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의 결신 발작: 증상 및 결과

성인의 결신 발작은 극도로 제한적일 때가 있는데 이번 글에서 결신 발작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자.
성인의 결신 발작: 증상 및 결과

마지막 업데이트: 14 4월, 2022

결신 발작은 백일몽과 혼동되지만 성인의 경우 단순한 백일몽과는 거리가 멀고 대뇌 상관관계가 있다. 하지만 직접 관찰되는 결신 발작 증상이 모호하여 진단이 복잡하기 때문에 자기 몰두 증상과 혼동되기 쉽다.

다음에서 결신 발작을 직접적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원인 및 증상 등을 이야기해보겠다. 노인은 특히 결신 발작에 주의해야 하므로 증상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결신 발작

결신 발작 의식
결신 발작에는 정형 및 비정형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결신 발작은 전조 증상 없이 의식이 잠깐 소실되는 것이 특징인 전신 발작의 한 유형이다. 의식을 잃은 환자는 몇 초간 먼 곳을 응시하다가 부상 없이 정상적인 각성 상태로 돌아간다.

결신 발작은 소아에게 더 흔히 발현하며 의료 조치가 필요할 때도 있다. 하지만 대개 청소년기에 저절로 해결되므로 성인이 된 후 결신 발작 증상이 나타난다면 전문의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결신 발작 기간과 특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정형과 비정형,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 정형 결신: 가장 일반적이다. 환자는 수행하던 작업을 멈추고 멍하게 보이는 증상이 10초 미만 지속한다.
  • 비정형 결신: 10초 이상 지속하며 손가락 문지르기 같은 다양한 움직임과 증상을 보인다.

결신 발작 원인

결신 발작은 뇌의 비정상적인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양쪽 대뇌 반구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만 의식만 잃을 뿐 근긴장도에는 변화가 없다.

일반적으로 3초 루프 반복 발사 같은 뉴런의 비정상적 전기 패턴의 결과지만 신경 전달 물질의 화학적 파괴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전문가의 진단이 필요하다.

증상

가장 눈에 띄는 증상은 약 10초 정도의 의식 소실이다. 특히 아동의 경우, 부주의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징후로 식별할 수 있다.

  • 다른 발작과 달리 방향 감각 상실, 두통 또는 졸음 증상이 없다.
  • 때로는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동작을 멈춘다. 예를 들어, 물컵에 손을 뻗다가 그대로 얼어붙을 수 있다.
  • 혀로 딸깍거리는 소리, 눈꺼풀 떨림, 씹는 움직임, 손가락 문지름 또는 손 틱처럼 작은 움직임이 관찰된다.
  • 후향성 기억상실증

결신 발작 결과

결신 발작 기억상실증
결신 발작은 뇌의 일시적인 비정상적 전기 활동으로 발생한다.

결신 발작은 의식 장애이지만 뇌 손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발작 중에 넘어질 수 있으며 자신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이해하지 못하면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

결신 발작이 극도로 빈번하게 발생하면 환자는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잊어버릴 위험이 있다. 이러한 지속적인 활동 중단은 공부나 일과 같은 특정 상황을 제한할 수 있다.

진단 및 치료

결신 발작을 진단하려면 일련의 검사가 필요하다. 기억 상실과 뇌전도(EEG) 검사가 가장 중요한데 뇌파 결과로 뇌의 전기적 활동 패턴과 이상 현상을 좀 더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정확히 발작이 일어났다고 확인되면 일반적으로 항경련제 치료를 한다. 위험 증상이 다시 나타나거나 악화되면 환자는 재진찰을 받아야 한다.

스스로 결신 발작이 있다는 추측 하에 이 글을 읽고 있다면 정보 수집 이상의 의미를 두지 않는다. 건강 상태가 의심되고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정도라면 신뢰할 수 있는 의사에게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진찰받도록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Carrera-García, L., Málaga-Diéguez, I., Blanco-Lago, R., Díaz-Baamonde, A., Santoveña-González, L., & González-Rato, J. (2017). Ausencias sintomáticas, la etiología menos conocida de las crisis de ausencia. Rev. neurol.(Ed. impr.), 263-267.
  • Mauri Llerda, J. A., Tejero Juste, C., Íñiguez, C., & Morales Asín, F. (2001). Utilidad de la lamotrigina en el tratamiento de las crisis epilépticas de ausencia. Rev. neurol.(Ed. impr.), 247-250.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