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한 가족을 대하는 방법

자신에게 고통과 스트레스만 주는 역기능적이거나 문제가 있는 가족이 있는가? 이러한 가족과 함께 살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면 이번 글에서 제공하는 지침에 유의하자.
유독한 가족을 대하는 방법
Valeria Sabater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Valeria Sabater.

마지막 업데이트: 31 5월, 2023

조작, 거짓말, 무례, 협박은 모두 유독한 가족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다루기가 쉽지 않다. 사실, 이러한 유형의 가족은 종파와 유사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유독한 가족을 대하는 방법을 정확히 알아야만 그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

유독한 가족의 파괴적인 행동 패턴은 많은 가족에 뿌리를 내리고 모든 구성 요소와 역학에 영향을 미친다.

역기능 가족 구성원의 가장 큰 문제는 자기 행동에 거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신들의 요구를 강화하기 위해 타인을 도구화한다. 따라서 유독한 가족이 있다면 웰빙과 정신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특정 조치를 실행해야 한다. 여기서 이와 관련하여 가장 유용한 전략을 이야기할 것이다.

유독한 가족 구성원이 말하는 ‘사랑해’에는 교활한 의도가 숨겨져 있다.

기능 장애가 있는 유독한 가족을 대하는 방법

유독한 사람과 유독한 가족이라는 용어는 과학적 증거가 뒷받침되지 않으며 대중적인 심리학 용어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 배후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나쁜 가족 역학이며 심리적 조작, 정서적 무효화 및 학대 현생이 발생한다. 이는 영향을 받은 개인에게 정신적 상처를 줄 수 있다.

유독하거나 기능 장애가 있는 환경에서 자라는 것은 정신 건강뿐 아니라 범죄 행위의 위험 요소다. 이와 관련하여 캐나다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는 온타리오에 수감된 남성 5명 중 4명이 이러한 특성을 가진 가정에서 자랐다고 주장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하지만 유독한 가족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어떤 방법이 필요한지 다음을 참고하자.

1. 유독한 가족 뒤에 무엇이 있는지 이해하기

혈연관계라고 모두 진정한 가족은 아니다. 더욱이 일부 가족은 이러한 유대를 악용하여 어린 나이부터 감정적 고통을 유발한다. 이러한 상황에는 다양한 동기가 있을 수 있는데 유독한 가족 구성원 일부는 정신 질환을 앓을 수도 있다.

상담 치료사는 종종 이러한 가족 역학을 설명하는 성격 장애를 식별한다. 리앤 J. 리덤 박사가 수행한 ‘The Impact of Psychopathy in the Family’라는 제목의 연구에서 이러한 가능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유독한 가족을 어린 시절 상처
역기능 가족 역학의 무게는 어린 시절부터 가지고 온 상처다.

2. 접촉 제한

유독한 가족과의 접촉을 제한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복잡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독한 환경에서 자신의 존재가 필수적인 상황과 그렇지 않은 상황을 파악하자. 유독한 가족을 위해 희생하고 거리를 두는 것에 대해 비판하는 부정직한 전략의 대상이 되지 않도록 한다.

역기능 가족 구성원의 교묘한 함정을 항상 염두에 두고 어떤 특정 상황에서 그들을 볼지 분명히 하자.

3. 유독한 가족을 대하는 방법: 신체적, 정서적 여백

유독한 가족 환경과의 접촉을 제한하는 것 외에도 신체적, 정서적 경계를 설정한다. 다음과 같이 명확하고 단호하게 그 경계를 정한다.

  • 유독한 가족 구성원에게 정중한 의사소통을 요청하자.
  • 자신이 허용할 수 없는 행동을 분명히 이야기한다.
  • 의무와 기대에 기꺼이 따르지 않을 것임을 알린다.
  • 정서적 경계를 설정하자. 죄책감을 느끼지 않고 분명히 거절할 줄 알아야 한다.
  • 유독한 사람들은 타인의 경계를 침범하고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행동을 계속하면 영구적 거리 두기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고 말한다.

역기능 가족을 다룰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유익한 외부 지원 네트워크를 마련하는 것이다.

4. 맞서지 말고 회색 돌 기법 사용

유독한 가족 구성원과 무조건 맞서기만 하는 것은 소용이 없다. 유독한 가족 구성원은 자기 인식과 정서적 책임 수준이 매우 낮으니 회색 돌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유용하다.

  • 상대의 도발에 가담하지 말고 무시하라.
  • 상호 작용을 짧고 단호하게 한다.
  • 상대의 요구와 희생에 관해 무관심해지자.
  • 상호 작용을 중립적으로 유지한다.
  • 일정한 감정적 거리를 유지하고 확고하게 결정을 고수한다.

