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자해하는 이유
사람들이 자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성인의 4%가 자해를 하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는 남녀 간에 큰 차이가 없다. 12~18세 청소년의 자해 비율 수치는 더욱더 높아서 보건당국이 크게 우려하고 있다. 칼로 자해하기, 때리기, 불로 지지기, 머리카락 뽑기 등이 자해 방법의 일부다. 사람들이 자해하는 이유는 감정 해소를 위해서다. 역설적이지만, 자해를 하면 기분이 나아진다.
중요한 사실은 칼로 자해하는 사람들 자신도 그 이유를 모른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이 멋있어 보이기 위해 자해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그런 태도는 점점 커지는 문제의 심각성을 약화한다. 청소년의 손목에 가로로 난 흉터가 있다고 무조건 자살 시도를 했다는 뜻은 아니다. 고통을 통해 ‘살아 있음’을 느끼려는 시도였을 수 있다.
자해 현상은 보기보다 훨씬 복잡한 문제다. 본 기사에서는 사람들이 자해하는 원인과 영향, 그에 대한 치료법과 예방책을 알아보고자 한다.
사람들이 자해하는 이유
어떤 사람들은 통통한 몸이나 매부리코를 부끄러워한다. 또 자해 흉터를 창피해하는 사람도 있다. 그래서 팔찌나 문신으로 가리거나 보이지 않는 곳에만 자해하는 이들도 있다.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진행된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캠퍼스 심리학과의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 5명 중 1명이 자해를 한다. 안타깝게도 그 수치는 최근 들어 더욱더 증가했다.
그러한 행동의 정신병리학적 문제는 특히 소셜미디어가 그 문제에 끼치는 영향과 더불어 연구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소셜 네트워크가 생기면서 칼로 자해하는 행위는 청소년들 사이에서 더욱더 흔해졌다. 칼로 자해하는 성인은 그 사실을 숨기려 애쓰지만, 청소년들은 자해 흉터 사진을 올린다.
이는 매우 우려스러운 행동이다. 그런데 의문이 생긴다: 사람들이 자해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왜 자해를 하면 카타르시스를 느낄까?
사람들이 자해하는 원인
정신병 진단 통계 매뉴얼(DSM)에서는 자해를 ‘장애’로 규정한다. 즉, 자해는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물론 대다수 전문가는 자해가 더 심각한 문제로 인한 증상인 경우가 많다는 데 동의한다. R.B. 곤살레스와 B.G. 알바레스(2012)는 자해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불안장애나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있다고 주장한다.
자해 유발 요소는 아래와 같다:
- 학교나 직장에서의 심한 중압감 및 지나친 업무량
- 학교 폭력 피해
- 직장 문제
- 아동 학대
- 성 소수자 혐오
- 자존감 문제
- 사별로 인한 비탄
- 장기간 누적된 스트레스
- 경제적 문제
- 경계선 인격장애는 자해 유발 가능성이 있는 정신 장애다
-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만
짐작할 수 있듯이, 자해를 유발할 수 있는 요소는 다양하다. 나이, 경제적 상황, 성별 등과는 무관하다. 많은 사람이 신체적 고통을 유일한 탈출구로 삼는다.
사람들이 자해하는 이유
누군가 피부에 상처를 내거나 불로 지지거나 머리카락을 뽑거나 염증이 생길 때까지 딱지를 떼는 것만큼 눈길을 끄는 일은 별로 없다. 그런데 그러는 이유가 뭘까? 자해로 뭘 얻으려는 것일까?
J. 비야루엘과 S. 헤레스(2013)의 저서 임상 환경에서의 비자살성 자해 행동[스페인어 제목 번역]에 따르면 자해에는 4가지 주요 원인이 있다고 설명한다.
- 신체적 고통은 심적 고통을 완화한다. 과거의 슬픔이나 현재의 불안감을 잊게 해주고, 정신적 안도감을 줘서 어깨에서 큰 짐을 덜어낸 기분을 느끼게 한다. 폭식증 환자가 토하는 것과 비슷하다.
- 스스로 벌을 주려고 자해하는 사람도 있다. 그들은 자신에게 가장 가혹하며, 실수나 낮은 성과, 실패를 자해로 벌충하려 한다.
- 어떤 사람은 ‘뭔가를 느끼려고’ 자해를 한다는 사실도 명심해야 한다. 인생이 공허하고 의미 없고 단조롭다는 느낌을 자해로 풀려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자해 상처는 관심을 받기 위한 절규일 수도 있다. 이는 특히 12~13세 청소년 사이에서 그런 경향이 강하다.
자해하는 사람들을 돕는 방법
간단히 말해서 사람들이 자해하는 이유는 어떤 식으로든 고통을 겪고 있어서다. 심리학적 접근과 신속한 개입이 굉장히 중요하다. 자해와 자살은 깊이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자해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 문제 해결에 기반한 치료: 환자의 문제 행동 원인을 파악하고 및 해결을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 인지행동치료도 자해 환자에게 좋은 치료 방법이다. 생각과 감정, 행동을 다스리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 감정 관리와 자존감 회복도 중요하다.
특히 환자가 미성년자일 경우 가족이 치료에 참여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가정환경이 이런 문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자해는 누구도 해서는 안 되는 위험하고 기만적인 해소 방법이다. 자신이나 주변 사람이 자해를 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길 바란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González, R. B., & Álvarez, B. G. (2012). Conductas autolesivas. Cad Atenc Primaria, 18, 70-72.
- Ibáñez, Á. F., Costa, M. V., del Real Peña, A., & del Castillo, C. S. (2012). Conducta autolesiva en adolescentes: prevalencia, factores de riesgo y tratamiento. Cuadernos de Medicina psicosomática y psiquiatría de enlace, (103), 5.
- International prevalence of adolescent non-suicidal self-injury and deliberate self-harm. Child Adolesc Psychiatry Ment Health. 2012 Mar 30;6:10. doi: 10.1186/1753-2000-6-10.
- Villarroel, J., Jerez, S., Montenegro, M., Angélica, M., Montes, C., Igor, M., & Silva, H. (2013). Conductas autolesivas no suicidas en la práctica clínica: Primera parte: conceptualización y diagnóstico. Revista chilena de neuro-psiquiatría, 51(1), 3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