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묵적 지식 또는 암묵지란 무엇이며 어떻게 표현되는가?
암묵적 지식 또는 암묵지는 직관적이고 자동으로 익혀 사용하지만 명시적 표현이나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지식이다. 개인적 경험, 실천,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획득한 정보와 지식으로 능력, 기술, 인식에 근간을 둔다.
암묵적 지식은 의식적으로는 잊지만 무의식 속에 살아 있는 모든 정보와 지식이다. 이 지식이 언제, 어떻게 획득되었는지 기억하지 못할 수도 있지만 대개 본능적으로 사용한다.
개인적 경험과 직관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많은 활동과 직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의사 결정과 문제 해결에도 필수다.
‘암묵적 지식은 성공의 불꽃을 점화하는 보이지 않는 불꽃과 같다.
-피터 드럭커-
암묵적 지식 특징
‘Gaceta Sanitaria’에 게재된 논문에서 지적했듯이 암묵적 지식은 직관적이면서 무의식적으로 사용되며 경험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상황적, 개인적 지식이다.
에두아르도 콘트레라스는 저서인 ‘Knowledge Management: From tacit to explicit‘에서 지식을 형식화하여 전달하기는 매우 어렵고 기술 및 인지적 능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사회학자인 마이클 폴라니가 1960년대 개인 지식에 대한 가정을 설계하면서 만든 용어로(Sanford et al., 2020) 지식의 핵심이 의식적 사고에 앞서는 비공식적 이해와 기술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즉, 직접적인 가르침이 아닌 문화와 역사를 통해 전달된다.
암묵적 지식은 예술, 음악, 스포츠, 직관적 의사결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며 경험과 실천이 중요한 소방관, 경찰관이나 조종사 같은 위험 직업군에게 유용하다. 아래는 암묵적 지식의 특징 일부다.
- 맥락: 암묵적 지식은 대개 개인 경험과 관점에 따른 획득된 전후 사정에 따라 맞춤화할 수 있다.
- 자동적이면서 직관적: 의식적인 마음 없이 적용된다. 일단 획득하면 개인이 작업을 수행하거나 결정을 내리는 핵심이 된다.
- 보완적: 암묵적 지식과 명시적 지식은 보완적이며 결합되어 다양한 상황에서 이해와 행동 능력을 지원한다.
- 경험을 통한 획득: 환경과 상호 작용하고 특정 영역에서 관찰, 실험, 직접적인 학습을 통해 발전한다.
- 까다로운 표현: 기술, 직관 및 개인적인 경험에 뿌리를 두는 암묵적 지식은 단어나 명시적 명령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하기가 복잡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아이의 두뇌 이해하기
암묵적 지식 전달이 어려운 이유
암묵적 지식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전달하기가 어렵다. 단어와 상징으로 공유할 수 있는 명시적 지식과 달리 암묵적 지식은 실제로 더 많이 사용된다.
대부분은 직관적으로 습득한 기술과 지식을 식별하고 말로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주로 상황별 지식이므로 상황에 따라 달라져서 보편적인 의사소통을 방해한다.
예를 들어, 소방관은 마치 의사가 환자를 진찰하듯 화재 현장을 보고 진압에 나설지 말지를 본능적으로 결정한다.
암묵적 지식 종류와 그 발현
다양한 암묵적 지식 중에는 자동차 수리 같은 특정 기술도 포함된다. 자전거 타기를 배울 때처럼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순서와 관련된 절차적 지식도 있다.
심리 사회학에서는 공식 회의에서의 행동 방식을 상황 및 직관적 지식으로 분류하며 직관, 빠른 판단, 무의식적 인식에만 기반을 둔 인지적 능력을 ‘감’이 좋다고 말한다.
이러한 통찰은 다양한 상황에서 표면화되기 쉬운데 특히 신속하고 자동적인 대응이 요구되거나 개인적 기술과 경험이 필수일 때 더욱 그렇다. 다음은 이 지식과 관련된 몇 가지 상황이다.
