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정의한 투영, 억압 및 부정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Valeria Sabater
방어 기제를 이야기하면 자동으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얼굴이 떠오르는 사람들이 많다. 프로이트의 정신역학 이론이 이제 구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실수일 수 있다. 사실,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정의한 투사, 억압과 부정은 프로이트 학파의 직접적인 유산이며 인지 학파에 의해 계승되었다.
방어 기제는 이제 비합리적 인지라고 불리며 불안과 관련된 많은 정신적 도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인지 행동 이론의 기반을 만든 앨버트 엘리스와 에런 벡은 처음에는 프로이트가 정의한 무의식적 메커니즘을 거부했지만 이후 이름만 바꿔 사용했다.
내적 갈등은 보편적
대부분 어린 시절, 교육 또는 초기 경험에서 내적 갈등이 비롯되었을 수 있다는 생각은 여전히 유효하다. 즉, 심리 성적 발달과 같은 많은 프로이트 모델은 오래됐고 일관성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자기기만 같은 현실은 완벽하게 유효하다.
누구나 어느 시점에서 방어 기제를 사용한다. 결국 삶, 관계, 경험은 엄청나게 복잡할 수 있다. 방어 기제는 고통을 줄이고 종종 혼란스러운 환경에서 생존하게 하지만 그 대가는 엄청나다. 장기적으로 높은 심리적 피로 상태에 빠지기 때문이다.
더 읽어보기: 감정 조작: 내적 갈등을 해결하는 일반적인 전략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정의한 투영, 억압 및 부정
투영, 억압, 부정은 아마도 가장 유명하고 자주 사용되는 방어 기제일 것이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그의 딸인 안나 프로이트가 처음으로 방어 기제를 정의한 지 한 세기가 넘었지만 여전히 지금도 모두가 본능처럼 계속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원은 프로이트의 성격 이론의 일부를 형성한다. 프로이트는 자신의 저서에서 정신은 충동, 가치(또는 사회적 규범) 및 자아에 사로잡혀 있다고 설명했다.
인지적 관점
인지 학파는 이러한 유형의 정신적 갈등을 부인한다. 즉, 정신이 원초아, 자아 또는 초자아로 파편화되어 있다는 생각을 믿지 않고 그 자체의 교육, 경험 또는 해석으로 명백하게 비합리적인 아이디어를 사용하는 단일한 실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무의미하고 해로운 생각은 사람을 불안 상태로 몰아넣는다. 사물에 대한 잘못된 해석이며 단기적으로는 인간의 잠재력과 행복 능력을 감소한다.
투영, 억압, 부정과 같은 방어기제가 고통스럽게 작용할 수 있다. 방어기제는 개인을 보호하기보다 변화를 막는다. 예를 들어, 감정적 이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며 부정하면 또 같은 상황에 빠지기 쉽다. 모든 사람을 불신하고 다시 사랑하기를 거부하며 고통받는다는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한다. 아래에서 세 가지 방어 기제 유형을 살펴보자.
투영: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타인에게 전가
투영은 일반적인 방어 기제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부정적인 투영은 자기 결점이나 잘못을 타인의 탓으로 돌린다. 간단히 말하면 타인을 비판하는 것은 자신과 연결되어 있으며 자기 단점과도 관련이 있다.
한편, 대부분 특히 사랑에 빠졌을 때 반복적으로 긍정적인 투영법을 사용한다. 사랑하는 사람을 과도하게 미화하면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다치게 한다.
더 읽어보기: 사랑을 베풀고 항상 곁을 지켜주는 사람을 소중히 하기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정의한 억압: 상처를 숨기는 것
프로이트 부녀가 투영, 억압, 부정을 정의했을 때는 감정이 인간의 행복과 관련이 있는지 몰랐다. 그러나 억압은 감정과 밀접하다. 인간은 감정, 기억과 생각을 억압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상처를 억누르는 것은 정신적으로 가장 도움이 안 되며 불안 장애, 우울증 등 심리적 균형에 가장 큰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부정: 상처를 억누르고 모른척하기
부정은 아주 일반적인 방어 기제이지만 자주 사용한다고 해서 덜 무해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중독은 거부가 가장 분명하고 해로운 방어 기제다. 알코올 중독자나 약물 중독자는 스스로 음주량이나 약물 복용량을 통제할 수 있고 무해하다고 말한다.
또한 부정은 의존적이고 해로운 관계에서 일반적이다. 증거를 부정하고 사랑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며 관계에서 학대나 감정적 조작을 보기를 거부하는 파트너에게서 나타난다.
실제로, 정신역학 이론이 남긴 방어 기제는 여전히 유효하며 어떻게 감지하여 비활성화할 수 있는지 알면 삶의 질이 더 나아질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Kramer, U. (2010). Coping and defence mechanisms: What’s the difference? Second act.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83(2), 207-221. doi :10.1348/147608309X475989
- Larsen, A., Bøggild, H., Mortensen, J., Foldager, L., Hansen, J., Christensen, A., & … Munk-Jørgensen, P. (2010). Psychopathology, defence mechanisms, and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56(6), 563-577. doi:10.1177/0020764008099555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