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의 강요로 절박해진 창의력

창의적 작업은 많은 감정이 소요된다. 혁신을 강요당하면 중압감과 짜증에 시달리면서 창의력을 발휘하는 일이 힘들고 절박해지고야 만다.
혁신의 강요로 절박해진 창의력
Gorka Jiménez Pajares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Gorka Jiménez Pajares.

마지막 업데이트: 28 5월, 2023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는 데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는가? 누구나 영감이 떠오르지 않는 상황을 접할 수 있다. 일이나 생활 환경이 혁신을 요구할 때 긴장되고 불안한 종류의 창의성이 나타난다. 이번 글에서는 혁신의 강요로 절박해진 창의력이 무엇인지 이야기하겠다.

획기적이고 혁신적이면서 유용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해야 한다는 압박감은 잠재적 불편함의 원인일 수 있다. 최근 이 문제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기도 했다.

혁신의 중압감
크리스티나 포토크닉은 성공, 진보, 성과, 효율성, 만족 및 지속 가능성과 관련된 창의력은 삶의 필수라고 말한다.

혁신의 정의

혁신은 진보한다는 의미다. 혁신이 없다면 현재 인류가 누리는 의료 또는 기술을 누릴 수 없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혁신은 공학에서 인류학, 심리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식 분야에서 심도 있게 연구되었다.

조직 심리학에서 혁신의 정의는 ‘제품의 새롭고 더 나은 형태 또는 제품으로 귀결되는 프로세스를 촉진, 제안 및 실행’하는 것이다.

창의력은 다르게 생각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는 것으로 구성되지만 혁신은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길 때 발생한다. 따라서 혁신과 창의성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생성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방법과 아이디어가 유용한지 쓸모없는지에 관해서도 언급한다.

“프로처럼 규칙을 배워 예술가처럼 깨부술 수 있다.”

-파블로 피카소-

창의력과 혁신의 역설

창의력과 혁신은 두 가지 미덕이라고 생각됐다. 그러나 조직 심리학 관련 연구에서는 창의력과 혁신이 모두 역설적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둘 다 최적의 결과와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도 생성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창의적인 개인의 감정 조절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창의적인 충격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은 길을 닦는 것과 같다. 창의적인 사람의 수만큼 길이 있다. 창의적으로 되려면 인지적 유연성과 인내라는 두 가지 요소가 필요다. 이 두 가지가 함께 발견되면 창의력이 급증할 수 있다.

창의력과 관련된 일은 제대로 정의되지 않을 때가 많다. 인지적 유연성이라는 요소가 생성, 평가, 구현 및 결과의 모든 단계에서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해서 큰 정신적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절박한 창의력은 초기 단계에서 나타난다. 작업자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을 때 크리스티나 포토크닉이 말하는 창의적 충격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은 두려움이나 좌절과 같은 혐오적인 감정을 경험하는 동시에 긍정적인 감정이 감소한다.

반면에 감정 상태가 변할 때 더 창의력을 발휘한다. 부정적인 감정에서 긍정적인 감정으로 바뀌는 정서적 변화가 창의적 아이디어가 탄생시킨다. 즉, 이러한 정서적 변화가 너무 자주 발생하면 대가가 클 수 있다. 창의력이 업무의 일부인 직업에서 매일 발생하는 일이다.

“실존적 위기는 사람들로 하여금 궁극적으로 더 나은 아이디어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는 더 어려운 탐색에 참여하게 한다.”

-크리스티나 포토크닉-

더 읽어보기: 음악 감상이 창의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혁신의 정서적 변화
감정 상태가 변하면 창의성이 증가한다.

정서적 조절과 창의력

개인은 자신의 개성 중 어떤 것이 동료의 개성과 충돌할 수 있는지 식별해야 한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긴장과 불일치가 발생하면 혼란스럽고 창의성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대처하려면 자기감정은 물론 상관들의 감정까지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감정 조절은 감정을 감지, 평가 및 변경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렇게 하면 창의적인 목표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창의력이 필요한 일을 하는 개인은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탈 수 있다. 해결책이 없어 보이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의 좌절감에 지배당할 수 있다. 절박해진 창의력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올리는 과정이고 감정 조절은 성공적인 결론에 도달하는 데 근본적인 역할을 한다.

“자기감정을 관리하는 것은 창의성과 혁신의 두 단계를 모두 지속하는 데 중요하다.”

-크리스티나 포토크닉-

이 글은 어떤가요?
창의력과 무질서한 마음 사이의 연결
Wonderful Mind
읽어보세요 Wonderful Mind
창의력과 무질서한 마음 사이의 연결

창의력과 무질서한 마음은 분명히 서로 무관한 개념이다. 무질서 또는 부조화는 창의력과 상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수선한 마음을 정리하려면 특정 순간에 생각을 자유롭게 연관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창의력은 무질서한 요소를 일관되고 조화로운 전체로 결합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Potonik, K., Verwaeren, B., & Nijstad, B. (2022). Tensions and Paradoxes in Creativity and Innovatio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38(3), 149-163.
  • Amabile, T. M.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1), 123-167.
  • Castells, M. (2008). Creatividad, innovación y cultura digital. Un mapa de sus interacciones. Telos: Cuadernos de comunicación e innovación, (77), 50-52.

'원더풀 마인드' 콘텐츠는 오직 교육 및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