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미만 행복에 안주할 때의 위험

순응은 간단하고 편안하지만 장기적으로 이어지면 불만족과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진정한 행복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방법을 이야기해 보겠다.
100% 미만 행복에 안주할 때의 위험

마지막 업데이트: 05 5월, 2022

행복의 척도를 1에서 10점까지 점수를 평가하라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그 답변은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기분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그렇다면 행복을 백분율로 평가했을 때 어느 정도에 만족하겠는가? 다음에서 100% 미만 행복에 안주할 때의 위험을 알아보자.

완전한 행복은 실망이나 좌절이 없는 완벽한 현실이나 모든 목표를 달성하는 데서 오지 않는다. 행복은 단순히 유토피아에서의 삶이 아닌 자신을 흥분시키는 계획에 기꺼이 자원을 투자하는 것이다.

100% 미만 행복에 순응

100% 미만의 행복에 안주할 때의 위험: 순응의 편안함

언뜻 보기에 80퍼센트의 행복감을 느낀다는 것은 상당한 성취이자 진정한 특권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오늘날, 사회는 스트레스, 우울증, 질환, 대인 갈등, 직장 문제로 시달린다. 따라서 그 정도의 성취감을 누린다면 만족과 행운을 동시에 느껴야 하지만 순응의 편안함에 안주한 개인은 너무 보수적으로 변할 수 있어서 문제다.

불안하지만 크게 불편함이 없어서 아무 조처도 하지 않는다. 인간관계에 불만이 있지만 외롭지 않고 학대받지 않으니 괜찮다고 생각한다. 직업이 무의미하고 의욕이 없지만 참을 만한가?

이러한 사고방식은 일반적이다. 현재 삶에 순응하는 데 익숙하며 개선할 수 없다고 믿을 수도 있다. 문제는 80퍼센트의 행복감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이다.

해결되지 않은 불안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 관계가 악화되고 상대와의 감정적 거리가 나날이 멀어질지 모른다. 몇 년간 일했던 직업도 에너지를 소모하고 일상을 단조롭고 의미 없게 만든다.

갑자기 80%의 행복이 60%, 40%로 점점 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순응의 편안함을 즐긴 결과다.

마지막 한계일까?

개인은 모든 것이 무너지는 큰 위기, 즉 변화의 순간을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공황 발작으로 죽을 것 같던 날, 부부 생활을 끝내야겠다고 결정한 순간, 또는 해고 후 다시 구직 활동을 해야 할 때처럼 현실을 직시하고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는 때를 말한다.

이러한 순간은 상담 치료의 최적기이기도 하다. 겪지 않아도 되는 고통을 겪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개인이 필요로 하는 변화의 씨앗이다. 순응은 더 이상 선택 사항이 아니며 변화만이 유일한 탈출구다.

80퍼센트의 행복감을 느낀다는 말은 편안한 상황이지만 계속 무언가를 더 바라기에 충분하다. 100퍼센트의 행복을 누리려면 한계라고 생각한 현재의 행복 수치를 넘어서려고 노력할 용기가 필요하다.

100% 미만 행복에 자아실현

자아실현으로 행복 찾기

완전한 행복은 뭐든 마음대로 한다고 해서 성취할 수 없다. 혼자만의 노력으로 되는 것도 아니지만 일관성이 필요하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알고 자기 행동을 이러한 목표에 맞춘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더 평온한 삶을 살고 싶은가? 그렇다면 의무에 지거나 완벽해지려고 애쓰지 말고 위임하는 법을 배운다. 자신을 보완할 인생의 파트너를 원하는가? 혼자가 되는 것이 두렵다고 평범한 사랑에 안주하지 말자. 매일 목적을 가지고 일어나겠는가? 열정을 느끼는 분야에서 자신을 훈련하자. 방향 전환을 두려워하지 말고 목표를 향해 매일 새로운 발걸음을 내딛자.

자아실현은 인내가 필요하다. 평범함에 굴복하지 않으려면 한계를 정하는 법을 인식해야 한다. 믿음이 있어야 삶이 나아진다. 원하는 결과를 빨리 보지 못해서 과거로 되돌아가기를 바랄 수 있다. 자신에게 정직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면 차분하게 의욕과 만족감을 느낀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Prochaska, J. O., DiClemente, C., & Norcross, J. C. (1994). Cómo cambia la gente: Aplicaciones en los comportamientos adictivos. RET: revista de toxicomanías, (1), 3-14.
  • Valencia, S. M. (2020). Crisis familiares: una oportunidad para transitar de la catástrofe y el caos, al despliegue de capacidades para el cambio. Diversitas: Perspectivas en Psicología16(1), 169-180.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