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난 돌이 정 맞는 이유
남들보다 눈에 띄는 사람들이 왜 그렇게 비난받을까? 사실 부러움은 지극히 인간적인 감정이기 때문에 모난 돌이 정을 맞는다. 다른 사람이 가진 것을 욕망하고 그것을 얻을 수 없을 때 공격하여 가치를 잃게 하고 작아지고 빛나지 않게 한다. 그러나 부럽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그러한 감정에 행동을 지배당하지 않는 마음이 넓은 사람들이 있다.
누군가가 빛날 때 더 밝게 빛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모난 돌이라고 무조건 정을 맞았다면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이야기, 가장 아름다운 예술 작품이나 획기적인 과학적 발견은 결코 볼 수 없었을 것이다. 주변 사람들의 자질을 격려하여 더 높이 성장하고 독특하고 비범한 재능을 펼치게 하는 것이 나머지 사람들의 책임이다.
모난 돌이 정 맞는 이유: 숨겨진 부러움
질투 또는 시기는 ‘악의를 품는다’를 의미하는 라틴어 ‘invidia’에서 파생됐다. 케임브리지 사전은 부러움을 ‘다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을 자신도 바라는 것’으로 정의한다.
부러움은 사회적 감정이다. 다른 감정과 달리 시기심에는 더 많은 것이 필요하며 타인에 의해 작동된다.
부러움에 대한 도덕적 평가는 대개 경멸적이다. 그러나 모든 인간이 경험하는 일이라면 비도덕적일 수 없다. 그러므로 시기심을 느끼는 것은 부도덕한 것이 아닌 삶의 정상적인 현상이다.
“시기심은 인정하기 가장 어려운 감정이다. 특히 부러움은 어떤 식으로든 그것을 소유한 사람에게 느낀 열등감을 인정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콜리즈-
부러움의 문제는 그 감정을 경험할 때 어떻게 행동하느냐다. 예를 들어, 친구가 부러웠지만 그들에게 일어난 일에 대해 기뻤던 적이 있는가? 아니면 무시했는가? 이 두 행동의 차이는 매우 중요하다.
더 읽어보기: 오셀로 증후군은 통제할 수 없는, 병적인 질투심
사회적 비교
사회적 비교는 시기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적 비교를 통해 자아 개념과 자존감이 형성된다. 주변 사람들은 자기 능력을 평가하고 검증하고 조절하는 출발점이자 기준이다. 그 기준을 능가했다고 느낄 때 부러움을 경험한다.
“부러움의 경험은 자아 개념을 확립할 때 중요한 문제인 자기 관련성에 달려 있다.”
-스미스-
모난 돌이 정 맞는 이유: 부러움의 요인
스미스, 디너 및 가로즈니크는 시기심을 강화할 수 있는 세 가지 요소가 있다고 주장한다.
- 개인의 삶에서 부러움을 경험하는 빈도와 강도
- 열등감
- 불의에 대한 분노와 인식
“따라서 타인의 것에 대한 갈망과 그를 소유한 사람의 불행에 대한 욕망 같은 시기심의 경험은 불의, 적대감, 열등감으로 인한 원한과 관련이 있다.”
-콜리즈-
건강한 부러움
부러움은 사회적 비교와도 관련 있지만 스스로 가치 있고 관련성이 있다고 믿는 문제에서만 발생하는 감정이다. 다른 사람의 것을 소유하려는 욕망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대상을 그들에게서 빼앗고자 하는 야망이 없는 종류의 건전한 부러움을 유발한다.
불만족스러운 감정이 여전히 존재하고 불쾌하지만 새로운 감정도 있다. 성장하고 탁월해지려는 욕구다. 패럿과 스미스는 건전한 부러움을 나타내는 6가지 감정 단계가 있다고 말한다.
더 읽어보기: 아이의 질투는 어떤 결과를 초래할까
시기심은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약화시키거나 강화시키는 인간의 감정이다. 시기심을 느끼는 순간을 감지하는 방법을 알면 긍정적으로 조절하고 분명히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가진 것에 감사하고 다른 사람이 가진 것에 기뻐하는 것은 평화와 정신적 평온을 얻는 좋은 방법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Montañés, M. C., & Iñiguez, C. G. (2002). Emociones sociales: enamoramiento, celos, envidia y empatía.
-
Crusius, J., & Mussweiler, T. (2014). La envidia. Mente y cerebro, (65), 16.
-
Carrillo, G. N., Morillas, A. M. B., Segura, I. V., & Expósito, F. (2016). ¿ Qué es la envidia?. Cien. Cogn.(Granada), 10(3), 70-73.
-
Ormeño Karzulovic, J. (2018). Envidia, resentimiento e iguald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