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소자 교육

재소자 교육은 단지 도전이 아니다. 투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각 재소자의 자치권을 개발하는 것은 권리와 의무론적인 원칙이다.
재소자 교육
Paula Villasante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Paula Villasante.

마지막 업데이트: 27 12월, 2022

구금 시설과 같은 폐쇄된 환경에서의 교육이 효과적인지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그것은 일종의 유토피아일까? 그 재소자들이 효과를 볼 수 있을까? 교도소 재소자 교육에 대한 많은 의견이 있지만, 사회 재소자 교육이라는 사회 교육의 한 분야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해줄 수 있다.

“사람들은 구금된 사람들을 진정으로 교육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쟁한다. 자유로운 사회 교육적 방식을 폐쇄적이고, 처벌적이며, 폭력적인 환경에서 제안한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유토피아인가? 역설인가? 모순인가?” [번역]

-호세 델 포조(José del Pozo) 및 패니 T. 아나노스(Fanny T. Añaños)-

재소자 교육

Scarfó (2002)는 교육은 시민 정체성의 기본이 된다고 설명한다. “이 권리를 누리거나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사회에 속할 기회를 잃는다. 그 사람은 실제로 참여할 수 없으며, 권리를 행사하고 사회 발전을 위해 자신의 의무를 이행하는 진정한 시민이 될 수 없다.” [번역]

이러한 아이디어를 통해 교정 교육 마련에 관한 결의안이 탄생했다. 그것은 2007년 7월에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제5회 세계 교육 학술 대회에서 나왔다. 그 결의안은 교정 시설에 사회 교육을 포함해야 할 필요성에 관해 설명한다.

재소자 교육은 단순한 도전이 아니다. 구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각 재소자의 자치권을 개발해야 하는 것은 권리이자 의무론적인 원칙이다. (2)

재소자 교육

재소자 교육 이론

이 사회 교육의 특정 부분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재소자 교육에 대한 여러 가지 이론을 살펴보도록 하자.

정신 병리학 이론

이러한 유형의 이론은 개인의 정신 병리학적 및 생물학적 요인이라는 관점을 통해 범죄 행위를 해석한다. 또 정신 병리학 이론은 범죄 및 재소자 치료의 역사와 매우 관련성이 있다. 아이젱크(Eysenck)와 같은 저자는 이러한 모델의 좋은 예이다. (1)

사회 심리학 사상 학교에서 다른 저자들이 단지 개인의 성격적 요소만을 고려하지 않는 아이디어를 제공한다는 점도 중요하다. (3, 4)

사회학 이론

이러한 종류의 이론은 다차원적이고 구조적인 요소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 이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제도, 사회, 교육, 문화 또는 가족 관계가 범죄 원인에 영향을 미친다는 생각에 근거한다. (1) 기회의 불평등 이론이나 사회적 편향 이론이 그 예이다. (5, 6)

사회 교육적 이론

미구엘 멜렌드로(Miguel Melendro) 교수는 지난 세기 동안 우리가 사회적으로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사회 교육적 개입 방법을 풍성하고 현저하게 향상하는 시각과 모델을 개발해 왔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재소자 교육에서 사회 교육적 모델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몇 가지 분야는 다음과 같다.

  • 행동주의적 접근.
  • 동적 시점.
  • 구성주의.
  • 체계적 가족치료.
  • 역량 모델.
  • 보통 교육.

재소자 교육: 교정 시설에서의 사회 교육적 프로그램

Garrido and Gómez (1995)에 따르면, 재소자 교육은 전통적으로 과학 기술적 모델(주제의 일치를 추구하고 실증주의 교육학에 존재하는 행동적 전통의 의료 체계 내에서)을 따른다.

교도소의 전형적인 교육 모델은 문맥적 및 사회 문화적 변수를 고려하지 않고 재소자들이 특정 사회 구조를 재현하도록 한다. (1)

교도소들이 가장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교정적이며 보통 강화나 처벌의 행동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이 모델을 구현하는 사람들은 그 옵션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 모델들은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진다.

  • 심리적 및 정신 분석적 모델.
  • 생물학적 행동 모델.
  • 요인 모델.
  • 인문주의 모델.

