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아동의 두뇌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아동의 두뇌
Valeria Sabater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Valeria Sabater.

마지막 업데이트: 20 5월, 2023

인구 일부는 특정 세계에 고립된 채 살아가고 있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어린이의 뇌는 뉴런 연결이 과다하게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이들에게 그들 주위의 모든 자극에 반응하고 이해하는 것이 어려운지를 설명해준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아이의 두뇌를 집이라고 가정하면, 모든 방 안에는 소음으로 가득 차 있으며 복잡한 전선들이 여기저기 널려져 있고, 거의 모든 자극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벽을 가진 집으로 표현할 수 있다.

과도한 시냅스 또는 신경 연결은 모든 어린이에게 특별한 변화를 가져온다.

과학의 발달과는 그다지 상관이 없다. 전체 인구의 상당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신경학적 발달 장애들가 있다는 걸 인지하는 것 자체는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장애로 고생하는 사람들에 대한 인식, 고정 관념 및 오해를 갖지 않는 노력이 그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의심의 여지없이, ASD(자폐 범주성 장애)를 앓고 있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문제 행동이 우리의 인내심을 시험할 수 있다.

그들은 특권 의식을 가지고 있거나 심각한 지적 결함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수수께끼에 쌓인 그들의 세계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지닌 강점, 감성, 욕구, 애정은 우리를 놀라게 한다.

그들의 가족은 인정받을 만한 이들이다.

그들은 고정관념에 맞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돕는 의사, 전문가, 교사, 심리학자 및 모든 이들과의 관계를 맺으려고 노력함으로써 끊임없고 열정적인 사랑을 표현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그들의 속사정에 대해 알기 위해 노력한다면 그들을 더 잘  도울 수 있다.

이 문제에 대해 좀 더 알아보도록 하자.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아동의 두뇌 01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어린이 뇌의 초연결

2014년 컬럼비아 대학의 연구원 그룹이 공개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의 정보는 뉴런 지에 실렸는데 두 가지 중요한 점을 설명했다.

  • 이미 언급했던 자폐 범주성 장애가 있는 아이들 두뇌의 특수성:  뉴런 사이의 시냅스의 과도한 연결.
  • 과도한 연결(3세 이전에 발생하는특이점 두뇌 변화)을 조절할 수 있는 실험적인 치료법.

또한 우리는 이러한 시냅스 특이점 이외에 다른 관련 문제가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두뇌 영역 간의 연결 문제가 있다.

시냅스 가지치기가 지닌 문제

우리가 배아 상태일 때부터 2세가 될 때까지 시냅스 생성이라는 놀라운 과정이 뇌에서 일어난다. 이 단계에서 초당 40,000개의 새로운 시냅스가 생성된다.

  • 이 시기에 아이들은 그들이 필요한 것보다도 더 많은 뉴런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뇌가 발달함에 따라 가장 유용햔 연결 고리는 수초가 형성되고 나머지 연결은 사라지게 된다.
  • 냅스 가지치기는 주로 대뇌 피질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 방식으로 사고, 분석, 반영 및 주의와 같은 수행 기능을 관리하는 과정이 강화된다.
  • 사춘기에 이르기까지 이 가지치기로 인해 피질 시냅스의 거의 절반가량이 제거된다.
  • 이 연구는 ASD를 지닌 아이들의 경우 이러한 시냅스 가지치기가 50%에 못 미치는 16%에 그친다고 결론지었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아동의 두뇌 02

뇌량과 뇌 커뮤니케이션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어린이의 두뇌는 또한 뇌량이라 불리는 중요한 구조에 문제가 있다.

  • 이 구조는 서로 다른 두뇌 영역 간의 의사소통을 밝히는 중요한 열쇠이다.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린 폴 연구원은 자폐 아동의 뇌량에서 보이는 다양한 변화를 보았다. 이 변화는 일상적인 사회 상호작용, 다양한 유형의 정보 파악, 오해 그리고 보다 높은 수준의 정서적 접근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두뇌 이질성

연세대학교 의과 대학의 연구원들은 신경 영상 결과가 매우 이질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연구를 수행했다. 자폐 범주 아동의 두뇌에는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이상이 분명히 나타난다. 그러나 이들의 두뇌가 서로 같은 경우는 극히 드물다.

  • 결과적으로, 각 아동은 자폐 범주 내에서 각기 다른 행동, 결함 및 특이성을 나타낸다.
  • 신경회로와 어느 두뇌 영역에서 소통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소들 또한 있다. 이는 어떤 아이들이 지능이 뛰어났지만 다른 아이들에게서는 심각한 의사 전달 문제가 있는지를 설명해 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두뇌는 보통 사회적 및 감정적 자극을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 그렇다고 해서 이 아동들이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이다. 그들은 사랑받고, 지지받으며, 인정받고 싶어한다. 그들은 다만 이러한 자극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모를 뿐이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아동의 두뇌 03

자폐 범주성 장애를 지닌 아동의 두뇌: 결론

mTOR 단백질은 현재 연구 중에 있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이 단백질은 시냅스 가지치기를 방해하는 가능성이 있다.

이 과정은 두뇌가 더 강한 뉴런 연결을 생성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결론이 난 것은 아직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각 아동의 특수한 요구사항을 알고, 그들이 지닌 특수성에 맞춰 최선의 방법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다.

다행히도 이 분야의 전문 인력들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현재 인구의 2%를 차지하는 이들을 염려하는 전문가가 현재 많이 있다.

우리의 목표는 이 그룹에 속한 개인들이 처한 현실을 더 잘 이해하는것이다.

그들이 무기력하고 비협조적으로 보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들은 아마 아무도 자기를 만지거나 바라보는 시선에도 불쾌해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그들이 우리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그들의 내부 세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Stephanie H. Ameis, Jason P. Lerch, Margot J. Taylor, A Diffusion Tensor Imaging Study in Children With ADHD, Autism Spectrum Disorder, OCD, and Matched Controls: Distinct and Non-Distinct White Matter Disruption and Dimensional Brain-Behavior Relationship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16; appi.ajp.2016.1 DOI: 10.1176/appi.ajp.2016.15111435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