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적 치유 효과가 있는 치료 사진
사진은 일상의 일부다. 최근에는 좋은 카메라가 있는 전문 사진가가 될 필요는 없다. 사실, 거의 모든 사람이 가지고 다니는 휴대전화로도 충분하다. 치료 사진 효과에 관해 이야기하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접근성 때문이다.
사진은 정신 건강과 웰빙을 증진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자신 외에 심리학자, 치료사, 그룹 등 타인과 대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시각적 요소는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경험을 전달하기 때문이다.
더 읽어보기: 나이가 들수록 시간 감각이 빨라지는 이유
치료 사진: 전문 사진 작가가 될 필요는 없다
의사소통의 한 형태로서의 사진은 카메라에 대한 사전 지식이나 경험이 필요하지 않다. 이 기법은 상징적 탐색을 용이하게 하여 자기 감정에 접근하고 자아에 의문을 제기하여 조화를 찾도록 한다.
치료 사진은 투영을 도구로 사용한다. 필터, 변명, 합리화 등과 같은 방어 기제를 피한다. 치료 사진의 개척자인 캐나다 심리 치료사, 주디 와이저는 치료 사진에서 다섯 가지 기술을 확인했다.
1. 직접 찍은 사진
사진을 찍으면 현실을 해석할 가능성이 커진다. 현실을 자신의 존재 방식과 병합하고 주변 세계를 연결하여 볼 수 있다. 또한 주변 사람들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치료 사진에 나타나는 장소와 사물, 주제의 의미를 표현하는 은유와 상징으로 활용될 수 있다.
2. 초상 사진
치료에서 초상 사진은 자아 개념과 자존감에 관해 작업하도록 대립을 허용하고 감정 표현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초상 사진은 자신과 대면하는 고통스럽고 취약한 만남을 처리하는 데 유익하다. 또한 치료사의 도움이 있으면 자아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기 지식은 적극성을 촉진하며 자신의 장단점을 식별하는 데 유용하다.
3. 다른 사람이 찍은 자기 사진
다른 사람이 찍은 자기 사진은 자신의 옆모습이나 잠들었을 때의 모습 등 스스로 볼 수 없는 부분을 보여준다.
이러한 사진은 타인의 관점에서 자신을 보게 한다. 타인이 찍어준 자기 사진은 자신이 깨닫지 못했던 사실처럼 정체성에 관한 다양한 ‘진실’을 보여준다.
4. 직접 수집한 사진
사진을 저장하면 이해로 이어지는 내부 경로를 만드는 데 유용하다. 사진 수집은 은유를 통한 자기 탐색 수단이다. 또한 사진은 이성과 감정에 대한 복잡하고 특정한 내용을 표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수집한 사진은 일반적으로 자신에 관해 말해준다. 이미 수집한 사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일 것이다.
더 읽어보기: 시도해보면 좋을 커플 테라피 훈련 10가지
5. 치료 사진: 가족 앨범
가족 앨범은 영원히 정지된 순간과 같다. 지나간 추억이 마치 ‘살아’ 있고 지금 존재하는 것 같다. 가족과의 사진을 통해 자기 삶을 탐구하고 개인적인 역사를 발견하도록 격려한다.
마지막으로 치료 사진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문제를 줄이거나 정신 건강을 강화하고 개인적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예방 활동일 수도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Irala-Hortal, P. (2018). La imagen como terapia = Image as therapy. Revista Española De Comunicación En Salud, 9(2), 237. https://doi.org/10.20318/recs.2018.4502
- Peljhan, M. (Ed.). (2015). Phototherapy: from concepts to practices. http://www.cirius-kamnik.si/uploads/cms/file/Knjige in clanki/Fototerapija ENG (1)_compressed.pdf
- Weiser, J. (2004). PhotoTherapy Techniques in Counselling and Therapy — Using Ordinary Snapshots and Photo-Interactions to Help Clients Heal Their Lives. Canadian Art Therapy Association Journal, 17(2), 23–53. https://doi.org/10.1080/08322473.2004.11432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