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에 대한 심리 사회적 개입
세계 보건 기구 (WHO)에 따르면 건강은 단순히 조건이나 질병의 부재가 아니라,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이 완전한 상태이다. 이 상태를 달성하거나 보존하기 위해서, 당신은 다른 분야 내에서 다른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식과 응용의 공간 중 하나는 사실 심리사회적 개입이다. 이것을 확장하기 전에, 우리가 모두 심리 사회적 개입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알비스 (Alvis, 2009년)에 따르면 심리 사회적 개입은 인간, 가족, 공동체의 발전 능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과정이다.
심리 사회적 개입은, 대상이 개인과 사회적 환경에 대한 통제와 권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해준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의 행복과 삶의 질을 향상하고, 훈련하며, 문제를 직면하고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 환경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개별적인 도구를 제공한다.
“정신건강에 필요한 것은 햇빛을 더 많이 받고, 더 솔직하고, 부끄러워하지 않는 대화다.”
-글렌 클로즈-
정신건강이란 무엇인가?
오라마스, 산타나, 베르가라(Oramas, Santana, Vergara, 2013년)가 말했듯이 정신건강은 현실에 대해 학습한 다음 대립, 관리, 갈등 해결을 통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학습 과정에 장애가 있거나, 그 개인이 결심한 시도에 실패했을 때, 질병에 대해 말하기 시작할 수 있다.
리비에르와 같은 다른 작가들은 정신 건강은 그들의 사회적 맥락과 관련된 것들뿐만 아니라 개인의 내부 모순을 해결할 수 있는 세계와 변증법적이고 변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오라마스, 산타나, 베르가라가 인용함. 2013).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정신건강은 “모든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깨닫고, 삶의 정상적인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고, 생산적이고 유익하게 일할 수 있고, 자신의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웰빙의 상태“로 정의된다.
일상적 갈등을 처리하고 현실을 변화시키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지만, 정신건강에 관해서는 다른 결정적인 요소들이 있다.
- 사회적 배경. 빈곤, 학대 또는 소수 집단에 속하는 상황.
- 가족 배경.
- 다른 만성 질환과의 동반.
심리 사회적 개입은 심리적인 것과 사회적이라는 두 가지 상호 관련적인 문맥을 통해 이루어진다. 개인은 그들의 전체 사회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을 고려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개입할 때, 일차 진료 전문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것은 가장 가깝고 접근하기 쉬운 서비스다. 거기서부터 노련한 전문가들이 환자를 평가하고 이송한다.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전문가들의 조정된 노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물론 전문가에 의해 처방된 약리학적 치료가 중요할 수 있지만, 우리가 심리 사회적 개입의 관련성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정신질환자를 위한 개입에 대한 모범 사례(2016년) 가이드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개입에는 사회적 지원, 모니터링 및 사회적 재활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 실천의 주된 목적은 정신 질환으로 고통받는 개인의 자율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개별적이고 개인화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우리가 명심해야 할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 개인의 필요.
- 가족이나 가까운 사람들의 지원.
정신질환자에 대한 심리 사회적 개입은 다음을 포함한다.
- 생활상황과 관련된 활동: 감독, 숙박시설 탐색 중 지원 등
- 일상 활동.
- 도구적인 일상 활동 지원.
- 약물 투여에 대한 감독 및 훈련.
- 조직 및 시간 관리 작업 시 지침.
- 사회생활과 가정생활을 위한 훈련.
- 사회법적 조언.
간단히 말해서, 사람들은 지금 몇 년 전보다 정신건강 의 중요성을 더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정신 질환에 대해 배울 것은 아직도 훨씬 더 많다. 우리 사회는 이 주제에 대해 좀 더 공감하고 관대해지고 정보를 얻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정신 건강 전문가에게 가서 심리 사회적 개입이 그들에게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정신 질환은 부끄러워할 것이 못 되지만, 오명과 편견은 우리 모두를 수치스럽게 한다.”
-빌 클린턴-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lvis. A. (2009). Aproximación teórica a la intervención psicosocial. Poiésis, 9(17).
- Bernal, P., Diana, J. J., Carroza, E., Fábregas, D., Fernández, C., González, C., Jímenez, A., Jurado, P., López, P., Luque, S., Pareja, N., Rosa, J.J., Ruíz, F., Sánchez, N., Torres, A. y Torres, S. (2016). Guía de Buenas prácticas en intervención por personas con enfermedad mental. Feades Andalucia Salud Mental.
- Hernández, B. (2013). El Trabajo Social en la intervención psicosocial con personas con trastorno mental severo: una reflexión sobre el papel de las familias. Documentos de trabajo social: Revista de trabajo y acción social, (52), 314-325.
- López, M., & Laviana, M. (2007). Rehabilitación, apoyo social y atención comunitaria a personas con trastorno mental grave: propuestas desde Andalucía. Revista de la Asociación Española de Neuropsiquiatría, 27(1), 187-223.
- Oramas, A., Santana, S, & Vergara, A. (2013). El bienestar psicológico, un indicador positivo de la salud ment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