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식 장애 예방에 관한 부모의 역할

섭식 장애는 날씬한 몸매를 우위로 여기는 사회에서 점점 흔해지고 있으며 십 대 소녀들에게 비현실적인 미의 기준을 강요하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에서 아이들을 지키려면 부모의 역할이 무척 중요하다.
섭식 장애 예방에 관한 부모의 역할

마지막 업데이트: 13 3월, 2021

장애 대부분의 유래는 알려진 바 없지만, 내외적 특징을 연구하여 유래를 발견한 장애도 있다. 현대 사회의 문화 때문에 발생하는 섭식 장애 예방을 위해서는 부모의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거식증이나 비만 같은 섭식 장애는 특정 환경을 받는다. 자녀가 섭식 장애를 유발할 사회적 영향을 받지 않으려면 부모의 도움이 필요하다.

많은 심리적 장애와 마찬가지로, 나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인기의 첫 단계에서 명확한 변화를 보이는 장애도 있다.

특정 인구에 영향을 주는 장애로는 여성의 ‘불안증’과 우울 장애가 있는데, 이는 여성들이 미에 관한 사회적 기준과 신념 때문에 고통받기 더 쉽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13세~24세 여성은 섭식 장애 환자가 될 확률이 가장 높은데, 이 연령대는 부모와 동거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때 부모가 자녀의 섭식 장애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섭식 장애 부모

섭식 장애 예방에 관한 부모의 역할

섭식 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해서 가족 관계 때문에 섭식 장애에 걸리는 환자들도 있다.

섭식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가족 문제는 구성원 사이의 불화와 십 대 자녀의 불만에 대한 이해 부족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간섭하는 부모의 과보호는 자녀의 자주성을 잃게 해서 그들이 스스로 아무 결정이나 책임을 지지 못하게 만든다.

섭식 장애 예방, 자유 방임적 양육이 해답일까?

자유 방임적이거나 나태한 양육으로는 자녀의 섭식 장애를 예방할 수 없다. 부모의 애정과 감독 부족은 모든 섭식 장애의 주요 원인인 자존감 약화로 연결된다.

자녀의 섭식 장애는 가족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 폭식증은 충돌이 잦은 비정상적 가정의 자녀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즉, 적대감, 영양 부족, 이탈, 충동과 부모의 지원 부족이 원인이 된다는 뜻이지만 부부싸움은 잘 하지 않는다.
  • 제한적 거식증은 부부싸움이 잦고 경제적 문제가 있는 가정의 자녀들이 잘 걸린다.
  • 하제 거식증에 걸린 십 대는 부부싸움이 잦은 가정에 살며 부모의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하고 가족과의 유대가 없는 편이다.

섭식 장애 예방법

부모는 자녀의 섭식 장애 발현과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섭식 장애 예방법에 관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다.

자녀의 신체나 외적 특징을 놀리지 않기

십 대는 빠르게 성장하며 외모가 크게 변하는 시기다. 이때문에 주변에서 자녀의 외모 변화에 관해 많이 언급하면 자존감 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섭식 장애 환자였던 성인들은 주로 ‘뚱뚱해지니 굶어,’ ‘여드름쟁이,’ 또는 ‘머리 모양 때문에 멍청해 보여’ 같이 십 대 시절 들었던 말이 상처가 됐다고 말한다.

불확실한 십 대 이해하기

청소년기는 아무리 철저히 준비해도 십 대에게 힘든 시기다. 어떤 십 대는 먹는 음식을 통제하는 식단 관리로 자신감을 얻는다.

부모는 십 대 자녀에게 짜증을 건전하게 극복하는 법을 가르쳐줘야 한다. 부모의 지지와 가르침이 없으면 십 대는 방황하는 세월만 보내게 된다.

섭식 장애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경고 증상과 다양한 미의 기준에 관해 자녀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문제를 제공한 친구나 사회로부터 도움을 받기는 어렵기 때문에 부모에게 마른 것만이 아름다움을 뜻하지 않는다는 확신을 얻어야 한다.

섭식 장애 자녀와의 대화

절제가 어려운 십 대를 위해 경계 설정

자유 방임적 양육은 규칙을 정하기 힘들다. 일찍부터 부모와 자녀의 생각 차이와 경계 설정의 필요성을 차근차근 설명해주는 것이 좋다.

자녀의 섭식 장애를 예방하려면 부모는 경계를 정해줘야 한다. 경계 설정은 그들이 건강한 생활 습관을 지니는 데 장단기적으로 효과가 뛰어나다.

정해진 경계 안에서 건강히 사는 방법을 배운 아이들은 점점 발전한다. 결론적으로 십 대의 섭식 장애 예방에 중요한 요소는 사랑과 적절한 경계 설정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Martínez, J., Navarro, S., Perote, A. y Sánchez, M. (2010). Educar y crecer en salud. El papel de padres y educadores en la prevención de los trastornos de alimentación. Ed: Instituto Tomás Pascual Sanza para la nutrición y la salud. Madrid, España.
  • Piñeros, S., Molano, J. y López de Mesa, C. (2010). Factores de riesgo de los trastornos de la conducta alimentaria en jóvenes escolarizados en Cundinamarca (Colombia). Revista Colombiana de Psiquiatría, 39(2), 313-328.
  • AEPNYA. Trastornos de la conducta alimentaria (TCA). Procolocos 2.008.
  • Ochoa de Alda, I., Espina, A. y Ortego, M. (2006) Un estudio sobre personalidad, ansiedad y depresión en padres de pacientes con un trastorno alimentario. Clínica y Salud, 17(2), 1-20.
  • Martínez, D. y Martínez, S. (2017). Relación entre tratornos de la conducta alimentaria y género y familia en adolescentes escolarizados, Suba (Bogotá). Carta Comunitaria, 25(143), 29-33.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