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발달에 있어 중요한 사회화

뇌 발달에 있어 중요한 사회화
Guillermo Bisbal

작성 및 확인 인류학자 Guillermo Bisbal.

마지막 업데이트: 27 12월, 2022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서 생존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 접촉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인간은 고립되면 발전할 수 없다. 어떻게 보면 사회화, 즉 남들과 교류하는 것이 뇌를 완전히 발달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런 면에서 우정을 쌓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우정은 우리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뇌를 가능한 한 활동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즉, 우리는 사교적인 사람들이 자신의 뇌 건강에 조심하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타인과의 교제를 통해 인지장애와 치매로부터 뇌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생물학적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뇌를 진화적으로 발달 시키기 위해 사회화의 과정이 필요하다고 한다.

타인과의 교류가 없다면, 우리는 결코 지금의 우리가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불행하게도, 소위  “야생아”와 같이, 어릴 적 유년기를 고립된 채로 지낸 아이들이 많이 있다.

오늘 이 글에서 우리는 사회화가 어떻게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 또 사회화가 부족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논하도록 하겠다.

포옹하는 친구

사회화와 인류의 기원

인간은 매우 복잡한 뇌를 가지고 있다. 우리의 뇌는 우리가 언어를 통해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우리에게 복잡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해주고, 물체를 만졌을 때 촉감을 느낄 수 있고, 주변 환경과 다른 종족들을 지배할 수 있게 해준다.

두뇌의 진화의 전문가인 다니엘 화이트(Daniel White)에 따르면, 사회화가 이 거대한 발전을 가능하게 한 주력 역할을 맡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사회생활이 우리 뇌의 진화를 촉진시켰다고 주장한다.

다른 환경과 사회적 조건들은 두뇌가 우수한 과정을 발달하도록 돕는 자극이 된다. 이로 인해 우리의 두뇌는 사물을 더 잘 기억하게 된다. 동시에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인간의 뇌를 다른 영장류의 것과 비교한다면, 우리는 뇌의 발달에 있어서 사회화가 얼마나 중요한지 이해할 수 있다.

침팬지의 뇌는 임신 중에 자라고, 태어날 때 쯤에 완전히 발달한다. 태어난 지 2년 안에침팬지의 뇌는 성인 침팬지 뇌만큼 커진다.

반면 인간의 뇌는 임신 기간 동안 그리고 생후 2년이라는 시기를 넘어서도 계속해서 발달한다. 우리가 7살이 될 때까지 성인 뇌의 크기에 도달한다. 이쯤 되면, 우리의 첫 번째 간단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준비가 된 것이다.

하지만, 인간의 뇌가 계속해서 자라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25살이 될 때까지 변화한다. 사회화는 이 기간 동안 두뇌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년기 사회화 부재가 뇌에 미치는 영향

사회화 부족은 다른 방식으로 두뇌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생후 첫 해에 전반적으로 뇌 발달에 영향을 주고, 지연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좋은 사람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지 못한다면 나중에 우리의 감정과 행동뿐만 아니라 인지 건강과 운동 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회화 부재는 유년기에 더욱 강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생후 10년 동안 인간은 언어와 같은 많은 뛰어난 심리 과정을 습득하고 완성한다. 이러한 효과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두 가지 구체적인 사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지니는 13살까지 부모에 의해 감금된 아이였다. 때문에 그녀에게는 어떤 감정 자극도, 사회화 과정도 없었다.

이로 인해 그녀는 언어 능력을 습득할 수 없었고, 그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언어가 아닌 소리를 낼 뿐이었다. 전문가들이 지니를 연구하고 치료하기 시작했을 때 그녀는 13살이었음에도 어떤 문장도 유창하게 말할 수 없었다.

또 다른 비슷한 경우는 1800년대의 야생 아동 L’Aveyron의 케이스가 있다. 그는 프랑스 아베론(Aveyron) 부서에서 발견된 당시 나이 12세의 아이로, 벌거벗은 채 뛰어다니기를 즐겼다.

지니와 마찬가지로 언어를 몰랐고, 마치 침팬지처럼 걸어다녔다.

그는 어린 나이에 부모에게 버려졌고, 때문에 그 이후 다른 사람과 교제할 기회가 없었다.

이 두 사건을 통해 인간이 사회화의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면 어떤 결과가 되는지를 알 수 있다.

창문을 보는 슬픈 아이: 사회화

두뇌발전을 위한 사회화

사회화는 두뇌를 활동적으로 유지한다. 이는 낮은 뇌 활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정신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익을 얻으려면 가능한 한 사회적인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글쓰기도 좋은 선택이지만 대화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교류해야 한다.

자신을 지키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다음 사항을 보고 숙지하기를 권한다.

  • 친구나 가족과 더 자주 모이기. 길고 정기적으로 전화통화하는 것도 비슷한 효과를 가진다.
  • 클럽이나 조직에 가입하여 좋아하는 활동을 하고 새로운 친구를 사귀어라. 몸과 손을 바쁘게 하고, 사교성을 통해 뇌가 활동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 사회적 고립을 피하라. 나가서 대화하고, 사람들과 생각을 교환하라.
  • 너보다 나이가 많거나 어린 친구를 사귀어라. 나이가 많은 사람들은 젊은이들의 정신적 육체적 속도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젊은이들도 나이 많은 선배로부터 교훈을 얻을 수 있다.
  • 연애 역시, 건전하기만 하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 혹시 스스로 외로움을 느끼고 있다면 전문가를 찾아라. 우리를 도와줄 준비가 된 전화 연결망이나 복지 센터들이 많이 있다. 심리학자와 상담하는 것도 좋은 선택일 수 있다.
이 글은 어떤가요?
인간의 두뇌가 가진 7가지 수수께끼
Wonderful Mind
읽어보세요 Wonderful Mind
인간의 두뇌가 가진 7가지 수수께끼

우리는 인간의 두뇌가 가진 수수께끼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이 아직 수수께끼로 남아있고, 과학은 여전히 그 답을 찾아내지 못했다. 알아낸 사실은 매우 적지만, 매우 매력적이다. 이 신비로운 신체 기관이 세상을 바꾸어온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RodríGuez, I. (2021, 21 julio). Socialización ayudó al desarrollo del cerebro humano. La NaciÃ3n. https://www.nacion.com/ciencia/aplicaciones-cientificas/socializacion-ayudo-al-desarrollo-del-cerebro-humano/EW5CH4QDLNFOPEV63SVQUMR5KM/story/
  • Tan, P. Z., Oppenheimer, C. W., Ladouceur, C. D., Butterfield, R. D., & Silk, J. S. (2020). A review of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emotion socialization behaviors and the neural substrate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regulation in youth. Developmental Psychology56(3), 516.
  • Friedrich, P., Forkel, S. J., Amiez, C., Balsters, J. H., Coulon, O., Fan, L., … & de Schotten, M. T. (2021). Imaging evolution of the primate brain: the next frontier?. NeuroImage228, 117685.
  • Jiménez Rinza, J. L. (2012). Experiencias de adultos mayores ante programas de actividad física y socialización.

'원더풀 마인드' 콘텐츠는 오직 교육 및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다면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