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자신답게 산다는 의미
부모, 스승이나 친구, 심지어는 마케팅 및 광고계에서도 항상 자기 자신답게 살라고 강조한다. 그러나 자기 자신답게 산다는 것은 결국 어떤 의미일까?
소셜미디어에서 보이는 모습을 진짜 자신의 모습이라고 정의하는 사람이 많다. 이렇게 일반적이고 공허한 정의에 의존하면 자신이 누구인지 모르거나 외부 조건에 지배되는 경향이 있다.
보통 자신을 둘러싼 환경의 일부가 되기를 열망해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좋아하려고 하다 보면 자신의 진정성과 심리적 안녕까지 앗아갈 수 있다. 따라서 독특하고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사람을 선별하는 데 익숙한 현재 사회에서 진정한 자신을 보이는 것은 대담하게 느껴진다.
자기 자신답게 산다는 의미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의 많은 영화, 시리즈 및 책은 진정한 자아를 찾기를 권장한다. 개성 넘치는 주인공은 항상 큰 성취를 이루지만 이러한 삶은 비현실적이다.
셀카와 소셜미디어 필터는 거짓 자아를 나타내도록 부추긴다. 십 대들은 타인을 모방해야 한다고 배운다. 따라서 인스타그램에서 자주 보이는 ‘자기 자신답게 살라’는 문구는 공허한 명령에 불과하며 문제를 유발한다.
외부 관습에만 자신을 용해하려고 하면 고통스럽다. 그래서 오늘날의 젊은이들은 더 압박감에 시달리고, 압도되면서 불안하고, 공허해진다. 억지스러운 캐릭터와 내러티브를 만들고 불안, 섭식 장애, 자해를 겪을 수 있다.
디지털 세상에서 행복은 소셜미디어 필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제 진정한 변화와 혁신을 찾고, 자신답게 살기 시작할 때다.
디지털 세상에서 사람들은 불행해지는 거짓 자아를 구축하는 데 익숙해졌다.
자기 자신답게 사는 것은 자아를 찾고 받아들이기
자기 자신답게 사는 것은 내면을 들여다본다는 의미다. 타인을 보고, 감탄하고, 모방하는 데 익숙한 사회적 자동화에서 벗어나 조금 더 근시안적인 시각으로 가장 가까운 자신에게 시선을 돌릴 때다.
무엇이 자신을 정의하는지, 어떤 상황, 경험이나 감각이 자신을 기분 좋게 만드는지 알아보자. 자신의 요구와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의 개성을 수용하여 진정한 자아를 찾는다.
자기 자신답게 사는 것은 위험을 감수하기
자기 자신답게 살려고 하면 두려움, 수치심과 불안함에 지지 않을 수 있다. 진정한 자신을 숨기고 평생 사는 것이 더 괴롭다. 그러나 자신을 드러내려면 많은 용기와 자기애가 필요하며 행복해지기 위해 노력할 가치가 있다.
루이지애나 공과 대학의 굴러 보이라즈와 연구진은 더 진실한 사람이 스트레스 수준이 낮고 심리적 웰빙이 더 크다고 주장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그러므로 더 충만한 삶을 살고 싶다면, 어떤 상황에서도 자기 자신답게 살자.
진정성은 부정적인 내적 내러티브의 비활성화
자아는 성장, 경험, 그리고 주변 환경의 산물로 비생산적인 사고 패턴과 인식을 통합하여 외모와 자격이나 재능에 대한 주변 평가를 그대로 수용할 때가 많다.
내적 대화로 부정적인 인식을 감지하고 장점으로 대체하자. 자기 잠재력, 미덕, 꿈, 필요와 접촉하고 좀 더 긍정적인 영역에 주의를 집중한다.
더 읽어보기: 자기 자신에게 친절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
항상 최고의 자신이 되기 위해 노력하기
불완전한 면 또한 자신이 누구인지를 통합하고 정의하며 항상 최고의 자신이 되기 위해 매일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의미다.
또한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원하고 좋아하는지를 타인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핵심은 존중이며 각자 자신만의 비전이 있고 공존을 축하하는 진정성도 필수다.
나날이 더 발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자신을 돌보고 주변 사람들을 소중히 여긴다면, 더 충만한 공존을 이룰 수 있다.
“사람들은 종종 아직 자신을 찾지 못한 사람이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자아는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하는 것이다.”
-토마스 사즈-
약점을 인정하는 연습하기
마지막 요소는 약점 인정하기다. 하지만 타인에게 약점을 공개하면 비판이나 오해를 받을까 봐 꺼림칙하고 두려울 수 있다.
자신의 두려움, 과거의 상처, 좌절된 꿈, 심지어 만성 질환까지 솔직히 털어놓는다면 가면, 필터와 거짓 없이 진정성 있고 단순하며 의미 있게 자신을 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시도할 가치가 있다. 사실, 자기 자신답게 사는 것은 어렵지만, 충분히 노력할 가치가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oyraz, G., Waits. J.B. and Felix, V.A. (2014). Authenticity, life satisfaction and distress: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1, 498–505.
- Kifer, Y., Heller, D., Perunovic, W.Q.E. and Galinsky, A.D. (2013). The good life of the powerful: The experience of power and authenticity enhances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Research, Theory, and Application in Psychology and Related Sciences, 24, 2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