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염증제를 사용한 우울증 치료

우울증을 항우울제와 인지 요법으로 치료하면 60%의 성공률을 보인다. 환자들은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 항염증제와 같은 다른 치료적 대안을 찾아야 한다.
항염증제를 사용한 우울증 치료

마지막 업데이트: 28 6월, 2020

한동안, 많은 연구자는 우울한 일을 겪는 동안 왜 사람들이 염증을 일으키는지에 관한 연구에 집중해왔다. 이 글에서 항염증제를 사용하여 우울증을 치료할 때 얻을 수 있는 치료상의 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일부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에 대한 종래의 치료법은 항우울제와 인지 요법 사용 등에 있지만 이는 환자의 약 60%에게만 효과가 있다고 한다.

환자의 40%가 치료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울한 상태는 때때로 자살로 끝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주요 우울증 사례에서 효과적인 치료를 받지 못한 환자의 비율이 높다. 우울증은 전 세계 3억 5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이것은 성인 10명 중 1명꼴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우울증은 복잡한 주제여서 사람들은 우울증 치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치료 대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

염증 및 우울증과의 관계

염증 및 우울증과의 관계

위에서 언급했듯이, 점점 더 많은 연구가 우울증과 뇌의 염증 상태 사이의 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처음에는 우울증이 염증의 결과일 수 있는지, 반대로 우울증이 염증 상태의 원인인지 명확하지 않았다.

넓은 의미에서, 우울증은 여러 심리학적, 유전적, 생물학적 측면을 연결하는 다원적 질환이다. 이 중 스트레스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측면들은 스트레스와 함께 뇌에 염증 신호를 보낸다.

주요 우울증을 앓고 있는 일부 환자들은 혈중 염증 징후가 더 많이 나타난다. 이것은 중추신경과 신경 내분비계를 조절할 수 있는 염증성 사이토킨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체내의 C-반응 단백질과 일부 인터류킨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항염증제를 사용한 우울증 치료

그러므로 염증과 우울증에 대한 이론은 우울증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치료적 대안을 열어준다.

이것은 전통적인 항우울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특히 중요하다.

염증성 사이토킨의 억제는 항우울제의 효능을 향상하고, 우울증을 앓는 환자의 정신 상태를 개선한다. 그 관계는 종양 치료와 항 감염 치료 덕분에 발견되었다.

이러한 치료 과정에서 의료 전문가들은 환자에게 인터페론-알파를 투여하면 우울증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항염증제를 사용한 우울증 치료

오늘날, 더 많은 연구자가 항염증제를 사용하여 우울증을 치료할 때의 실제 치료 효과를 연구하고 있다.

이미 여러 동물 실험이 염증성 사이토킨 차단제를 복용하면 우울한 행동과 스트레스에 대한 다른 반응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킨 차단제는 항염증 사이토킨 또는 항 사이토킨이라고도 하며 류머티즘성 관절염이나 건선과 같은 자가면역 병리 증 환자에게도 사용되기도 한다.

이 치료법이 위약보다 환자들에게 의미 있는 항우울증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울증에 대한 보완적 치료로서 오메가-3

일부 연구에서는 항염증 효과로 오메가-3 보충제를 치료 대안으로 제안한다. 몇몇 연구 결과들은 이 우울한 상태를 다 불포화 오메가-3 지방산의 부족 탓으로 돌리고 있다.

오메가3 지방산은 우울증 증상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오메가-3는 면역체계에 영향을 주어 사이토킨과 염증성 프로스타글란딘을 일부 줄이고 다른 분자 메커니즘을 변형시킬 수 있다.

우울증에 대한 보완적 치료

이러한 대안들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우울증은 복합적인 질환이며 염증은 증상이 불분명하므로 둘 사이의 명확한 관계를 규정하기 어렵다.

이것은 또한 많은 관점과 미래에 대한 많은 희망이 있는 개방형 치료 분야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Pérez-Padilla, Elsy Arlene, Cervantes-Ramírez, Víctor Manuel, Hijuelos-García, Nayeli Alejandra, Pineda-Cortés, Juan Carlos, & Salgado-Burgos, Humberto. (2017). Prevalencia, causas y tratamiento de la depresión Mayor. Revista biomédica28(2), 73-98.
  • Miller, A. H., Maletic, V., & Raison, C. L. (2010). La inflamación y sus desencantos: papel de las citocinas en la fisiopatología de la depresión mayor. Psiquiatría Biológica17(2), 71-80.
  • Villa, B. A. D., & González, C. G. (2012). Actualidades en neurobiología de la depresión. Revista latinoamericana de psiquiatría11(3), 106-115.
  • Martínez, V. B. (2016). Ácidos grasos omega-3 como tratamiento complementario de la depresión:¿ qué evidencia tenemos?.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