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은 코르티솔 수치를 증가시키고, 심하면 수면의 질과 시간에도 손상이 간다. 이처럼 코르티솔은 부정적인 면이 있지만, 코르티솔 덕분에 우리는 낮에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다. 물론 잠을 자야 하는 밤에는 수치가 낮아져야 한다.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
Fátima Servián Franco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Fátima Servián Franco.

마지막 업데이트: 06 11월, 2023

코르티솔 (Cortisol)은 신경 전달 물질 역할을 하는 호르몬이다. 과학계에서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간주되는 코르티솔은 긴장감을 느낄 때 발생하여 스트레스 호르몬을 만들어 내 치료한다. 이 호르몬의 분비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과 낮은 혈중 포도당 수치등에 반응하여 시상 하부에 의해 분비량이 조절된다.

스트레스는 육체적 긴장을 유발하는 감정으로 좌절감, 분노, 긴장감을 느낄 때 유발된다. 사실, 적은 양의 스트레스는 위험한 상황 등에서 긍정적일 수 있지만, 스트레스가 일시적이지 않고 반복적인 감정으로 변할 때, 그것은 우리의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생각하고, 믿고, 느끼는 방법으로 충분히 코르티솔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게다가,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처럼, 우리의 사고방식을 수정함으로써 뇌 세포의 생화학적 활동을 바꿀 수 있다.

유머 감각이 부족하고, 짜증이 나고, 화가 자주 나는 것은 코르티솔 수치의 상승을 알리는 지표다. 혹은 별 이유 없이 늘 피로하거나 식욕이 없거나 지나친 과식을 할 수도 있다.

스트레스 호르몬, 코르티솔

스트레스, 불면증 호르몬: 코르티솔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은 코르티솔 수치를 증가시키고, 심하면 수면의 질과 시간에도 손상이 간다. 이처럼 코르티솔은 부정적인 면이 있지만, 코르티솔 덕분에 우리는 낮에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다. 물론 잠을 자야 하는 밤에는 수치가 낮아져야 한다.

코르티솔의 분비량은 하루 종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아침에 더 활동적이고, 어떤 사람들은 아침을 먹기 전에는 제대로 깨어있는 상태조차 아니다. 코르티솔 수치는 하루가 지나갈수록 낮아지는 것이 정상이고, 자기 직전에는 가장 적은 수치를 기록한다. 하지만 어떠한 스트레스 때문에 코르티솔 수치가 제 때 감소하지 않는다면, 잠드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코르티솔은 우리가 위협으로 인식하는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고, 우리의 건강과 웰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의 코르티솔 수치가 정상적일 때 정신적으로 강하고, 깨끗하고, 의욕을 느낀다. 그렇지 못하다면 우리는 혼란스럽고, 주변 상황에 대해 무관심하고, 피로를 느낀다.

얼굴 부여 잡은 남자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늘 쉽지는 않다. 건강한 신체에서, 스트레스 반응은 긴장 완화 반응을 대신한다. 한편, 만약 스트레스를 너무 자주 받는 상황이라면 이를 제어하기는 더욱 더 힘들어진다. 스트레스가 끊이질 않고 쉴 틈이 없으면 결국 몸이 아프게 된다.

쉴 시간이 없다고 말할 때가 쉬어야 하는 때다.

-시드니 J. 해리스-

스트레스는 우리를 병들게 한다

스트레스는 우리가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함을 증명하는 현상이지만, 이것이 반복되면 당뇨병, 우울증, 인슐린 저항성, 고혈압, 자기 면역 질환과 같은 질병을 발발시킨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우리의 몸은 보호 체계로 들어가고, 잘 적응한다. 즉, 만성 스트레스로 인해 우리의 면역 체계를 약화시키는 생화학적 불균형이 일어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반복적이고 강렬한 스트레스는 사회화 발전에 기여하는 한 요인이라고 한다. 이는 변화에 잘 적응하지 못한 결과다. 스트레스로 인해 생기거나 악화되는 심리적 질병들은 많이 있다.

