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사랑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가?

가족과 친구를 향한 애정 또는 연인을 향한 열정적인 사랑이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가? 어쩌면 사랑은 인류의 기본 욕구가 아닐까?
인간은 사랑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가?
Valeria Sabater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Valeria Sabater.

마지막 업데이트: 06 6월, 2023

사랑은 사람을 바보처럼 행동하게 만든다고 말한다. 수많은 실망과 상처, 좌절에 지쳐 마음의 문을 닫는 사람들도 있다. 때로는 사랑하지 말아야 할 사람들과 사랑에 빠지거나 잠시 지속되는 연애가 있다. 그리고 짝사랑이라는 고통스러운 함정에 빠지기도 한다. 어쩌면 인간은 사랑하도록 프로그램된 것은 아닐까?

사랑은 뇌에서 활성화하며 사회 생물학적 목적이 있다. 종의 번식만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다. 애정은 커플의 열정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사랑하다’라는 가장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는 동사다. 깊고 풍요롭고 건강한 감정을 느끼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인간은 생존과 안녕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인물과 애착 관계를 구축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더 읽어보기: 사랑하고 사랑받는 것: 감정의 발자국

사랑하도록 애착
사랑은 사회적 두뇌의 기본적인 욕구인 애착에서 시작한다.

사랑하도록 프로그램된 인간

뇌의 사랑 메커니즘을 알면 인류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사랑하면 활력이 넘치고 배신은 왜 그렇게 아픈지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기능 장애가 있는 냉정한 가정에서 자라면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파트너, 친구 또는 가족이든 사랑하고 사랑받는 것은 배고픔이나 갈증과 같은 생물학적 욕구다. 생존에 대한 욕구는 연결에 대한 욕구를 능가한다. 따라서 존재를 보존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인간 뇌의 주요 목표다.

행동 과학 전문인 정신과 의사인 스테파니 카치오포는 저서인 ‘Wired for Love: A Neuroscientist’s Journey Through Romance’에서 인류가 사랑하도록 ‘프로그램’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랑이라는 감정이 목적과 의미를 부여하는 요구라고 주장한다.

사랑은 보살핌과 보호가 필요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뇌는 본능적인 감정을 경험할 때 최대 12개 영역을 활성화한다.

근본적인 요구, 애착

생존은 주로 애착과 서로 결속하는 능력에 달려 있 다. 애착은 심리학과 행동학 분야에서 상호 보살핌, 애정, 보호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적 유대를 정의한다. 이 경험은 자녀와 부모 사이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부부 사이, 심지어 우정 사이에서도 발전한다.

삶에서 소중한 인물이 있으면 스트레스를 줄이고 소속감을 키운다. 애정, 배움과 경험이 지혜를 주는 종류의 관계일 때 소속감을 느낀다. 사실, 어떤 형태로든 사랑에는 배려와 존중이 내포되어 있다.

관계는 우리에게 의미와 목적을 부여합니다

카치오포는 저서에서 미국 시라큐스대 연구에 관해서도 언급하며 사랑이 뇌의 도파민성 보상 회로를 활성화한다고 제안한다. 또한 옥시토신, 세로토닌 및 아드레날린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의 급류는 뇌 영역을 최대 12부위나 활성화하여 다양한 요구, 동기 및 감각을 생성한다.

하지만 사랑을 조율하는 복잡한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은 목적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파트너와 가족의 애정은 우정처럼 존재에 의미를 부여한다. 이 깊고 다면적인 감정은 동기를 부여하고 매일 아침 일어날 가치가 있는 이유를 기억하게 하는 사회적 접착제다.

인간을 향상하는 사회 계약

인류는 사랑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모든 형태의 사랑은 커플, 가족, 친구 그룹까지도 사회 계약의 한 형태다.

사회 계약이 성공적이고 만족스러워지려면 형평성, 정의, 보살핌을 기반으로 연결돼야 한다. 사랑한다는 것은 매일 서로 협력한다는 의미다. 이 무의식적인 계약을 통해 문제와 도전을 해결하고 자녀를 양육하고 경제적 지원을 찾고 사회적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

자신이 누구인지는 매일 교류하는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다. 사랑하는 사람을 돌보는 것은 더 큰 보안과 웰빙으로 사회를 탐색할 수 있다. 이 지원은 거의 항상 복잡한 환경에서 발전한다.

모두가 보살핌을 받고 사랑받고 존중받고 있다고 느낄 필요가 있다. 이 정서적 연결은 인간이 사회적 존재로 진화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든다.

더 읽어보기: 관계에서 정서적 책임을 개발하는 방법

사랑하도록 사회 계약
사랑한다는 것은 자신을 보호하고 사회적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사랑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고 사랑받을 만한 인간

왜 마땅히 사랑받아야 할 방식으로 사랑받지 못하는지 의아할 것이다. 이는 정신-감정 조직에서 가장 큰 왜곡이며 아이러니이자 엄청난 비극이다. 인간은 사랑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지만 때때로 과하게 사랑받는다.

사랑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역기능 가족 때문에 불행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거나 실연했다고 해서 마음의 문을 닫지는 말자.

마음의 문을 닫지 말자. 애정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좋은 친구들은 또한 웰빙에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셰익스피어가 말했듯이 ‘사랑은 비 온 뒤의 햇살처럼 위로가 된다.’ 그러니 도망치지 말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eauregard M, Courtemanche J, Paquette V, St-Pierre EL. The neural basis of unconditional love. Psychiatry Res. 2009 May 15;172(2):93-8. doi: 10.1016/j.pscychresns.2008.11.003. Epub 2009 Mar 25. PMID: 19321316.
  • Cacciopo, Stephanie (2022) Wired for Love:A Neuroscientist’s Journey Through Romance. Robinson
  • Ortigue S, Bianchi-Demicheli F, Patel N, Frum C, Lewis JW. Neuroimaging of love: fMRI meta-analysis evidence toward new perspectives in sexual medicine. J Sex Med. 2010 Nov;7(11):3541-52. doi: 10.1111/j.1743-6109.2010.01999.x. Epub 2010 Aug 30. PMID: 20807326.
  • Zablocki-Thomas PB, Rogers FD, Bales KL. Neuroimaging of human and non-human animal emotion and affect in the context of social relationships. Front Behav Neurosci. 2022 Oct 21;16:994504. doi: 10.3389/fnbeh.2022.994504. PMID: 36338883; PMCID: PMC963367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