기감정을 잘 식별하지 못해서다.
더 읽어보기: 공감 없는 듣기: 감정적 애착의 결여
불안정한 회피 애착은 양육자와의 극심한 정서적 거리를 특징으로 한다. 도움이 필요할 때 거부당하면서 부모가 책임감 등을 이유로 거리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식의 양육은 아이가 자신을 지지하거나 도와줄 사람이 없다고 남을 불신하게 만든다.
모든 형태의 불안정한 애착은 정서적 삶에서의 제한을 의미한다. 그러나 자신의 행동과 그 원인 및 결과를 인식함으로써 충분히 바꿀 수 있으며 훨씬 더 충만하고 정서적 삶을 영위하는 것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