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뇌엽: 특유한 성질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자
인간의 모든 것은 뇌 속에 들어 있다. 놀라우며 대단한 복합 기관은 성공한 진화의 역사를 반영한다. 인간의 뇌는 4개의 다른 대뇌엽으로 분류되어 있다. 사람들의 양심은 이 대뇌엽 내에서 작용한다. 또한, 언어를 창조하고, 기억력을 저장하며 감정조절 및 다른 여러 가지 처리를 진행한다.
유명한 포르투갈의 신경과 전문의 안토니오 다마지오(Antonio Damasio)는 자신의 책 ‘스피노자를 찾아서(Looking for Spinoza)’에서 뇌는 단순한 뉴런의 묶음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사실, 이 기관을 컴퓨터에 비교하는 것은 그리 적절하지 않다. 두뇌와 뇌의 각각의 구조는 환경과 상호작용한 직접적 결과이기 때문이다.
“눈은 목표에 시선을 집중하고, 뇌는 이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다.”
사람들은 본 것, 느낀 것, 경험, 그리고 자극과 환경에 반응한다. 또한, 두뇌는 모든 경험을 형상화한다.
대뇌엽은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는 것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각각의 처리 과정을 확인한다면 인간의 뇌를 보다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대뇌엽, 그리고 그 기능
대뇌엽에 대해 생각해 볼 때, 서로 독립되고 분리된 구조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그사이에는 내부 장벽이 없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를 구성하는 커다란 네 부분은 항상 조화를 이루며 일을 처리하며 끊임없이 정보를 교환한다.
반면에 각각의 대뇌엽은 개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을지라도, 개별적으로 특정한 일을 조절한다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 수많은 활동과 처리 과정은 서로 다른 뇌 영역에서 겹쳐진다.
이는 한 영역이 다른 부분과 관련 없이 기능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특정한 부분의 뇌 손상은 다른 영역에서 손상된 기능을 대신해 처리 과정의 효율성에 영향을 줄 수도, 주지 못할 수도 있다.
더구나, 대뇌엽을 조사하는 전문가들 또한 하나의 뇌엽이 어디서 시작되고 끝이 나는지 의견이 다르다. 그러나, 오른쪽과 왼쪽에 분명한 두 개의 반구가 있다는 것에는 의견이 같다.
그래서 양쪽 반구 내의 뇌를 구성하는 네 개의 대뇌엽을 확인할 수 있는 이유이다. 신경과 전문의는 우전두엽과 좌전두엽 등에 대하여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각 대뇌엽의 특징을 살펴보자.
전두엽
전두엽은 인간이 진화한 분명한 결과를 보여준다. 전두엽은 이마 근처의 두개골 바로 뒤에 있다. 인간의 뇌에서 가장 잘 발달한 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진화하는데 가장 오래 걸린 곳이다. 다음은 이 뇌엽이 담당하고 있는 다양한 작업 중 몇 가지이다.
- 언어와 말하기. 브로카 영역 덕분에, 생각을 말로 바꿔주는 극히 예외적인 부분이다.
- 마찬가지로, 전두엽은 계획을 할 수 있게 정교하게 행하고, 주의를 집중하며, 장기적으로 기억을 유지하고, 본 것을 이해하며, 감정을 조절하는 인지 과정 때문에 주로 주목받는다.
- 또한, 전두엽은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고 반응할 수 있게 해준다. 기본적으로 공감성을 처리한다.
- 전두엽은 자극을 조절하고 행동에 대한 보상 심리를 찾아낸다. 뇌의 대부분의 민감한 도파민 뉴런은 이 뇌엽 안에 있다.
두정엽
- 두정엽은 후두엽 위에 있고 전두엽의 뒤에 위치한다. 그리고 여러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다른 대뇌엽보다 두드러지는 점은 감각 자각, 공간 사고, 움직임 그리고 방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 게다가, 이 부분은 감각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감각 정보를 받는 뇌의 한 부분이다. 고통과 신체적 압박, 온도를 처리하고 조절한다.
- 마찬가지로, 이 영역 덕분에 숫자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수학과 관련이 깊다.
