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에 혹이 잡힐 때

목에 혹이 잡힐 때
Sergio De Dios González

검토 및 승인: 심리학자 Sergio De Dios González.

마지막 업데이트: 13 10월, 2022

목이 뻐근하고 뭔가 막힌 듯한 기분이 든다. 침을 삼킬 때마다 아프고, 삼킬수록 점점 더 고통이 심해진다. 곧 나아지겠지, 침착하려고 노력하지만, 그 느낌은 계속된다. 마침내, 불안이 엄습하기 시작한다. 이는 목에 혹이 만져지는 감각(globus sensation)이라고 한다.

목에 혹이 만져지는 감각은 다른 말로 인두종괴감(globus pharyngeus)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목에 혹이 난 것 같은 이 증상은 불안과 같은 심리적 문제와도 연관이 있다.

이 증상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언젠가 목구멍이 닫혀 숨 쉬지 못할 것이라는 두려움에 사로잡힌다.

고통이 심하면 그렇게 느낄 수는 있으나, 실제로 숨을 쉬지 못하게 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목에 혹이 만져지는 이유는?

목에 혹이 만져지는 듯한 감각은 불안장애의 주요 증상 중 하나이다.

불안감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증상에 대해 호소한다. 하지만 이는 ‘느낌’에 불과하다.

결코 실제로 질식할 위험에 처해있지 않다. 물론 음식물을 넘길 때마다 아프긴 하겠지만, 실질적으로 별문제 없이 물과 음식을 섭취할 수 있다.

만약 실제로 호흡을 멈출 수 있다고 믿기 시작하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 질식할 것 같은 느낌이 더 강해지고 심하면 공황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이 증상을 빨리 발견했다고 해서 치료도 빨리 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한 번 비슷한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고, 별일 아닐 것이라고 머리로는 알지 몰라도 여전히 끔찍한 경험이다.

특히 증상이 10분에서 15분 이상 지속하면 사람들은 종종 눈물을 흘린다.

만약 당신에게 해당 증상이 정기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면 전문가를 찾는 편이 좋다.

당신의 삶 속에서 무언가가 스트레스를 주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공포는 감각을 예민하게 하는 반면, 근심은 감각을 마비시킨다.

-커트 골드스타인-

목에 혹이 잡힐 때 01

목에 혹이 잡히는 증상의 특징

물론 당신도 이 증상에 대해 이미 잘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조금 더 구체적으로 나열해보도록 하겠다.

  • 마음이 평온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다. 위에서 말한 것과 달리, 이 감각은 극심한 불안이나 긴장의 순간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오히려 마음과 지금 이 안정될 때 발생한다. 우리를 불안하게 만드는 것들이 쌓여있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뭐가 진짜 문제인지를 식별하기 어렵게 된다.
  • 말하기 힘들어진다. 비록 질식하지는 않겠지만, 목의 고통이 느껴지는 만큼 마치 목감기에 걸린 듯, 말을 하기가 힘들어진다.
목에 혹이 잡힐 때 02

불안 증상 무시하기

만약 당신도 이와 같은 증상으로 고통받은 적이 있다면, 아마도 응급실에 갔을 확률이 높다. 물론 진단 결과, 물리적으로 목에 혹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의사들은 아마 우리 몸에 별문제가 없다고 진단 내렸을 것이다. 그리고 기본적인 약을 처방해 주고 집으로 돌려보낸다. 그렇지만 나아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하지만 불안 증상을 무시하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중 하나는 실제 원인을 알 수 없다는 사실이다.

우리가 느끼는 불안은 바쁜 을 멈추라고 촉구하는 경고문이나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러한 경고를 무시한다면, 사라지기는커녕 더욱 악화할 것이다.

불안감으로 경고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경고를 받아들일 만한 더 심각한 증상으로 몸에 알릴 것이다.

목에 혹이 잡히는 듯한 느낌은 우리 몸이 우리에게 ‘멈춰’라고 말하는 첫 번째 신호일지도 모른다.

이 신호를 무시해버린다면 마비, 우울증과 같은 더 큰 문제로 발전할 수도 있다.

가장 좋은 일은 전문의의 도움을 구해서 걱정을 해결하고 무엇이 걱정을 끼치고 있는지 알아내는 것이다. 이처럼 목에 혹이 잡히는 증상은 언제든 우리를 공격할 수 있다.

때가 늦으면 돌이킬 수 없을 것이다. 그러니 우리 몸에서 보내는 신호에 늘 신경을 쓰도록 하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Álvarez, A. A., Martínez Lemus, H., & Núñez Orozco, L. (2005). Manifestaciones pseudoneurológicas de los trastornos somatomorfos. Revista Mexicana de Neurociencia6(6), 480-487.
  • Corso, M. J., Pursnani, K. G., Mohiuddin, M. A., Gideon, R. M., Castell, J. A., Katzka, D. A., … & Castell, D. O. (1998). Globus sensation is associated with hypertensive upper esophageal sphincter but not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43(7), 1513-1517.
  • Chavez, Y. H., Ciarleglio, M. M., Clarke, J. O., Nandwani, M., Stein, E., & Roland, B. C. (2015). Upper esophageal sphincter abnormalities: frequent finding on high-resolution esophageal manometry and associated with poorer treatment response in achalasia. Journal of clinical gastroenterology49(1), 17-23.
  • Färkkilä, M. A., Ertama, L., Katila, H., Kuusi, K., Paavolainen, M., & Varis, K. (1994). Globus pharyngis, commonly associated with esophageal motility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Springer Nature)89(4).
  • Finkenbine, R., & Miele, V. J. (2004). Globus hystericus: a brief review. General hospital psychiatry26(1), 78-82.
  • Kwiatek, M. A., Mirza, F., Kahrilas, P. J., & Pandolfino, J. E. (2009). Hyperdynamic upper esophageal sphincter pressure: a manometric observation in patients reporting globus sens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104(2), 289.
  • Lee, B. E., & Kim, G. H. (2012). Globus pharyngeus: a review of its et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WJG18(20), 2462.
  • Quesada, J. L., Lorente, J., Homs, I., López, D., & Quesada, P. (2003). Pharyngeal globe and pharyngo-laryngeal reflux. Acta Otorrinolaringologica Espanola54(7), 495-498.
  • Wilson, J. A., Heading, R. C., Maran, A. G. D., Pryde, A., Piris, J., & Allan, P. L. (1987). Globus sensation is not due to gastro‐oesophageal reflux. Clinical Otolaryngology & Allied Sciences12(4), 271-275.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