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척수막의 구조와 기능
뇌와 척수는 세 개의 막으로 이루어진 뇌척수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세 개의 뇌척수막은 경뇌막, 거미막, 그리고 연뇌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 두 개는 연수막에 포함된다. 경뇌막은 뇌경수막이라고도 불린다. 뇌척수막의 주요 기능은 뇌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연약한 기관으로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다. 다른 기관은 적어도 이러한 특별 보호가 필요하진 않을 것이다. 게다가, 이 보호막은 혈액-뇌 장벽의 일부이기도 하다.
뇌척수막의 구조와 기능
원시적 뇌척수막이라고 알려져 있는 뇌척수막의 줄기 중 하나는, 간충조직과 신경관에서 유래된 요소들로 구성되어있다. 원시적 뇌척수막은 두 개의 막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이것은 내부(내수막)와 외부(외수막)이다.
내수막은 거미막과 연뇌막과는 다르며, 중배엽과 외배엽에서 유래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외수막은 경뇌막과 두개골을 구성하고 오직 중배엽으로만 구성되어있다.
뇌척수막의 구조
경뇌막
경뇌막은 뇌척수막의 가장 바깥 막이며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바깥의 층은 골막으로 혈관과 신경을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두개골 밑의 관절과 함께 두개골의 내부 표면에 붙어있다.
경뇌막의 가장 깊은 층의 이름이 뇌막이다. 뇌의 기능을 여러 부분으로 분할하는 반사 신경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이 세 가지의 부분 중, 가장 중요한 것들은 대뇌겸과 소뇌천막이다. 게다가, 경뇌막과 골막 사이에는 뚜렷한 경계가 없다. 뇌막이 더 적은 섬유아세포들과 비율적으로 콜라겐이 적기 때문에 두 막은 조직학적으로 구분이 가능하다(2).
거미막
거미막은 뇌척수막의 중간에 있는 막이다. 이것은 뇌척수액을 담고 있는 지주막 공간을 포함한다. 지주막 공간의 깊이는 거미막과 연뇌막의 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두 개의 세포층이 거미막을 형성한다. 이 세포층들은 경뇌막의 세포 가장자리에 있다 (3).
이 층은 많은 접착반들과 융합막들에 가깝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유체가 잘 움직이도록 유지시켜준다.
이 복잡한 거미집 모양의 층은 거미막 가장 깊숙이 위치해있다. 이것을 이루는 세포들은 지주막 공간을 연뇌막에 연결해준다. 그들은 또한 층을 통과하는 혈관을 둘러싸고 있다 (1).
거미막 융모는 미세한 구조로, 뇌척수액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들이 작용하는 방법은 불분명하다. 몇몇 사람들은 거미막 융모가 뇌척수액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연뇌막
연뇌막은 뇌척수막의 가장 안쪽에 있는 막이다. 이것은 뇌와 척수의 표면에 붙어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섬세한 혈관 구조이다.
이것은 뇌의 표면에 붙어 있는 연속적인 층이며 뇌의 틈과 흠으로 스며든다. 데스모솜과 간극 결합이 세포들을 연결하고, 이것을 통해 각 층이 장벽의 기능을 할 수 있다.
피르호-로빈 스페이스
피르호-로빈 스페이스는 혈관 주위에 위치해 있으며 작은 동맥과 세동맥들을 둘러싸고 있다. 그들은 뇌의 표면을 관통하고 지주막 공간에서 안쪽으로 확장되어 있다(1).
이러한 공간은 인지 기능(4)의 명백한 손실과 관련 없이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커진다. 또한, 이 공간이 팽창되는 것은 고혈압, 신경 정신병학 장애, 다발성 경화증, 그리고 외상과 같은 조건들에 관련이 있다.
뇌척수막의 기능 및 구조를 알아두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저자 파텔과 키르미(2009)는 뇌척수막에 대해 아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가 뇌척수막에 관련된 병적 측면을 알기 위해 뇌척수막의 구조, 기능, 해부학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Patel, N., & Kirmi, O. (2009). Anatomy and imaging of the normal meninges. In Seminars in Ultrasound, CT and MRI (Vol. 30, No. 6, pp. 559-564). WB Saunders.
-
Haines, D. E., Harkey, H. L., & Al-Mefty, O. (1993). The “subdural” space: a new look at an outdated concept. Neurosurgery, 32(1), 111-120.
-
Alcolado, R., Weller, R. O., Parrish, E. P., & Garrod, D. (1988). The cranial arachnoid and pia mater in man: anatomical and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Neuropathology and applied neurobiology, 14(1), 1-17.
-
Groeschel, S., Chong, W. K., Surtees, R., & Hanefeld, F. (2006). Virchow-Robin spaces on magnetic resonance images: normative data, their dilatation,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Neuroradiology, 48(10), 745-754.
-
Kwee, R. M., & Kwee, T. C. (2007). Virchow-Robin spaces at MR imaging. Radiographics, 27(4), 1071-1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