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대접받기 원하는 방식으로 누군가를 대하는 것
자신이 대접받기 원하는 방식으로 누군가를 대하는 건 많은 사람과 학파가 공유하는 도덕적 원칙이다. 철학자, 종교 지도자 및 영향력 있는 사람들은 이 아이디어를 인간관계의 지침이라고 홍보한다.
거의 모든 사람이 “황금률“에 익숙하지만, 그 이름 때문에만은 아닐지도 모른다.
이 개념이 얼마나 보편적인지를 고려할 때, 이를 적용하는 것이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항상 최선의 접근 방식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면 놀라게 될 것이다.
우리는 모두 우리의 행동을 받아들이는 누군가가 그러한 행동을 완전히 잘못 해석했던 순간을 경험한 적이 있다. 아니면 더 나쁘게도 우리가 한 선의의 행동이 실제로 그들의 이익에 해가 되기도 한다. 다른 사람의 안녕에 대한 누군가의 진정한 관심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건 조금 불공평해 보이지만, 이는 항상 발생하는 일이다. 그 이유는 자신의 행동이 잘못된 관점, 즉 자신의 관점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
자신이 대접받기 원하는 방식으로 누군가를 대하는 것은 좋은 걸까?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라는 말은 성경에서 매우 유명한 구절이다. 그리고 물론 이 말은 훌륭한 전제처럼 보인다. 이는 좋은 의도와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더 큰 인식을 의미한다.
만약 이 구절을 실행에 옮기면, 우리는 아마 더 정직해지고, 사려 깊고, 힘을 주고, 친절해질 것이다.
이 도덕적 원칙은 또한 정말 그러고 싶지 않을 때도 친구에게 호의를 베풀도록 하거나, 아니면 누군가를 비난하기 전에 두 번 생각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욕망과 기대는 보편적이지 않다
친절과 이해의 일반적인 개념을 넘어 더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차원으로 옮겨가게 되면 이 황금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장 친한 친구의 생일에 값비싼 시계를 산다고 상상해 보자.
그런데 선물을 줬을 때 그 친구가 실망한 기색을 보이면 혼란스럽거나 심지어 화가 날 수도 있다.
아마도 그 친구는 감정적으로 중요한 개인적인 선물이나 직접 만든 선물을 원했을 것이다. 아니면 물질적인 선물 대신 저녁 식사나 다른 경험의 공유를 기대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단절은 삶의 모든 측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오해는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 많이 발생한다. 아마도 우리 중 일부는 아들이 복잡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을 겪고 있는 것을 지켜보는 아빠일 것이다.
그리고 이때 우리는 아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그것이 큰 문제가 아니거나, 그 결과가 그렇게 심각하지 않다는 사실을 아들이 깨달을 수 있도록 그의 문제를 맥락에 대입하여 도움을 주려고 한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지원에 우리는 잘 반응한다고 하더라도, 아들은 똑같이 느끼지 않을 수도 있다. 어쩌면 그는 우리가 단순히 그가 상황을 잊게 만들려고 한다고 생각하여 우리와 더 대화하지 않으려고 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우리가 남자친구와 싸웠는데 결국에는 우리가 틀렸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가정해 보자. 그래서 우리는 그에게 전화하거나 그를 찾아가 대화를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전화를 걸면 상대방은 짜증을 내면서 우리와 대화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여기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전화 통화나 방문을 선의의 표시로 볼 수도 있지만, 남자친구에게는 그것이 너무 이르다고 느껴질 수 있다. 그는 분노를 다스리기 위해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의 필요를 염두에 두자
우리는 자신이 대접받기 원하는 방식으로 누군가를 대하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말하고 있는 게 아니다. 이는 좋은 출발점이다.
하지만 우리는 주의 사항을 추가하고자 한다. 우리는 사람들이 우리의 성격과 필요를 염두에 두길 원하기 때문에, 우리도 다른 사람들을 위해 정확히 그 일을 해야 한다.
다른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 선호하는 것, 필요로 하는 것, 원하는 것을 생각해 보자. 그들에게 그들의 입장에 서서 그들의 관점으로 사물을 볼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을 선물로 주자.
우리가 원하는 것에 너무 집중하지 말자. 대신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결국, 모든 사람은 독특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우리에게 전적으로 직접적이고 정직하기를 원할 수도 있지만, 우리와 상호 작용하는 사람은 재치, 이해력, 미묘함이 있어야 한다.
싸움 후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지만, 파트너는 우리와 함께 있으면서 대화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만약 우리가 황금률을 따르고자 한다면, 말다툼한 후 파트너와 함께 있어 주어야 한다.
인간관계는 복잡하다. 그것은 우리의 욕망과 생각이 주변 사람들의 생각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게 아니다.
그렇지만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인지 알고 싶다면, 우리 자신의 입장에서 나와 그들의 입장에 서보자. 결론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그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대해야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Moya-Albiol, L., Herrero, N., & Bernal, M. C. (2010). Bases neuronales de la empatía. Rev Neurol, 50(2), 89-100.
- Singer, T., & Klimecki, O. M. (2014). Empathy and compassion. Current Biology, 24(18), R875-R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