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칸 뷰티 - 외모에 속으면 안된다
1999년 샘 멘데스 감독이 연출한 아메리칸 뷰티(American Beauty)는 당시 사회를 풍자적으로 비판한 미국 영화다. 하지만 이제는 클래식이나 다름없다. 현재 서구 사회의 어떤 면모에도 그 영화가 하고자 하는 교훈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목을 한번 보자. 이 영화는 미국 사회가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에 대한 이상에 대해 말한다. 아메리칸 뷰티는 “완벽한 가족“의 강요된 틀을 고통스럽게 보여준다. 이 영화는 처음부터 아름다움이 단순한 외모에 불과하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그것은 덧없고 피상적이며 비극적 결말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사육장이나 다름없는 사회를 보여주는데, 이 안에서 각 주인공은 모두 적응해야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적인 가족의 형태
영화의 줄거리는 한적한 단독주택 동네에서 시작된다. 그 동네에는 버넘(Burnham) 가족이 살아가고 있는데, 가족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엄마인 캐롤린은 외부에 보ㅈ는 이미지에 신경을 많이 쓴다. 또한 직장에서의 성취를 열망한다.
- 레스터, 아버지 역할이자 영화의 주인공이다. 그는 무심한 성격이고, 좋아하지도 않는 삶을 열심히 살기로 마음먹으며, 자위할 때 가장 큰 행복을 느낀다.
- 10대 딸인 제인. 그녀는 콤플렉스로 가득 차 있고, 감정적 요소라고는 전혀 가족과 살면서 여러 10대가 가질 법한 문제에 직면한다.
이 등장인물들은 어떤 식으로든 그들의 해방감을 성관계를 통해 느낀다. 이 영화에서 섹스는 곧 우리가 사회에서 억압하려고 하는 본능적인 요소를 상징한다.
그러던 어느 날 또 다른 엇박자의 새 이웃 가족이 도착한다. 피츠(Fitts) 중령은 가장이자 군인으로서, 강력한 부인을 방어 대책으로 삼는 사람이다. 이 역할에 너무 충실한 나머지,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기 위해 스스로를 부정하기도 한다.
반면에 그의 아내는 완전히 순종적이다. 그녀는 거의 말을 하지 않고 결벽증이 있다. 이 둘 사이에는 10대 아들 리키가 있는데, 리키는 그의 아버지와 반대되는 성향을 지닌다. 그는 사회의 잣대를 버리고 남들이 보지 못하는 곳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가장 무도회와 다름없는 사회
영화 아메리칸 뷰티는 우리에게 인간의 가장 큰 걱정과 대조되는, 완전히 비인간적이고 물질주의적인 사회의 비극적 결말을 보여준다. 우리가 그 틀에 맞추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가면을 쓰며 행동하는 현실을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
Eugenio Trías가 그의 저서 Philosophy and Carnival에서 설명하듯, 우리 사회는 거대한 가장 무도회다. 그 속에서 우리는 단지 하나의 정체성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많은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세월이 흐르면서 아들, 아버지, 할아버지처럼 변해가는 가면이다…일상 가정을 꾸려 살아가고, 외부 시선을 의식해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것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사람들이 미국의 생활 방식을 추종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발생한 비극이다.
사람들이 열정에 사로잡혀 있는 장면에서 섹스가 등장할 때 그 가면들이 어떻게 흐려지는지 보는 것은 흥미롭다. 레스터, 피츠 중령, 10대 소녀 제인, 안젤라(제인의 친구) 모두 욕망에 굴복해 진정한 욕구와 가지고 있던 불안감을 드러낸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항상 성공의 모습을 자신에게 투영시켜야 한다.”
-버디 케인, 아메리칸 뷰티–
아메리칸 뷰티에 나오는 장미의 의미
이 영화에서 아름다움은 핵심 키워드며, 장미는 이를 상징한다. 아주 옛날부터 장미는 완벽함을 상징했다. 그러나 장미는 배반적인 꽃이다. 섬세하고 연약한 꽃잎과 대조되는, 날카롭고 단단한 줄기와 가시가 있다. “완벽한 미국의 가족“도 마찬가지다.
영화의 시작 부분에서, 캐롤린은 정원에서 장미를 손질하며 그것들의 아름다움에 감탄한다. 이 장미를 자르고 꽃병에 꽂음으로써 우리는 그것들을 인공적인 것으로 바꾼다. 사색하는 것이 유일한 목적이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그들은 시들어 꽃잎을 떨구고, 아름다움도 잃어버린다. 이 장미는 영화 내내 나타나며, 그들은 등장인물의 삶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복선의 역할을 한다.
“평범한 것보다 끔찍한 것은 없다…”
-Angela Hayes, 아메리칸 뷰티–
제인의 10대 친구 안젤라는 장미와 연결되어 있다. 그녀는 전형적인 미국의 미인이다. 금발이고 빼어난 외모에 마른 체격이고 치어리더 팀의 리더다. 그녀는 제인에게 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그녀는 남성들이 자신을 원한다는 사실을 즐기며 모델이라는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다. 하지만 그녀는 불안감으로 가득 차 있다. 그녀의 삶은 자기 가꿈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녀가 동경하는 스스로의 모습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장미 꽃잎에도 성적 의미가 담겨 있다. 그렇기에 안젤라의 캐릭터와 연관성이 있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장미의 꽃잎은 천천히 떨어져, 우리가 얼마나 덧없는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있는지 잘 보여준다.
완벽의 대가
이 영화는 시청자로 하여금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보기에 불편하고,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된다. 시청자들이 자신의 일상 생활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기를 원한다. 그것은 등장인물들의 마음, 그들의 깊은 욕망, 그들이 서로 가지고 있는 관계, 그리고 그들이 삶의 다른 단계에서 어떻게 세상과 연관되는지를 보여주며 우리를 사로잡는다. 표준화된 아름다움은 리키가 생각하는 아름다움과 거리가 멀다.
음악이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우리를 분위기에 젖게 하는 힘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과정도 흥미롭다. 특히 자동차 장면에서 말이다. 자동차 안에서만큼은 가면이 존재하지 않고, 등장인물은 원하는 모습을 추구할 수 있다. 고독은 그들을 자유롭게 하고 그들이 운전하고 있다고 느끼는 힘은 그들이 선택한 음악에 몸을 맡긴다. 그 순간 만큼은 자기 본연의 모습을 지킬 수 있는 순간이다.
아메리칸 뷰티는 우리 현대 사회의 혹독한 현실을 제시하며, 우리가 두려움의 감정으로 인해 이미지에 얼마나 큰 노력을 들이붓고 있는지를 지적한다. 우리는 기존의 틀에서 적응하고 살아남기 위해 많은 가면을 쓰고 숨어버린다. 이처럼 외적 이미지는 사람을 속일 수 있다.
“절대 부정의 힘을 과소평가하지 말라.”
-리키 피트, 아메리칸 뷰티–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Ball, A. (2011). American Beauty.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Problem-Solving (ICCP). http://doi.org/10.1109/ICCPS.2011.6092196
Dawes, R. M. (1979). The robust beauty of improper linear models in decision making. American Psychologist. http://doi.org/10.1037/0003-066X.34.7.571
Gelman, A., & Weakliem, D. (2009). Of beauty, sex and power. American Scientist. http://doi.org/10.1511/2009.79.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