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바: 인간 본성의 부재

더 바(The Bar)는 '바(Bar)'라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터무니 없고 미친 사건에 관한 영화이다. 이 영화는 사람들이 극단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가를 보여준다.
더 바: 인간 본성의 부재
Leah Padalino

작성 및 확인 영화 비평 Leah Padalino.

마지막 업데이트: 27 12월, 2022

빌바오 영화제작자 알렉스 데 라 이글레시아의 마지막 두 영화는 같은 시기에 개봉되었다. 더 바(The Bar)와 퍼펙트 이방인(Perfect Strangers)은 2017년에 처음 상연되었지만 매우 다른 영향을 미쳤다. 전자가 적지 않은 수익을 올린 반면 후자는 감독의 최고 흥행작이 되었다. 그러므로 아마도 리메이크된 줄거리는 훨씬 특이한 더 바(The Bar)보다 관객들에게 훨씬 더 매력적이었을 것이다.

미친 사건들의 연속은 대부분의 경우 매혹적이지만 또한 정말 터무니 없이 전게 된다. 개인적으로, 나는 더 바(The Bar)가 다소 매력적인 줄거리를 가진 즐겁고 재미있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지루할 수도 있고, 이 영화제작자의 다른 영화들 사이에서 빛을 발하지 못한 영화다. 그냥 좀 같은 것 이상이다.

더 바: 줄거리

평범한 아침, 스페인 마드리드의 한 무리의 사람들이 바에서 아침을 먹고 있다. 어떤 손님들은 서로 아는 사이인 반면에 다른 손님들은 그냥 지나가고 있다. 갑자기, 그 일상은 비극에 의해 중단된다: 누군가 술집 밖에서 총에 맞아 죽는다. 도시의 혼란은 사라지고, 도시는 텅 빈 듯하며, 이 한 무리의 등장인물들은 술집 안에 갇히게 된다.

바에는 재미있는 줄거리가 있고 마치 사회의 반영인 것처럼 등장인물들을 잘 표현한다. 감독인 알렉스 데 라 이글레시아는 우리가 사회에서 하는 역할 뒤에 숨는 본성인 가면 뒤의 진실을 잘 포착한다.

더 바: 비공간

우리가 영화에서 보는 바는 다른 어떤 술집과 같다. 특별한 것은 없다. 매일 아침 주변 사람들이 아침 식사를 하는 동네 술집이다. 만약 이곳이 평범한 일상의 장소가 아니었다면 엘레나처럼 다시는 끼어들지 않을 사람들이다. 그 친숙하고 제한된 공간에서 등장인물들은 영화를 살아나게 한다.

마크 오제는 프랑스의 인류학자인데, ‘비공간(non-place)’라는 말을 믿게 되었다. 하지만 비공간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일시적인 길이지 정체성이 드러나지 않는 곳이다. 오제는 고속도로, 호텔 방, 비행기 등을 비공간으로 식별한다. 이 장소들은 단지 사람들이 짧은 시간 동안 머물거나 다른 사람들과 거의 소통하지 않거나 의미 있는 관계를 맺지 않는 장소들이다.

비공간은 인류학적 장소, 즉 정체성이 존재하는 장소와 정반대되는 곳이다. 비공간은 일시적이다. 그것들은 현대 사회를 괴롭히는 공간이다. 어떤 공간이 비공간인지 아닌지는 주관적이다. 그것은 특정 장소가 특정 개인에게 무엇을 의미하느냐에 달려 있다.

더 바: 유리문에서 지켜보는 사람들

바의 설정

이 술집은 끊임없이 움직이는 도시의 틀에 있는 비지상이다. 이곳은 또한 많은 사람들에게 익명성이 있는 장소이고 다른 사람들에게 은신처가 되는 곳이다. 술집에서 우리는 엘레나를 만난다. 그녀는 전화 충전만 하려고 술집에 들어간 젊은 여성이다. 그리고 그곳에는 매일 슬롯머신을 하러 오는 중년 여성 트리니가 있다.

