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심리학
어떤 식으로든 당신을 움직이게 하거나 감동하게 한 광고를 텔레비전에서 본 적이 있는가? 광고를 보고 눈물을 흘린 적이 있는가? 분명 당신은 그런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 광고가 당신에게 준 영향은 광고심리학(psychology of advertising)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왜 어떤 광고 캠페인은 성공해서 우리 뇌리에 박히고 어떤 광고들은 흔적도 없어 잊히는 걸까? 우연의 일치는 아니다. 다른 변수, 요인과 특성을 고려한 극도로 정밀한 작업의 결과이다. 이제 우리는 심리학이 광고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광고심리학: 광고심리학이란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광고의 심리학은 소비자 주의의 심리적 동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이해와 변수의 조합을 추구하는 것이다.
광고는 이제 잡지,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또는 인터넷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실, 광고는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이다. 백화점에 진열된 제품 방식은, 감자 칩의 색깔과 크기, 옷 가격, 라디오에서 이야기하는 절묘한 단어이다. 다시 말해서, 제품에 마음을 가게 만들어서 우리의 관심을 사로잡는 모든 것이 제품을 홍보하는 강력한 수단인 것이다.
우리는 구매하거나 소비할 때, 우리 자신을 타인과 구별하려고 노력한다. 두드러지고, 남다르고 독특해지고 싶어 하는 욕구를 광고심리학이 이용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이런 개성 차이가 확립되면, 동기부여, 선호도 또는 개인적인 판단과 같은 다른 개념들도 작용하게 된다.
광고 심리학의 전략
사람들의 특성과 구매를 어떻게 하는지 알면 미디어를 통해 광고를 통해 사람들에게 설득력 있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만약 “몇 가지”를 사려고 슈퍼마켓에 갔다가 카트를 가득 채워 나온 적 있다면, 당신은 광고 과학이 사용하는 기술에 의해 희생양이 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마케팅 담당자들은 광고심리학을 이용한 아래와 같은 전략으로 소비자를 설득한다.
- 세뇌: 주로 정신 분석을 사용하는 이 전략은 구호나 이미지를 반복함으로써 사람들을 길들인다. 그 반복은 소비자가 구매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설득: 경쟁사의 같은 제품보다 월등하게 제품을 돋보이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제품의 특징이나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른 유사한 물품과 유리하게 비교한다. 이 전략은 또한 주로 독창성과 개인적 직관을 준다.
- 투영: 대상의 모델, 문화와 생활 방식에 초점을 맞춘다. 이 전략은 보통 제품을 개인의 관심이나 의견의 일치를 나타낸다. 게다가, 사회학과 인류학도 여기에서 중요하다.
- 암시: 마지막으로 이 전략은 우리의 생각을 읽으려고 정신분석 기법을 활용한다. 기본적으로, 이 전략은 소비자의 불안, 두려움, 또는 스트레스에 초점을 맞추고, 우리가 소비자를 위해 고안한 “마법의 제품”이 있다는 것을 설득하려고 한다.
광고심리학: 심리학을 이용한 성공적인 광고들
모든 광고의 이면에는 성공을 좌우하는 중추적인 결정이 있다. 이런 각각의 결정에서, 광고 연구의 심리학 전문가들은 마케팅을 더 영향력 있게 하기 위해 지식을 제공한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요인을 고려한다.
- 광고 특징: 어떤 색을 사용하며 어떤 인쇄법과 이미지를 사용해야 하는가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 반복: 발행하거나 출판해야 하는 횟수. 이것은 가장 오래된 전략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지속해서 가장 효과적 전략 중 하나이다.
- 가격: 가격이 낮다고 해서 반드시 판매량이 많은 것은 아니다. 주요한 요인 (블랙 프라이데이의 매해 기록적인 판매량이 그 증거이다 )이지만, 다른 변수 또한 영향을 미친다.
