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체와 불안: 그 연결고리는 무엇일까?

신경 과학자들은 불안 장애를 매개하는 신경 구조를 "두려움의 그물"이라고 부른다. 이 모든 영역 중에서 가장 관련성이 높은 건 뇌의 편도체다. 이는 구슬처럼 작은 영역이다.
편도체와 불안: 그 연결고리는 무엇일까?

마지막 업데이트: 01 11월, 2020

편도체와 불안 장애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이는 오랫동안 알려져 온 사실이다. 하지만 이 사실 외에도 놀라울 만큼 흥미로운 점이 있다. 신경 과학자들은 어떤 사람들이 더 큰 편도체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기분 장애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것은 과연 우연일까? 정말로 그러한 신경 장애를 가지고 태어날 수 있을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실제로 이러한 특이성은 무엇보다도 매우 구체적인 요인에 기인한다. 이 요소는 학대, 육체적 유기 또는 정서적 방치로 인해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는 힘든 어린 시절로 인한 고통이다. 

즉, 이전 경험과 그 영향이 뇌의 구조를 모델링한다는 뜻이다. 더욱이 그것은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그렇게 한다. 만약 우리가 어린 시절에 스트레스를 받으면 과학자들이 “두려움의 거미줄”이라고 부르는 것과 관련한 모든 신경 생물학이 변화된다.

편도체, 해마 또는 등 쪽 전방의 대상 피질과 같은 영역은 성인기에 불안 장애를 겪을 위험을 증가시키는 작은 변화를 경험한다.

편도체와 불안: 그 연결고리는 무엇일까?

편도체와 불안: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우리는 모두 다양한 강도로 일생 불안감을 경험한다. 면접, 시험 또는 연설을 해야 하는 회의와 같이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을 우리는 거쳐나가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일어날 일과 우리가 잘할 것인지에 대한 두려움, 불확실성 또는 불안을 유발한다.

이러한 경험은 복잡해 보이지만 완전히 정상이다. 하지만 끊임없이 불안을 경험하는 건 정상이 아니다.

때로는 특정 유발 요인이 없다. 그런데도 설명할 수 없는 영구적인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전체 현실을 변화시킨다. 이 불안은 병적이며 건강과 잠재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처럼 작용한다.

공포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일반화된 불안 장애와 같은 심리적 상태는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불안과 관련이 있다. 그래서 신경 과학자들은 수십 년 동안 인간의 뇌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일과 이러한 불안을 유발하는 뇌 구조가 무엇인지 궁금해했다.

“두려움의 그물”과 편도체

불안은 단지 하나의 뇌 구조 활동의 결과가 아니다. 사실 이는 뇌의 여러 영역이 복잡하게 결합한 결과다. 그리고 이는 과학자들이 “두려움의 그물”이라고 부르는 것을 구성한다. 이름 자체만으로도 무서운 게 사실이지만, 이는 정확히 무엇일까?

이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먼저 인간의 뇌는 감정적이고 합리적인 사실을 먼저 설명하고자 한다. 뇌는 우리의 감각 및 감정과 관련한 과정을 표현하고 지배하는 매우 오래된 영역을 가지고 있다. 특히, 대뇌 피질의 전두엽은 인지 및 반사 과정을 통제한다.

누군가가 불안 장애를 경험할 때, 그들의 뇌는 두려움에 사로잡힌다. 우리는 이를 뇌가 더 논리적이고 반사적인 사고를 제한하는 일련의 구조에 의해 ‘장악’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더욱이 이 통제를 조정하는 뇌의 일부는 편도체다. 이 사실은 마이클 데이비스(Michael Davies) 박사가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에서 수행한 한 연구 덕분에 90년대에 발견되었다.

  • 우리는 편도체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초고속으로 추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실제든 상상이든 편도체는 위험과 위협을 탐지한다.
  • 그 직후, 편도체는 우리가 달아나거나 자신을 방어할 준비를 하도록 두려움의 감각을 활성화한다.
  • 그 후 이 두려움과 각성은 전두엽에 있는 등 쪽 전두엽 피질에도 도달한다. 이 구조가 하는 일은 두려움의 감각을 증폭시키고 가장 합리적인 생각을 차단하는 것이다. 감정은 이제 뇌, 더 구체적으로는 불안을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의 두뇌는 우리가 이 상황에 반응하기를 원한다.
"두려움의 그물"과 편도체

편도체와 불안: 스트레스가 많은 어린 시절로 인한 편도체의 변화

2013년 스탠퍼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는 큰 발견을 했다. 정신과 교수였던 비노드 매넌(Vinod Menon) 박사는 MRI 스캔을 통해 일부 사람들이 평균보다 큰 편도체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 사람들은 또한 다른 상관 요인을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는 그들 중 많은 사람이 불안 장애를 앓고 있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그들이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 버림이나 정서적 방치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외상적이거나 적어도 스트레스가 많은 어린 시절을 경험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더 큰 편도체를 갖고 있다는 건 감정의 인식과 조절을 담당하는 뇌의 여러 영역 사이의 연결에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과잉 행동을 일으키고 대뇌 편도체는 더 민감해지며 두려움, 고뇌, 불안, 위협감 등을 조절하기가 어려워진다. 하지만 매넌 박사는 한 가지 사실을 주장한다. 어려운 어린 시절을 경험한다고 해서 반드시 성인기에 기분 장애를 앓게 되는 건 아니라는 사실이다. 그러나 위험과 가능성이 더 큰 건 맞다.

이를 토대로 과학은 편도체와 그 활동을 조절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한 무언가는 오늘날 매우 흔한 상태인 불안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롭고 가치 있는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avis, M. (1992). The Role Of The Amygdala In Fear And Anxiety.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15(1), 353–375. https://doi.org/10.1146/annurev.neuro.15.1.353
  • Tye, K. M., Prakash, R., Kim, S. Y., Fenno, L. E., Grosenick, L., Zarabi, H., … Deisseroth, K. (2011). Amygdala circuitry mediating reversible and bidirectional control of anxiety. Nature471(7338), 358–362. https://doi.org/10.1038/nature09820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