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심리학

집단 심리학은 집단 및 집단 구성원들의 행동과 관련된 정신 과정에 관한 연구다.
집단 심리학
Roberto Muelas Lobato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Roberto Muelas Lobato.

마지막 업데이트: 06 1월, 2023

사회 구성원으로서 가족, 친구, 동료, 스포츠팀, 극단 등의 집단 또는 모임에 참여하게 된다. 또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더 큰 집단에 소속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번 글에서 집단 심리학 정의와 구성 등에 관해 알아보자.

사회적 범주에 따라 특정 종파나 민족의 구성원이 된다. 서로 다른 집단 정체성을 가지며 상호 작용하는 과정을 연구하는 과학이 집단 심리학이다.

사회 심리학에 속하는 집단 심리학 분야는 집단이 개인 행동에, 개인이 집단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집단 형성 이유

집단의 정의

이제까지 집단에 관해 여러 정의가 내려졌지만(Huici, 2012a) 그중에서 범주적 정의와 동적 정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범주적 정의(Wilder and Simon, 1998)는 집단의 공유된 특성을 뜻한다. 집단은 특성을 공유하는 구성원의 합계로 개인의 마음속에만 존재하며 세상에 대한 특정 비전에 기여한다.

반면에 동적 정의(Wilder and Simon, 1998)는 집단이 구성원 간의 관계와 상호 작용에서 발생한다고 제안한다. 이 상호 작용으로 새로운 기능이 나타나 집단이 구성원 합계보다 커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단일 구성원 특성으로는 집단 특성을 유추할 수 없다. 왜냐하면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집단이 범주형 집단보다 구별하기 쉽기 때문이다.

집단 구성원

집단이 형성되는 이유와 목적

개인이 집단을 형성하기 위해 모이는 세 가지 상황이 있을 수 있다(Cartwright and Zander, 1992).

1. 목표 달성

집단이 존재하지 않으면 달성하기 불가능할 특정 목적를 위해 집단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이 판단이 정확할 필요는 없다.

2. 필요 충족

이러한 경우 집단화는 자발적이다. 조직, 사교 클럽 또는 청소년 갱단 내의 비공식 집단이 이에 속하며 그 형성은 자발적인 대인 관계 선택을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집단 형성을 결정하는 몇 가지 요인은 구성원의 유사성, 상보성, 상호성, 근접성 또는 집단에 속하는 이점과 단점 간의 긍정적인 균형이다.

3. 균일한 대우

사회적 분류 과정이 수행된다. 특정 공유 특성에 따라 구성원을 집단으로 분류한다.

이러한 개인을 해당 집단의 구성원으로 간주하여 그들의 행동과 그에 대한 타인들의 행동은 외부에서 지정된 집단 구성원에 의해 결정된다.

개인이 이러한 집단 구성원이 된다고 해서 상호 작용할 필요는 없다. 실제로 종종 서로를 알지도 못한다.

집단 유형

집단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한다. 구성원을 조직하고 관계를 맺을 때 안정성을 제공하며(Cartwright and Zander, 1992) 집단을 차별화하는 역할도 한다. 집단 구조는 세 가지 구조적 특징이 있다(Scott and Scott, 1981).

  • 집단은 구성원 간의 관계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작업 집단은 상사와 직원 간의 불평등한 관계로 정의할 수 있다.
  • 집단은 시간이 지나며 구조적 연속성을 가져야 한다. 예를 들어, 축구팀에는 항상 수비수, 공격수, 골키퍼가 있다.
  • 집단 구성원은 교체할 수 있다. 모든 구성원은 다른 사람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구성원에게 역할을 할당한다. 각 역할에는 다른 값이 할당되어 어떤 구성원은 다른 구성원보다 더 중요하다. 즉, 각 구성원의 상태가 다르다.

집단 내 계층 또는 지위 구조가 있다. 지위의 차이는 구성원의 명성, 존경 및 복종 패턴을 의미하며(Blanco and Fernández Ríos, 1985), 계층적 순서와 부여된 명성에 대한 합의가 존재한다는 의미다.

집단 규범

집단 구조 내에도 규범이 있다. 모든 집단에는 공통된 참조 프레임이 있으며 구성원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규범은 집단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을 규제한다(Sherif, 1936). 이러한 규범은 서술형과 규범형이 될 수 있다(Cialdini, Kallgreen 및 Reno, 1991).

기술 규범은 특정 상황에서 구성원이 수행하는 작업에 해당한다. 구성원들이 어떻게 행동할지 모를 때, 지위가 높은 구성원이나 다수가 하는 것이 지배적인 규범이 된다.

반면에 관행 규범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낸다. 조직 구성원에게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를 나타내는 도덕적 규범이다. 이러한 규범은 보상과 처벌로 행동에 반응한다. 잘 행동하는 사람에게 상을 주고 규칙을 따르지 않는 사람에게 벌을 준다.

