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적 의존성은 대인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정서적 의존성은 개성 상실부터 해로운 유대감 형성까지 모든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글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정서적 의존성은 대인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Isabel Ortega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Isabel Ortega.

마지막 업데이트: 06 5월, 2024

정서적 의존성은 자신의 정서적 필요를 충족하고 완전함을 느끼기 위해 타인에게 크게 의존하는 해로운 행동 및 애착 패턴이다. 낭만적인 관계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모든 대인 관계 유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Ansiedad y Estrés’ 저널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정서적 의존성 강도는 다양하며 삶의 여러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해로운 관계의 발전을 초래한다.

정서적 의존성은 대인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정서적 의존성은 대인 관계

정서적 의존성은 의존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파트너, 친구, 지인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 정서적 피로, 의사소통 및 균형 있는 관계 형성의 어려움을 초래하여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된다.

자율성 부족

감정적으로 의존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정체성, 인정, 행복을 위해 파트너나 친구에 크게 좌우된다. 그래서 자율성이 부족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승인이 필요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신의 필요와 욕구가 무시되어 관계에 긴장이 생긴다.

Universitas Psychologica’ 저널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의존성이 집착과 관심을 끄는 행동을 유발하고, 계획과 결정 수정으로 이어진다고 확인했다. 따라서 의존적인 사람은 자율성을 포기하고 타인을 중심으로 산다.

불안감과 질투

정서적으로 의존적인 사람들은 불안감과 버림받는 것을 두려워하므로 파트너나 친구를 신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극심한 질투를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César Vallejo University’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정서적 의존성, 갈등과 불신은 가족 관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

‘Konrad Lorenz University Foundation’ 연구를 보면 정서적 의존성은 이별과 외로움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 외에 애정 표현을 끊임없이 갈구한다. 최악의 경우에는 질투와 불안감이 다양한 형태의 폭력을 촉발한다.

과도한 요구

타인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기대치를 갖는다. 끊임없는 관심, 애정, 지원을 요구하여 상대방에게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완벽주의 같은 비합리적인 믿음을 야기한다. 이는 관계에 대한 소진과 분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개성 상실

관계에서 개성의 상실은 의존성의 또 다른 효과다. 파트너나 친구와 감정적으로 융합되어 자신의 관심, 목표, 열정을 잊어버린다.

이는 개인적인 만족감 부족으로 이어지고 관계 내에서 개인 성장을 제한한다. ‘Comillas Pontifical University’ 연구에서는 의존적인 사람은 개성 상실로 자존감을 강화하지 못한다고 한다. 오히려 애착과 애정에 대한 과장된 욕구가 증가한다.

해로운 관계의 순환

정서적으로 의존적인 사람은 종종 건전한 경계를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해로운 행동을 용인한다. 외로움이나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학대적이거나 역기능적인 관계에 머물 수도 있다.

Technical University of Ambato’ 연구에 따르면 의존성은 애착에 거의 중독되어 희생과 복종 상태의 해로운 관계에 빠지게 하여 가족 기능을 손상한다.

정서적 의존성은 왜 생길까?

정서적 의존성의 원인과 위험 요소에 대한 절대적인 합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은 측면을 강조할 수 있다.

  • 가족 패턴: 가족 간에 의존적인 대인 관계가 관찰된다면 대인 관계에서도 유사한 패턴을 발달시킬 가능성이 더 높다.
  • 낮은 자존감과 자기비판: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외부 검증을 추구할 필요성이 더 크며 타인에게 가치 있다고 받아들여지기를 원한다.
  • 성격 요인: 걱정, 불안, 갈등 회피 같은 일부 특성은 의존적 관계 형성과 관련되어 있으며 정서적 자율성을 개발하기 어렵게 만든다.
  • 불안정한 애착 유대:MLS’ 심리학 연구 불안이나 양가 애착 같은 유년기 불안정한 애착 관계가 성인이 된 후 정서적 의존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트라우마 및 정서적 학대: Behavioral Psychology/Psicologia Conductual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과거 관계에서의 트라우마, 학대, 정서적 박탈 경험이 이러한 의존성에 기여한다고 한다. 이는 자존감, 신뢰와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한 관계 구축 능력에 해롭다.

이러한 요소는 다른 개인 및 환경적 측면과 상호 작용을 하여 정서적 의존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 분야의 연구는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지만 위험 요인과 근본 원인을 완전히 이해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정서적 의존성은 전문적 도움을 구하는 것이 중요

감정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전문적 도움을 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자기 지식: 자기 패턴과 기원을 이해한다. 전문가는 건강에 해로운 신념과 행동을 식별하고 의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감정과 과거 경험을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 개인 개발: 치료사와 함께 자존감을 키우고 자기 정체성을 개발하는 방법을 익힌다. 또한 건강한 경계를 설정하고 독립적인 결정을 내리며 자신을 적절하게 돌보도록 도울 수 있다.
  • 순환 깨기: 의존성은 반복적 관계 패턴이 될 수 있다. 심리 치료는 이 악순환을 쉽게 끊고 미래에 의존적인 관계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도구를 제공한다.
  • 더 건강한 관계: 치료를 통해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균형 잡힌 대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단호한 의사소통 기술과 자신의 필요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며, 건전한 방법으로 정서적 지원을 받는다.
  • 정서적 웰빙: 정서적 자기 조절을 개발하고 전반적인 웰빙을 증진하도록 배운다. 어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정서적 의존성의 출현은 심리적 웰빙의 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Alarcón, 2019).