암묵적 지식이 명확하고 형식적으로 표현되고 전달될 수 있는 정보로 바뀌려면 아웃소싱, 코딩 및 문서화 기술이 필요하다.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능력과 관련된 직관적인 지식은 유익한 조언을 제공한다.
암묵적 지식과 대인관계 의사소통
특정 상황에서는 암묵적 지식이 의사소통과 상호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수년간 함께 일한 두 동료는 다른 사람보다 서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모두 자기 직무에 관한 암묵적인 지식으로 회사에서 사용하는 기술 언어의 미묘함을 이해하므로 업무나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할 필요가 없다.
반면에 서로 동일한 암묵적 지식이 없다면 오해가 있을 수 있다. 가정, 직관, 경험과 실무 지식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 신입 소방관보다는 노련한 소방관에게 특정 직관적 수행이나 기술을 기대하게 된다.
간단히 말해서 암묵적 지식은 사람마다 다르며 의사소통과 특정 관계를 맺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직관적 사고의 4가지 유형에 대해 알고 있는가?
결론
자신이 축적한 암묵적 지식과 관련된 기술을 직관적이고 자동적으로 소유하고 사용한다. 이런 식으로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방식은 경험과 반복적 연습으로 달성된다.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지식이지만 직업, 사회적, 가정 등 환경과의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암묵적 지식은 명시적 지식을 보완하며 의사 결정, 문제 해결, 사회적 상호 작용, 일상 및 습관에서 나타날 수 있다.
자전거 타기, 신발 끈 묶기, 요리하기 등 다양한 일을 암묵적 지식 없이도 수행할 수 있을까?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Contreras, E. (2010). Gestión del Conocimiento: del Tácito al explícito. Trend Management, 96. https://www.academia.edu/545029/Gesti%C3%B3n_del_conocimiento_Del_t%C3%A1cito_al_expl%C3%ADcito_20_a%C3%B1os_despu%C3%A9s
- Kimble, C. (2013). Knowledge management, codification and tacit knowledge. Information Research, 18(2). https://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2271123
- Kothari, A. R., Bickford, J. J., Edwards, N., Dobbins, M. J., & Meyer, M. (2011). Uncovering tacit knowledge: a pilot study to broaden the concept of knowledge in knowledge translation.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1, 19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173304/
- Melo, A. P. D., Santos, L. M. M. D., Pollo, T. C., & Bachetti, L. D. S. (2019). El conocimiento tácito desde la perspectiva de Michael Polanyi. Arquivos Brasileiros de Psicologia, 71(2), 34-50. http://pepsic.bvsalud.org/scielo.php?pid=S1809-52672019000200004&script=sci_abstract&tlng=es
- Muñoz, C. A., Mosey, S., & Binks, M. (2015). The tacit mystery: reconciling different approaches to tacit knowledge.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Practice, 13, 289-298. https://link.springer.com/article/10.1057/kmrp.2013.50
- Pérez-Fuillerat, N., Solano-Ruiz, M. C., & Amezcua, M. (2019). Conocimiento tácito: características en la práctica enfermera. Gaceta Sanitaria, 33, 191-196. https://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213-91112019000200191#B7
- Sanford, S., Schwartz, B., & Khan, Y. (2020). The role of tacit knowledge in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during emerging public health inci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 IJDRR, 50, 10168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247478/
- Venkitachalam, K., & Busch, P. (2012). Tacit knowledge: review and possible research directions.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16 (2), 357-372. https://www.emerald.com/insight/content/doi/10.1108/13673271211218915/full/html
- Walker, A. M. (2017). Tacit knowledge. 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 32(4), 261-267. https://pubmed.ncbi.nlm.nih.gov/28501907/
- Zheyu, L., Weijin, C., Jihui, Z., Yuan, W., Ghani, U., & Zhai, X. (2021).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Tacit Knowledge Transformation Approach on Students’ Learning Ability. Frontiers in psychology, 12, 64772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358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