엘레나와 트리니만이 그 좁은 공간에 갇히게 되는 것은 아니다. 모두 여덟 명이 갇히게 된다. 알렉스 데 라 이글레시아는 이전 영화에서 밀실 공포증에 대한 그만의  재능을 보여주었다.

그는 종종 극단적인 상황에 직면하게 될 장소에 사람들을 가둬둔다. 예를 들어, ‘영원한 재산’이나 ‘나의 큰 밤’이 그것이다.

사회의 표본으로 주조된 앙상블

더 바(The Bar)는 현대 스페인의 모습 잘 표현하고 있다. 8명의 등장인물은 각기 다양한데, 남성 노숙자, 젊지만 극도로 불안한 젊은 여성, 도박 문제가 있지만 지극히 평범해 보이는 중년 여성, 최신 유행을 쫓는 젊은 사람, 알코올 중독으로 경찰에서 해고된 전직 경찰 등이 있다.

상황이 더 절박해지자 등장인물들은 본색을 드러낸다. 스페인의 철학자 유제니오 트리아스는 그의 작품 “철학과 카니발”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해 말했다.

트리아스에 의하면 우리는 관습에 따라 행동하고 사회 자체가 우리에게 부과한 역할에 따라 행동한다. 그러나 우리는 여러 가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모든 상황에서 같은 행동을 하지는 않는다. 우리는 항상 같은 이미지를 투사하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이 영화에 대해 가장 높이 평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는 엘레나가 술집에 들어갈 때와 같이 친구와 통화할 때 같은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마찬가지로 모든 등장인물들은 그들이 투사하는 이미지와 그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숨기는 비밀이라는 특정한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더 바: 깜짝 놀라는 사람들

가면을 벗다

이 가면 춤은 우리 세계, 우리가 매일 자주 가는 술집, 그리고 개성이 빠르게 증식하는 현대 도시들의 반영이다. 흥미롭게도, 정체성이 항상 가장 안정되어 있는 인물은 노숙자인 이스라엘이다. 무엇보다 이스라엘은 다른 사람들과 같은 세계에 속하지 않는 것 같다. 그는 많은 문제를 경험했지만 우리를 속이려 하지 않는 사람이다.

상황이 절박해짐에 따라 모든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생존을 위해 고군분투한다. 이 가운데 ‘자신을 위한 모든 사람’이라는 철학이 팽배해 가면이 벗겨진다. 이것은 우리 세계를 둘러싼 위선을 반영한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가면을 벗지 않거나, 적어도 그보다 더 적게 한다. 왜 그럴까? 단순히 이스라엘이 누구의 비위를 맞추려고 노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결코 자신이 누구인지 다른 이미지를 투영하려 하지 않는다.

결론

우리가 배제하는 것들이 우리 중에서 가장 진실한 것인가? 이스라엘은 이미 그의 생존을 위해 매일 싸우고 있는 절박한 상황에 처해 있다. 그런 이유 때문에 그는 사회에서 파렴치한 사람이며 그 결과 가면을 쓰지 않는다. 인간학, 희극, 그리고 비극 사이에서 더 바(The Bar)는 인간을 가장 본래의 상태로 보게 만든다. 더 바(The Bar)는 도덕성과 사회적 규범보다 생존이 우선하는 상황을 내포하고 있다. 등장인물들이 그들의 가면을 벗을 때 우리는 비로소 그들의 최악의 면을 본다.

“그대의 식욕, 나의 신들, 그리고 그대는 인간의 본성을 정복했소.”

– 찰스 디킨스 –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ugé, M., (2009): Los no lugares: espacios del anonimato. Antropología sobre modernidad. Barcelona, Gedisa.
  • Trías, E. (1984): Filosofía y Carnaval y otros textos afines. Barcelona, Anagrama.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