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

상대와 대화를 나눈 후 재치 있게 보이는 대신 나쁜 인상을 주진 않았는지 후회되고 걱정되는가? 사실, 호감은 대화를 나누기 전에 벌써 결정 났을 수 있다.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
Valeria Sabater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Valeria Sabater.

마지막 업데이트: 23 6월, 2023

거새로운 만남을 즐기는 사람들은 이러한 경험을 하는 동안 마음에 실존적 걱정이라는 그림자가 자주 떠오를 수 있다. 자신의 첫인상이나 호감을 느꼈는지에 관한 이러한 의심은 소모적인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렇다면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갑자기 상대와 나눈 대화를 곱씹어 볼 때가 있다. 정보를 수집하는 스파이처럼 단어 하나하나 면밀히 짚어 보며 나쁜 인상을 주진 않았는지 걱정한다. 그런데 이 작업을 몇 시간씩 반복하는 사람들도 있다.

대부분 자석처럼 다른 사람을 즉시 사로잡는 카리스마가 있기를 바란다. 인간은 타인의 호감을 받으며 연결되어야만 한다. 신뢰와 친밀감의 이미지는 사회-정서적 구조의 기본 원칙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교성의 기본 원칙은 하나 이상의 인지적 왜곡을 수반하여 괴로움을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주는 인상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보기: 자아도취자가 생각하는 법: 자신이 전문가보다 더 많이 안다고 생각하는 이들

호감이 인지적 왜곡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려는 욕구에는 집단에 포함되려는 사회적 목적이 있다.

호감이 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유: 집단적 경험

윌리엄 제임스는 사회적 연결에 대한 필요성을 연구한 최초의 심리학자로 심리적 현상에 관한 과학적 연구의 선구자였으며 지각에 집중했다. 아기들이 음식과 보호를 필요로 하는 것 외에도 부모의 다정한 시선과 접촉을 갈망한다고 주장했다.

누군가 자신을 좋아하는지 또는 약간의 불신을 느끼는지 평가하는 것은 자기 눈을 통해서다. 상대의 호감을 여러 방법으로 분석하지만 결국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 자신이 한 말이 호감을 망쳤다고 말하는 인지적 편향이 있다. 어리석은 말을 했다거나 상대를 지루하게 했다고 거의 강박적으로 확신하면 사회적 불안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타인의 판단을 중시한다

타인의 판단이나 시선을 어릴 때부터 중시한다. 호감 격차 이론은 호감에 대한 불안과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관계를 망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의심을 반복하고 후회하는 습관은 자신을 불편하게 만든다.

사회적 관계에 관해 모두 시행착오를 겪으며 최선을 다해 탐색하는 경향이 있다. 유대감을 형성하고 사회 집단에 포함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어서 불안을 유발하기도 한다.

호감은 집단에 통합된다는 의미다. 십 대일 때는 한 집단에 소속되기를 갈망하지만 성인이 되어서는 소수의 우정만 유지하는 사람들이 많다.

호감이 있지만 착각할 수 있다

미국 예일대, 코넬대와 하버드대 그리고 영국 에섹스 대학에서 호감 격차 현상을 분석하는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진은 대부분이 비판적인 내적 대화를 하며 방금 만난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부정적인 가정을 한다고 주장한다.

상대의 가치관이나 성격을 모르면서도 부정적인 가정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간은 생각보다 서로를 더 좋아하며 이러한 편향된 생각은 근거가 없다.

그렇다면 왜 마키아벨리적인 심판관이 마음속에 존재할까? 왜 타인의 말을 전부 분석하여 자신을 고문할까? 왜 자신이 한 일과 말로 자신을 고문하는가? 진실은 다른 사람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의심하는 것이 사회적 기술을 향상하도록 격려한다는 것이다.

물론 이상적으로는 자신에게 끊임없이 강박적으로 질문하는 희생양이 되어서는 안 된다.

호감에 관한 관심은 또래와의 통합이 우선순위인 7세~9세에 발생한다.

더 읽어보기: 적시에 완벽한 인연과의 만남이 가능할까?

호감이 또래 집단
청소년은 호감 격차로 가장 큰 고통을 겪는다.

새로운 사람을 만났을 때 자신을 의심하지 않는 방법

호감 격차는 청소년기에 정말 중요한 정신적 스키마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고 성숙해지면 자신의 첫 인상에 덜 신경 쓰게 된다. 이는 향상된 자신감이 일상적인 상호 작용의 많은 부분을 뒷받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불안정한 작은 목소리가 마음속에 계속 남아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새로운 사람들에게 나쁜 인상을 줄까 봐 계속 두렵다면 어떤 전략을 적용해야 할까?

다른 사람들도 똑같이 의심하고 불안해 한다

상대를 불편하게 했는지, 말을 너무 많이 했는지 또는 지루했는지를 고민할 수 있다. 하지만 누구나 첫 만남에서 자기 의심을 경험한다.

대부분은 타인의 호감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첫 번째 대화에 관해 생각하는 동안 타인도 정확히 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자기 자신을 좋아해야만 올바른 인연을 만날 수 있다

상대의 호감 사기에 너무 신경 쓰면 사회적 불안에서 헤어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항상 자신을 과소평가하고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본다고 믿는다. 그러나 자신을 숨기지 않고 적절한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은 무엇보다 자유롭다.

자신을 가장 흥미로운 미덕과 가치를 가진 소중한 존재로 인식하면 인생을 여유롭게 살 수 있다. 모든 사람을 좋아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건강하지도 않다. 가치와 성격이 조화를 이루는 인물들과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사회적 관계의 구조는 고통스러울 수 있지만 학습을 통해 변할 수 있다. 항상 자기애와 자존감이라는 나침반이 있어야만 최상의 연결을 만든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oothby, E.J., Cooney, G., , Sandstrom, G.M., & Clarke, M.S. (2018) The Liking Gap in Conversations: Do people like us more than we think? Psychological Science, 29(11), 1742-1756
    • Mastroianni, A.M., Cooney, G., Boothby, E.J. & Reece, A.G. (2021) The liking gap in groups and teams. Organisational Behaviou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62, 109-122.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