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를 설명하는 재교정 이론
분노를 설명하는 재교정 이론은 자연 선택이 더 나은 진화를 위해 분노를 설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다음에서 분노의 재교정 이론에 관해 알아보자.
분노는 많은 공격적인 행동의 원인이다. 캘리포니아 샌타바버라 진화 심리학 센터는 분노의 진화된 기능을 연구했고 분노를 행동 조절 프로그램으로 간주하며 분노가 시간이 지나면서 인간의 신경 구조에 통합되었다고 주장하지만 그 이유는 연구 중이다.
분노의 재교정 이론은 계산적 진화 모델로 분노의 기능은 개인이 화가 났을 때의 웰빙을 고려하여 재조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분노는 좌절에서 시작한다는 생각을 근간으로 한다. 즉, 분노가 권력의 필요성에서 발생한다는 의미다.
더 읽어보기: 오만은 종종 폭발하는 분노로 포장된다
분노
분노는 인간의 기본 생물학에 해당한다.
- 어린 시절에 저절로 나타남
- 개인과 문화 전반에 걸쳐 보편적
- 종의 전형적인 뉴런 기반을 가짐
그러나 분노의 생물학을 이해하려면 먼저 분노의 진화를 이해해야 한다. 분노의 재교정 이론은 분노를 통제하는 규제 프로그램이 협상의 과정으로 진화했다고 가정한다. 즉, 화난 개인의 이해 충돌을 해결하는 것이다.
분노를 설명하는 재교정 이론
분노의 재교정 이론은 이 감정이 더 나은 협상을 위해 진화한 계산적 인지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사실, 분노는 표정, 목소리 변화, 언어 논쟁, 이익의 유지 또는 공격성의 전개를 조정한다. 그것은 일련의 인지 및 생리적 변수로 구성됩니다. 그들의 목표는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협상 위치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분노는 궁극적으로 자연 선택이 설계한 신경 인지 프로그램이 생성한다. 이 프로그램은 화난 개인이 이해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대인 협상 전술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 비용을 부과하거나 혜택을 보류한다. 화난 사람의 행복에 더 큰 비중을 두며 비용을 부과하는 능력이 향상된 개인이 더 강하다.
- 갈등에서 더 나은 협상 위치에 있는 매력적인 개인에게 혜택을 부여한다. 이러한 사람들은 더 화를 잘 내고 이해 상충에 더 지배적이며 더 나은 대우를 받을 자격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실제로 다양한 연구들이 이 사실을 확인하고 있다.
복지 교환 비율과 협상
사회적 종인 인간이 취한 행동은 타인의 복지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자신과 타인에 관한 선택이 주어지면 자신과 비교하여 타인의 복지에 어느 정도 비중을 둘지를 고민하는데 이를 복지 교환 비율이라고 한다.
이 이론에 따르면 분노는 상대가 자신의 웰빙을 충분히 강조하지 않는다는 상황을 감지하면 유발되는데 실제로 실험적 증거가 이 견해를 뒷받침한다.
더 읽어보기: 짜증내는 사람들: 분노를 의사소통 방식으로 사용하는 사람들
분노 예측과 재교정 이론
분노의 재교정 이론은 두 가지 이유로 비용을 부과하거나 혜택을 제공하는 능력이 향상된 개인이 더 쉽게 화를 낸다고 예측한다.
- 첫째, 이익을 회수하거나 비용을 부과할 능력이 크면 이해 상충 협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화를 내는 것이 영향력이 적은 다른 사람들보다 그들에게 더 성공적일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 둘째, 영향력이 클수록 타인이 자신의 웰빙에 더 많은 비중을 두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타인에게 기대하는 복지 상충 관계 비율이 높을수록 분노를 수용할 수 없는 것으로 처리하는 복지 보상이 커진다.
많은 요인이 비용을 부과하거나 이익을 제공하는 능력에 기여한다. 이론적으로, 분노에서 원칙적인 개인차를 발생시켜야 하는데 모델을 실증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해 강점과 매력을 선택했다.
정확한 예측
진화론적 분석에 따르면 분노에 대한 힘의 효과는 남성에게 더 크게 나타난다. 그러나 분노에 대한 매력의 효과는 여성 쪽이 크다. 게다가 예상대로 강한 사람은 약한 사람보다 투쟁의 역사가 더 길다. 또한 대인 및 국제 갈등 같은 갈등 해결에 있어 무력의 효과도 뒷받침되었다.
강한 남성이 더 잦은 무력 사용을 선호한다는 사실은 소규모 사회의 특징인 고대 보상 시스템을 반영한다. 이는 많은 인구에서 현대적 보상을 합리적으로 평가하는 것과 정반대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verill, J. (1982). Anger and aggression: An essay on emotion. New York: SpringerVerlag.
- Averill, J. (1983).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38, 1145-1160.
- Buss, A.H. (1961). The psychology of aggresion. New York: Wiley.
- Lench, H.C. (2004). Anger management: diagnostic differences and treatment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