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식적 임박성 이론의 불안 개념

현재 불안이라는 단어는 다소 느슨하게 사용된다. 사실, 불안은 어떤 종류의 불편함을 설명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며 완전히 부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포식적 임박성 이론에 따르면 불안은 특정한 상태로 긍정적일 수도 있다.
포식적 임박성 이론에서는 인간은 평생 다양한 위험에 직면해야 한다고 말한다. 위협 요인의 존재는 불안을 포함한 다양한 감각과 지각을 자극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하게 한다.
“두려움은 지혜로운 자에게 자연스러운 것이고, 두려움을 물리칠 줄 아는 것은 용감하다.”
-알론소 데 에르시야-
더 읽어보기: 불안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꾸는 꿈 10가지

포식적 임박성 이론
포식적 임박성 이론에서 공포는 위협을 느낄 때 활성화되는 행동 메커니즘이라고 주장한다. 초기 인류는 사자와 같은 포식자에게 위협과 공포를 느꼈고 현대에는 위험한 지역의 으슥한 길을 걷는 것과 같은 데에서 위협을 느낀다.
이 이론은 위협에 직면했을 때 여러 ‘방어 단계’가 나타나며 특정 자극이 활성화하면 위협 수준에 따라 방어 행동의 출현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포식적 임박성,’ 즉, 피해를 볼 확률에 따라 방어 행동의 강도와 특성이 달라진다.
포식적 임박성 이론에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방어 단계가 있다.
1. 방어 단계
다른 방어 단계처럼 강도는 높거나 낮을 수 있으며 세 가지 행동 유형을 볼 수 있다.
- 위협에 대한 사전 방어 행동: 위협 또는 포식적 임박성은 낮지만 존재하는 상황에 해당한다.
- 위협당한 후 방어 행동: 위협 또는 포식자가 감지되었지만 즉각적으로 공격당하지 않거나 공격이 발생할지 확실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 공황 단계 방어 행동: 위협당한 후 방어 행동이 실패했을 때 발생하며 포식자와 직접 접촉하고 위협이 구체화한다.
2. 위협에 대한 반응
특정 행동에 대한 방어가 다음과 같이 구체화한다.
- 패턴 변경 또는 신중한 접근: 위협에 대한 사전 방어 행동에 대한 응답을 말한다.
- 고정, 반사 강화 또는 통각 상실: 위협당한 후 방어 행동에 대한 대응이다.
- 감정 폭발, 도피, 공격: 공황 단계 방어 행동으로 촉발되는 가능한 행동이다.
3. 심리적 구성
심리적 구성은 이미 설명한 지각과 행동을 수반하는 정서적 상태로 불안, 두려움 및 공황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항우울제와 항불안제를 병용할 수 있는가?

포식적 임박성
포식적 임박성 이론은 각 단계에 앞서 설명한 과정이 동시에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 위협에 대한 사전 방어 행동은 행동 패턴의 변화 또는 신중한 접근을 유발하며 불안이 지배적이다.
- 위협당한 후 방어 행동은 정지, 예민한 반응 또는 지각의 차단을 생성하며 두려움이 우세하다.
- 공황 단계 방어 행동은 감정 폭발이나 회피 또는 공격 반응을 유발하고 공황에 빠진다.
예를 들어 위험 지대의 어두운 골목을 걷는다고 생각해 보자. 멀리 수상한 인물이 나타나면 불안을 느끼고 다른 길로 가야겠다고 생각하는 것이 위협에 대한 사전 방어 행동이다.
위협당한 후 방어 행동은 갑자기 모퉁이를 돌았을 때 수상한 사람과 마주친다면 두려움에 빠져 움직이지 못하거나 예민하게 상대를 관찰하게 된다.
세 번째로 공황 단계 방어 행동은 수상한 사람이 무기를 꺼냈을 때 상대와 싸우거나 도망 또는 충격에 빠졌을 때를 말한다.
이와 같이 불안, 두려움 또는 공황은 모든 경우에 자기 보호와 관련하여 적절하게 위협을 인지하고 회피하거나 직면하는 행동을 하게 한다. 사실, 명백한 ‘부정적’ 감정은 실제 위험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여 적응하는 역할을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ias, C. S., Cruz, J. F. A., & Fonseca, A. M. (2011). Ansiedad, percepción de amenaza y estrategias de afrontamiento en el deporte: diferencias individuales en el rasgo de ansiedad.
- Garrido Muñoz, A. (2021). Mecanismos autonómicos de la modulación de la respuesta cardíaca de defensa.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