- 경로: 광고 수단 (라디오, tv, 인터넷 등)
마케팅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는 연령대가 다른 소비 경향을 고려해야 한다. 목표로 하는 대상이 진화하는 방향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우리가 청소년들에게 다가가고 싶다면, 인터넷이나 휴대전화로 캠페인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그들의 나이를 고려하면 정체성을 뒷받침하는 것이 좋은 데, 이것은 삶의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효과적으로 설득력 있는 메시지는 개인의 심리적 기능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밴스 패커드-
광고심리학: 색의 심리
광고심리학 전문가들은 캠페인의 색을 고려해야 한다. 각각의 색깔은 다른 것을 상징한다.
- 우선, 흰색은 공허, 순수성과 빛나는 느낌을 준다.
- 파란색은 상쾌함, 투명하거나 밝기를 전달한다. 게다가, 진정 효과도 있다.
- 노란색은 공감, 외향성, 빛, 기쁨, 생기와 젊음을 전달한다.
- 빨간색은 강함, 힘, 활기를 전달한다. 덧붙여, 많은 주의를 끌며 마음을 자극한다.
- 마지막으로, 초록색은 희망과 자연의 상징이며, 또한 매우 침착한 색이다.
결론적으로, 광고에서 각각의 세부사항들은 매우 중요하다. 광고심리학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 설득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인간의 마음에 대한 지식을 제공한다. 그리고 당신은 그들의 목표이다! 당신은 그 광고에 설득당할 것인가.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ndrews, M., Van Leeuwen M., & Van Baaren R. (2016). Persuasión: 33 técnicas publicitarias de influencia psicológica. Editorial Gustavo Gili. Recuperado de: http://www.imonzon.es/persuasion-33-tecnicas-psicologia/
- Añaños E. (2009). Psicología y comunicación publicitaria. Universitat Autònoma de Barcelona. Recuperado de: https://books.google.es/books?hl=es&lr=&id=WumHJpEMyAQC&oi
- Fisher C. E., Chin L. & Klitzman R. (2010). Defining neuromarketing: Practices and professional challenges.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18(4), 230-237. Recuperado d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152487/
- He X., Zhu L., Sun L. & Yang L. (2022). The influence of brand marketing on consumers’ emotion in mobile social media environment. Frontiers in Psychology, 13, 1-13. Recuperado d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360773/
- Heimbach J. T. & Jacoby J. (1972). The Zeigarnik effect in advertising. In M. Venkatesan &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Eds.). Proceedings of the Third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pp. 746-758) Recuperado de: https://www.acrwebsite.org/volumes/12042/volumes/sv02/SV-02#:~:text=Zeigarnik’s%20explanation%20for%20this%20effect,memory%20for%20the%20uncompleted%20task.
- Parra C. O. (2018). La percepción en la publicidad vs. la percepción en la psicología. Colección Académica de Ciencias Sociales, 5(1), 50-59. Recuperado de: https://revistas.upb.edu.co/index.php/cienciassociales/article/view/4031
- Sánchez G. (2022). ¿Qué es el efecto halo? La mente es Maravillosa. Recuperado de: https://lamenteesmaravillosa.com/que-es-el-efecto-halo/
- Scott, W. D. (2008). Psicología de la publicidad de productos alimenticios. Pensar la publicidad, 2(2), 145-157. Disponible en https://revistas.ucm.es/index.php/PEPU/article/view/PEPU0808220145A
- Tannenbaum M., Hepler J., Zimmerman S., et al. (2015). Appealing to fear: A meta-analysis of fear appeal effectiveness and theories. Psychological bulletin, 141(6), 1178-1204. Recuperado de: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789790/
- Valdivieso C. (2014). Efectos anclaje, unidad y enmarcado: Implicaciones sobre publicidad de alimentos. Universidad de Chile, Facultad de Economía y Negocios. Recuperado de: https://repositorio.uchile.cl/handle/2250/115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