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모니터링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신의 성격을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오늘의 글에서 소개할 자가 모니터링이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활용해보는 것이 어떨까?
자가 모니터링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마지막 업데이트: 23 11월, 2021

사람들을 잠시 관찰하면 발견하게 되는 흥미로운 점이 있다. 바로, 관심을 끌기를 좋아하는 것, 조용히 이야기를 듣는 것을 선호하는 것, 과시욕이 있는 것 등 사람마다 하는 행동과 보이는 성향이 각기 다르다는 것이다. 자신의 성격을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오늘의 글에서 소개할 자가 모니터링이라는 흥미로운 개념을 활용해보는 것이 어떨까? 아래에서 자가 모니터링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보도록 하자!

자가 모니터링은 개인이 자신의 행동을 사회에 ‘최적화’하는 데 필요하다. 즉,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스스로 모니터링을 하는 것이다.

이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상호 작용 및 소통 방식에도 큰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개인의 성격에 대해서도 많은 것을 알게될 수 있다고 한다.

오늘의 글을 계속 읽고 더 자세히 알아보자!

자가 모니터링

표현 행동에 대한 자가 모니터링은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행동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 심리학자인 Mark Snyder가 제안한 개념이다.

사회의 일반적인 ‘규칙’ 및 ‘규율’을 준수하기 자신의 행동에 얼마나 신경을 쓰며 행동하는 지 알아보는 데 효과적인 이 ‘자가 모니터링’은 자기 관찰, 자기 통제 및 자기 표현이라고도 불린다.

Snyder는 자가 모니터링 이론과 함께 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를 설계했다.

이 척도는 다음과 같은 문항들에 동의하는지 아니면 동의하지 않는지를 바탕으로 평가한다.

  • 나는 평소 보이는 것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 나는 혼자 있을 때보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코미디를 볼 때 더 많이 웃는다.
  • 나는 그룹에서 관심의 중심이 아닐 때가 많다.
  •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내 자신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기를 좋아한다.
  • 나는 다른 사람들이 내 행동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주의를 기울이고, 문제를 잃으키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자가 모니터링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가 모니터링이 성격에 미치는 영향

설문지에 제공된 답변에 따라 개인은 자가 모니터링의 높음, 낮음 또는 중간 영역에 해당하는 점수를 얻게 된다.

일반적으로 비슷한 점수를 가진 이들은 몇 가지 공통적인 특성을 보인다. 아래에서 알아보자

자가 모니터링 점수가 높은 사람

  • 그들은 외향적이고 적극적이다.
  • 그들은 상황에 따라 행동한다.
  • 그들은 사회적 요구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감독하는 경향이 있다.
  • 그들은 다른 사람의 표현 및 자기 표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들은 또한 다른 사람들을 더 잘 파악할 수 있다.
  • 그들은 하는 활동에 따라 각기 다른 친구과 어울리는 경향이 있다.

자기 모니터링 점수가 낮은 사람

  • 그들은 내성적이고 자기 지향적이다.
  • 그들은 개인적인 원칙, 신념, 성향에 따라 행동한다.
  • 상황에 따라 행동하기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대로 느긋하게 행동한다.
  • 그들에게 친구란 ‘전부’이다. 그들은 활동마다 어울리는 다양한 친구 그룹이 없다.

설문에서 가장 높은 점수 또는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이들이 보통 위와 같은 성향을 보인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그러나 사실, 사람들의 대부분은 높지도, 낮지도 않은 ‘중간’의 점수를 받는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자기 모니터링을 통해서도 자신의 성향을 100% 식별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자가 모니터링이 사회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자가 모니터링이 사회적, 개인적 수준에 미치는 영향

자가 모니터링은 사회적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친다. 사실, 높은 점수의 자가 모니터링 결과를 받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에서 더 카리스마 있으며, 효과적인 소통을 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관심의 중심이 되는 것을 좋아하며,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데 더 능숙하다.

반면에, 낮은 점수의 자가 모니터링을 보이는 사람들은 일상 속에서 거부를 당하거나, 불만족스러운 상호작용을 더 자주 경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사회의 일반적인 규범에 둔감하여, 다양한 문제를 경험하기도 한다.

인생이 연극이라면, 자신의 ‘시나리오’를 고치고, 확인하는 데 큰 걱정을 하지 않는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들은 우울증을 앓을 위험이 더 큰 것으로도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향은 병리학적이거나 부정적인 특성이 아니다. 사실, 낮은 수준의 자기 모니터링은 높은 ‘암묵적 자존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이러한 이들은 실제 자신과 이상적인 자신의 모습간의 차이가 적고, 감정적 또는 성적인 차원에서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할 때 외모보다 성격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

궁극적인 목표는 균형을 찾기 위해 항상 자신의 태도를 확인하는 고치는 것이다. 실제로, 사회적으로 적응하는 것에는 큰 이점이 있다. 그러나 자신을 투영하는 방식과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보는 방식에 대해 지나치게 염려하는 것은 불안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중간 지점을 찾는 것이 가장 좋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via, M. D., Carrillo, J. M., & Rojo, N. (1991). Auto-obsevación, apertura a la experiencia y elección de situaciones sociales: un estudio preliminar. Análisis y modificación de conducta17(55), 801-811.
  • Fernández, J. S., & Gómez, J. L. G. (1991). Factores psicosociales y síntomas depresivos: el caso de la auto-observación. Psicothema, 381-399.
  • Jiménez, J. A. (1999). Autoconciencia, personalidad sana y sistema autorreferente. Anales de Psicología/Annals of Psychology15(2), 169-177.
  • Snyder, M. (1974). Self-monitoring of exp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0(4): 526.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