정서적 의존성을 극복하고 대인 관계를 치유하기

“감정적 독립성은 더 이상 지속적인 승인의 필요성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편안함보다 타인의 기쁨을 일부러 더 노력하지 않는다.”

-수 토엘레-

의존성으로 고통받을 때 심리적 지원은 웰빙과 개인적 발전에 필수다. 정신 건강 전문가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데 이 과정에는 시간과 헌신적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건강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과 적절한 주의를 기울인다면 정서적 의존성을 개선하고 만족스러운 대인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larcón Cama, A. I. (2019). Dependencia emocional y bienestar psicológico en adolescentes mujeres víctimas de violencia de pareja y no violencia de una gran unidad escolar del Cercado de Lima. Universidad César Vallejo. Repositorio UCV. https://repositorio.ucv.edu.pe/bitstream/handle/20.500.12692/29874/Alarc%c3%b3n_%20CAI.pdf?sequence=1&isAllowed=y
  • Bachrach, H. M. y Deutsch, R. (2008). Attachment styles and personality disorders: Their connections to each other and to parental divorce, parental death, and perceptions of parental caregiving.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49(3-4), 141-161.
  • Flores Pacheco, F. S., & Miranda Checcllo, B. J. (2020). Celos, dependencia emocional y relaciones intrafamiliares en estudiantes universitarios de 18 a 25 años en Lima, 2020 [tesis para obtener el grado de Licenciado en psicología]. Repositorio Institucional Digital Universidad César Vallejo. https://repositorio.ucv.edu.pe/handle/20.500.12692/55625
  • Guevara Chum, P. E., & Suárez Izquierdo, Y. E. (2018). Creencias irracionales y dependencia emocional en mujeres víctimas de violencia por parte de su pareja de la comunidad urbana autogestionaria de Huaycán [tesis recuperada de: Repositorio Institucional Universidad Periana Unión]. https://repositorio.upeu.edu.pe/handle/20.500.12840/992
  • Lemos Hoyos, M., Jaller Jaramillo, C., González Calle, A. M., Díaz León, Z. T., & De la Ossa, D. (2012). Perfil cognitivo de la dependencia emocional en estudiantes universitarios en Medellín, Colombia. Universitas Psychologica11(2), 395-404. http://www.scielo.org.co/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657-92672012000200004
  • Momene, J., & Estévez, A. (2018). Los estilos de crianza parentales como predictores del apego adulto, de la dependencia emocional y del abuso psicológico en las relaciones de pareja adultas. Behavioral Psychology/Psicologia Conductual, 26(2). https://go.gale.com/ps/i.do?id=GALE%7CA555076772&sid=googleScholar&v=2.1&it=r&linkaccess=abs&issn=11329483&p=IFME&sw=w&userGroupName=anon%7Ec726980f&aty=open+web+entry
  • Núñez Alvarado, P. G., Sabdoval Villalba, J. (2016). La Dependencia Emocional y su relación con la Funcionalidad Familiar (Bachelor’s thesis, Universidad Técnica de Ambato-Facultad de Ciencias de la Salud-Carrera Psicología Clínica). Recuperado de: http://repositorio.uta.edu.ec/handle/123456789/24146
  • Olaso Sainz, M. D. C. (2022). Estudio de caso sobre la dependencia emocional [tesis de Maestría]. Repositorio Institucional Comillas. https://repositorio.comillas.edu/xmlui/handle/11531/66295
  • Patiño, L. M. (2020). Relación entre las dimensiones de celos y dependencia emocional en una muestra de miembros de la Policía Nacional en el departamento de Cundinamarca y la ciudad de Bogotá. Fundación Universitaria Konrad Lorenz, Bogotá. Recuperado de https://repositorio.konradlorenz.edu.co/handle/001/4176
  • Roisman, G. I., Masten, A. S., Coatsworth, J. D. y Tellegen, A. (2004). Salient and emerging developmental tasks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Child development, 75(1), 123-133.
  • Scharfe, E. y Bartholomew, K. (2007). The Impact of Emotional Dependency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tability: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2), 448-467.
  • Urbiola, I., Estévez, A., Iruarrizaga, I., & Jauregui, P. (2017). Dependencia emocional en jóvenes: relación con la sintomatología ansiosa y depresiva, autoestima y diferencias de género. Ansiedad y estrés23(1), 6-1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134793716300537
  • Vidal, E. V. (2023). Apego inseguro como variable predictora de la dependencia hacia personas y sustancias en jóvenes. MLS Psychology Research6(1). https://www.mlsjournals.com/Psychology-Research-Journal/article/view/1277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