목 잡고 있는 여인

급성 스트레스가 계속되면, 심혈관 질환뿐만 아니라 소화기 계통에도 궤양이 발생한다. 보다 더 취약한 사람들에게는 심장 마비까지 동반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질병들은 조용하게 발전하기 때문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신체의 다른 부분과 다양한 방법으로 신체화가 진행된다.

건강이 없다면 삶은 삶이 아니다. 인생은 단지 나른함과 고통의 연속일 뿐이다.
-프랑수아 라벨라스-

사회적 지원은 코르티솔 수치를 낮춘다

사회적 지원과 옥시토신은 우리 몸에서 심리 사회적 스트레스가 만들어 내는 반응을 억제하는 힘이 있다. 따라서, 가족과 친구들로부터 받을 수 있는 위로는 위와 같은 스트레스 관련 질병으로부터 우리를 지켜낼 수 있다.

사실,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의 Markus Heinrichs가 이끄는 생물학적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옥시토신 호르몬이 스트레스 억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우리의 사회적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얘기하는 친구들

체내 코르티솔 수치를 조절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요인이 몇 가지 있다. 주변에 좋은 친구를 두거나, 알코올이나 담배 같은 기호 식품의 소비를 줄인다면 간접적으로 우리의 코르티솔 수치를 낮출 수 있다.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은 또한 코르티솔 분비 조절에 도움이 된다. 왜냐하면 칼로리 섭취 감소는 코르티솔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오하이오 주립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일상 속에서 휴식을 취하고 명상에 시간을 보낼 시,  만성 스트레스의 위험을 줄인다고 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명상을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생각이 ‘명상적인 배경’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이 상태에서 우리는 우리 생각의 통제자다.

함께 해결할 수 없는 문제는 없으며, 우리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거의 없다.
-린든 베인 존슨-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dmon, R., Treadway, M. T., Valeri, L., Mehta, M., Douglas, S., & Pizzagalli, D. A. (2017). Distinct trajectories of cortisol response to prolonged acute stress are linked to affective responses and hippocampal gray matter volume in healthy females. Journal of Neuroscience37(33), 7994-8002.
  • Aguilar Cordero, M. J., Sánchez López, A. M., Mur Villar, N., García García, I., López, R., Ortegón Piñero, A., & Cortés Castell, E. (2014). Cortisol salival como indicador de estrés fisiológico en niños y adultos: revisión sistemática. Nutrición hospitalaria, 29(5), 960-968.
  • De La Banda, G. G., ángeles Martínez-Abascal, M., Riesco, M., & Pérez, G. (2004). La respuesta de cortisol ante un examen y su relación con otros acontecimientos estresantes y con algunas características de personalidad. Psicothema, 16(2), 294-298.
  • Dickerson, SS, y Kemeny, ME (2004). Factores de estrés agudo y respuestas de cortisol: una integración teórica y la síntesis de la investigación de laboratorio. Psychological Bulletin130 (3), 355.
  • Heinrichs, M., Baumgartner, T., Kirschbaum, C., y Ehlert, U. (2003). El apoyo social y la oxitocina interactúan para suprimir el cortisol y subjetivos respuestas al estrés psicosocial. Biological Psychiatry , 54 (12), 1389-1398.
  • S Moscoso, M. (2009). De la mente a la célula: Impacto del estrés en psiconeuroinmunoendocrinología. Liberabit, 15(2), 143-152.
  • Valdés, M., & De Flores, T. (1985). Psicobiología del estrés. Barcelona: Martínez Roca.
  • Gunnar, M. R., Kryzer, E., Van Ryzin, M. J., & Phillips, D. A. (2010). The rise in cortisol in family day care: Associations with aspects of care quality, child behavior, and child sex. Child Development81(3), 851-869.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