후두엽
네 개의 대뇌엽 중 후두엽은 가장 작지만 제일 흥미로운 영역이다. 목에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며 구체적인 기능은 없다. 다른 영역을 재조직하고 연결하는 모든 정신 관련 처리를 위한 통로와 같다.
- 이 영역은 시각적인 인식과 인지에 관여한다.
- 후두엽은 특히 시각 감각에 있어 중요하다. 사실 특정한 양식과 처리. 또한, 대뇌엽 내에서 언어를 만들어 내고, 기억을 저장하며, 감정을 조절하고, 여러 가지 처리를 진행한다.
- 색을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또한, 감정과 생각하는 과정에도 관여한다.
측두엽
이 뇌엽은 관자놀이 바로 옆에 있으며, 많은 뇌 속 처리 과정을 조절한다. 증거로는 특정 전문화된 작업을 특정한 뇌엽과 관련시키는 것은 어렵다. 모두 서로를 의존하고 연결되고 조화를 이뤄 함께 작용한다. 측두엽에서 발생하는 작용은 다음과 같다.
- 안면 인식을 돕는다.
- 또한, 언어 표현과 소리, 그리고 음악 이해력에 관여한다.
- 측두엽은 신체 균형에 영향을 미친다.
- 자극, 분노, 걱정, 기쁨과 같은 감정을 조절한다.
대뇌엽 아래 숨겨진 섬 피질
앞서 네 개의 대뇌엽에 대해 알아봤다. 신경해부학적 관점에서, 많은 연구는 뇌가 섬 피질로 알려진 다섯 번째 영역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른 네 개의 대뇌엽 아래 숨겨진 뇌엽은. 다양한 정맥과 동맥과 함께 공간을 공유하는 복잡하고 멀리 떨어진 영역이다.
아직 섬 피질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간질로 고통받는 뇌의 특정 부위에 손상이 있는 환자들에게서 다른 처리 과정과 변화를 발견했다.
이 피질은 미각, 본능적인 기능 조절, 그리고 자아 인식과 관련이 있고, 변연계 일부이기에 감정을 통제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대뇌엽, 그 한계는 분명하지 않다
결론적으로, 증거가 제시하듯 대뇌엽은 뇌 속의 연결과 처리 과정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장면을 구성한다. 그러나 확실한 기능의 한계를 수립하기는 어렵다. 기능 실행을 책임지기 때문에 가장 흥미로운 뇌엽은 확실히 전두엽이다. 실제로 계획이나 자극 조절과 같은 중요한 처리 과정을 담당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llen, P., Moore, H., Corcoran, C. M., Gilleen, J., Kozhuharova, P., Reichenberg, A., & Malaspina, D. (2019). Emerging temporal lobe dysfunction in people at clinical high risk for psychosis. Frontiers in Psychiatry, 10, 298.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psyt.2019.00298/full
- Bao, B., Wei, H., Luo, P., Zhu, H., Hu, W., Sun, Y., Shen, J., Zhu, T., Lin, J., Huang, T., Li, J., Wang, Z., Li, Y., & Zheng, X. (2021). Parietal lobe reorganization and widespread functional connectivity integration in upper-limb amputees: A rs-fMRI study. Frontiers in Neuroscience, 15, 704079.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nins.2021.704079/full
- Kolb, B. (2021). Brenda Milner: Pioneer of the study of the human frontal lobes.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15, 78616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761616/
- Tohid, H., Faizan, M., & Faizan, U. (2015). Alterations of the occipital lobe in schizophrenia. Neurosciences (Riyadh, Saudi Arabia), 20(3), 213-224. https://nsj.org.sa/content/20/3/213
- Uddin, L. Q., Nomi, J. S., Hébert-Seropian, B., Ghaziri, J., & Boucher, O. (2017).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insula. Journal of Clinical Neurophysiology: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Electroencephalographic Society, 34(4), 300-30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032992/
- Damasio, A. R. (2005). En busca de Spinoza: neurobiología de la emoción y los sentimientos. Grupo Planeta (GBS). https://books.google.com.ec/books/about/En_busca_de_Spinoza.html?hl=es&id=av3rGUfHTEEC&redir_es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