5. 유독한 가족을 대하는 방법: 긴밀한 지원 네트워크 보유

행복한 가정은 건강하고 정서적으로 성숙한 구성원이 만든다. 그러나 유독한 가족과 완전히 거리를 둘 수 없다면, 자신을 이해하고 자존감을 강화할 수 있는 지원 네트워크가 주변에 있는지 확인한다.

자신을 고립시키거나 유독한 가족이 유일한 사회화 시나리오가 되지 않게 한다. 자신을 해치지 않을 가치 있는 사람들을 만나 행복한 유대감을 형성하자.

6. 분리 연습

분리는 유대의 반대 과정이며 상처받은 감정을 서서히 풀어나가는 기술이다. 이를 수행하는 몇 가지 전략은 다음과 같다.

  • 가족의 검증이나 지원을 기대하지 않는다.
  • 자신에게 책임이 있음을 이해하고 자신의 웰빙을 추구하자.
  • 유독한 가족의 표현에 어떤 가치도 부여하지 말고 자존감을 강화할 다른 출처를 찾는다.
  • 내면화한 모든 상처받은 메시지를 다시 표현하고 치유하자.

7. 유독한 가족과의 향후 관계를 생각

미래의 자신을 어떻게 보는가? 유독한 가족들이 자기 삶에서 어떤 역할/위치를 갖기를 원하는가? 유독한 가족을 상대하려면 그들과 어떤 관계를 원하는지 명확히 해야 한다. 최대한 빨리 생각하고 결정해야 하며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세 가지뿐이다.

  • 완전히 분리하기
  • 계속 똑같이 지내기
  • 특정한 경우에만 연락하기

8. 꼭 만나야 할 때는 만남을 계획하기

가까운 가족이 자신에게 의존하고 있거나 떨어지지 않는 방법을 안다면 완전히 분리하기가 정말 어려울 수 있다. 독성이 있거나 기능 장애가 있는 가족 구성원과 특정한 경우에 만나야 한다면 다음 측면을 계획하자.

  • 만남의 시간을 정한다.
  • 그 자리에 얼마나 있을지 명확하게 한다.
  • 용납하지 않을 역학의 종류를 설명하고 그러한 일이 발생하면 만남을 중단할 수 있다.

9. 유독한 가족은 변하지 않으니 심리적인 도움을 요청하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되는 나쁜 가족 역학의 영향은 상당히 침식적일 수 있다. 자존감을 손상하고 정체성을 약화하며 해로운 믿음과 사고 패턴을 내면화하게 만들고 트라우마로도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전문적인 도움을 요청할 가능성을 항상 고려하자. 유독한 가족은 거의 변하지 않으니 자신이 행동해야만 한다. 심리 치료는 상처를 치유하고 사용할 전략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유독하거나 기능 장애가 있는 개인은 평생 자기 인식이나 감정적 책임을 느끼지 못한다.

유독한 가족을 자존감
나쁜 가족 역학으로 인한 상처는 치유하는 데 오래 걸린다.

유독한 가족을 대하기 위해 적대적 관계 깨기

연결 강도 때문에 유독한 가족의 경계에 갇히면 한 치 앞을 보기가 어렵다. 떠나고 싶어도 이를 방해하는 특정 요인이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의도적 조작 시도의 산물일 수 있다.

이 경우 유독한 가족은 일반적으로 자신을 잘 알고 있으며 조련하는 데 능숙하다. 그래서 가족 외에 좋은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를 갖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불리한 관계를 끊거나 다른 방식으로 관리하면 정신 건강이 보장된다. 지금부터 연습해 보면 어떨까?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fifi, T. D., Olson, L. N., Armstrong, C. (2005). The chilling effect and family secrets: Examining the role of self-protection, other protection, and communication efficac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31, 564-598
  • Conti, R.P. (2015). Family estrangement: Establishing a prevalence rate. Journal of Psychology & Behavioral Science, 3, 28-35.
  • Leedom. L. J. (2017). The Impact of Psychopathy on the Family, Psychopathy – New Updates on an Old Phenomenon, Federico Durbano, IntechOpen, DOI: 10.5772/intechopen.70227.
  • Michalski, Joseph. (2017). The Cumulative Disadvantages of Socially Toxic Family Environments: A Comparison of Early Life Experiences of Incarcerated Men and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ultural Analysis and Social Change. 2. 10.20897/jcasc/80926.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