더 많은 인문주의적이고 최신인 모델이 있는데, 그 모델들은 다음과 같다.

참여적 모델

참여적 모델에서, 교도소의 사회 교육적 재활은 교도소 전체, 특히 재소자를 포함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모든 사람이 그 과정을 함께 수행하고 재소자들은 자발적으로 재활 과정을 밟게 된다는 것이 이 모델의 아이디어다. (1, 9)

자치 모델

이는 개별화된 그룹 교육 프로그램이다. (10)

성별 역량 강화 모델

이 모델은 두 갈래로 접근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범죄 기록이 있는 여성의 사회 문화적 및 구조적 범죄화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11, 12) 두 번째는 감옥 환경에서의 남녀평등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13, 14)

지식 및 교육학적 행동 모델

이 모델의 중요한 측면은 재소자가 감옥에서 하는 일에 대한 집단적인 합의이다. 또한 재소자들이 하는 일에 대한 즐거움과 재소자와 교사들 간의 교육 관계를 중요하게 여긴다. (1)

교정 시설에서의 사회 교육적 프로그램

재소자 교육: 해방 모델

이 모델은 감옥에 다시 들어가는 것이 전문적이고 구조적인 측면에서의 감옥 개입을 갱신한다고 믿는다. 그러므로 감옥 공간과 개념을 자유의 가능성으로 전환하는 것이 과제다.

보다시피 대안적인 재소자 교육 모델들이 많이 있다. 하지만, 행동적 모델과 개인 모델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군림하고 있는 듯 보인다. 가까운 미래에 이러한 모델들을 더 성장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el Pozo Serrano, F. J., & Añaños-Bedriñana, F. T. (2013). La Educación Social Penitenciaria:¿ De dónde venimos y hacia dónde vamos?. Revista complutense de educación, 24(1), 47-68.
  • AYUSO, A. (2003). Visión crítica de la reeducación penitenciaria en España. Valencia: Nau Llibres.
  • GLASER, R. (1984). Education and thinking: The role of knowledge. American Psychologist, 13, p.p.145-182.
  • Vygotsky, L. S. (1980).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 Cloward, R., & Ohlin, L. (1960). Delinquency and Opportunity: A Theory of Delinquent Gangs. New York, NY: FreePress.
  • Wilklins, L. T. (1965). Social Deviance: Social Policy, Action, and Research. Prentice Hall.
  • Garrido, V., & Gómez, A. M. (1995). La educación social en el ámbito penitenciario. Comunicación, lenguaje y educación, 7(3), 53-60.
  • Morris, E. K., & Braukmann, C. J. (1987). The dimension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for crime and delinquency. In Behavioral Approaches to Crime and Delinquency (pp. 27-59). Springer, Boston, MA.
  • Ayuso, A. (2000). La intervención socioeducativa en el tratamiento penitenciario. Pedagogía social: revista interuniversitaria, (6), 73-99.
  • Pantoja, L. (2010). Actuación socioeducativa con mujeres presas: el papel de los educadores social. Las mujeres en las prisiones. La educación Social en contextos de riesgo y conflicto, T. Fanny Añaños (coord.). Barcelona: Gedisa, 101-122.
  • Juliano, D. (2010). La criminalización de las mujeres. Estigmatización de las estrategias femeninas para no delinquir. Las mujeres en las prisiones. La educación social en contextos de riesgo y conflicto, 25-44.
  • Almeda, E. (2010). Privación de libertad y mujeres extranjeras. Viejos pre.
  • YAGÜE, C. (2008). Mujeres y madres en prisión. Intervención basada en necesidades y demandas. enFanny AÑAÑOS, Francisco J. DEL POZO, e Iosifina MAVROU (coords.), Educación social en el ámbito penitenciario: mujeres, infancia y familia Natívola SL, Granada.
  • Yagüe, C. (2010). Panorama actual de la situación de las mujeres y madres en los centros penitenciarios españoles. El programa de igualdad. Las mujeres en las prisiones. La educación Social en contextos de riesgo y conflicto. Barcelona, 183-200.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