집단 규범

집단 심리학: 구성원 역할

집단에서 구성원 역할은 집단 내 위치(상태) 및 구성원에 대한 권리 및 의무와 관련한다(Hare, 1994). 각 역할은 집단 내의 행동 패턴과 연결된다. 역할은 구성원 작업을 나누고 다른 기능을 수행한다(Scott and Scott, 1981).

역할의 차별화는 집단 목표를 달성하도록 한다. 또한 구성원이 집단 내에서 자신을 정의하도록 집단 기능을 정렬하고 예측한다(Brown, 2000).

일부 고전적인 역할은(Benne and Sheats, 1948) 작업 역할, 유지 관리 역할 및 개별 역할이다. 작업 역할 중에서 조정자, 피평가자, 상담자 및 개시자가 두드러진다. 유지 역할 중에는 헌신을 추구하는 사람, 격려하는 사람, 추종자, 관찰자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개별 역할 중 일부는 공격자, 차단자, 인정 추구자 및 지배자다.

집단 심리학 활용

집단 심리학은 리더십(Molero, 2012a), 집단 형성 및 개발(Gaviria, 2012), 집단 결속력(Molero, 2012b), 집단 영향 프로세스(Falomir-Pichastor, 2012), 생산성(Gómez, 2012), 의사 결정 과정(Huici, 2012b) 및 집단 간 관계(Huici and Gómez Berrocal, 2012) 등 모든 것이 중요하지만 집단 간 관계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 중 하나였다.

집단 간 관계는 다른 집단 간의 관계와 집단 구성원 간의 관계에 지나지 않는다. 언론에서 인종차별적 사건, 종교 간 공존, 기업과 노동조합 간의 만남 등에 관한 뉴스를 보고 읽는다.

이러한 행동의 원인은 성향 또는 성격 특성에 기반한 개인 간의 차에 호소하는 것과 집단 간 과정에 직접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집단 심리학 우익 권위주의

개별 접근

개별 접근 방식에서 두 가지 구성 요소가 두드러진다. 한편으로 우익 권위주의는 권위의 명령에 복종하는 측면에서 개인마다 차이가 있다고 가정한다. 권위주의자들은 이 생각을 굳게 믿는다. 또한 당국이 지원하는 규범을 완전히 준수한다. 마찬가지로 권위를 공격하는 사람들을 반대한다. 이러한 성격은 청소년기에 발달하며 인종, 인습 및 공격성에 대한 초기 학습을 기반으로 한다(Altemeyer, 1998).

우익 권위주의는 이름과 달리 정치와 무관하다. 실제로 우익 권위주의적 성격은 우파와 좌파 모두에 존재한다.

사회적 지배의 방향에서, 사회 구조 내에서 집단 간의 위계적 관계와 불평등을 선호하거나 줄이려는 이데올로기 존재에 주의를 기울인다(Sidanius and Pratto 1999).

사회 불평등과 분열을 합법화하려는 측면에서 개인차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어떤 사람들은 계층 구조의 존재를 지지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집단 심리학 갈등

집단 심리학 활용: 집단 간 접근

개인이 변화하고 다른 사람을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은 특정 집단에 속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결과적으로 그들의 행동과 인식은 표준화되는 경향이 있다.

집단의 모든 구성원이 똑같이 생각하기 시작한다. 이 현상을 설명하는 두 가지 주요 이론이 있는데 현실적인 집단 갈등 이론과 사회적 정체성이다.

현실적인 집단 갈등 이론

기능적 관계는 집단 상호 목표와 이익에 영향을 받는다. 목표 또는 자원을 달성하기 위해 협력 또는 경쟁적 상호의존에 초점을 맞춘다.

집단 간 갈등(Sherif and Sherif, 1979)은 양립할 수 없는 목표의 존재로 발생하며 집단 간 적대감과 차별을 야기한다. 두 집단이 같은 것을 원할 때, 이를 달성하기 위한 경쟁 또는 협력이 발생한다.

사회적 정체성 관점

여기에는 사회적 정체성 이론과 자기 범주화 이론이라는 두 가지 이론이 포함한다(Turner & Reynolds, 2001). 둘 다 집단과의 동일시 과정, 개인 심리에서 집단 심리로의 전환, 집단 간 관계가 심리적 과정과 사회적 현실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한다는 생각을 강조한다.

사회적 정체성 이론은 집단 간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자기 범주화 이론은 집단 형성, 응집력, 영향 및 양극화 과정을 포함하도록 범위를 확장한다.

세상을 단순화하고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분류를 사용한다. 같은 방식으로 속한 범주를 인식하면서 사회 집단 내에서 타인도 범주화한다. 그 결과 자기 집단의 구성원과 다른 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심리적 소속감이 생긴다.

이러한 사회 집단에 속함으로써 사회적 정체성은 집단당 하나씩 나타나며(Tajfel, 1981; Tajfel & Turner, 2005) 어느 정도 동일시한다. 각 정체성의 중요성은 서로 다른 시기에 생각, 감정, 행동이 어느 정도 사회적 정체성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다른 집단에 해를 끼치기보다는 자기 집단을 선호한다.

집단 심리학: 왜 혼자서는 할 수 없는 일을 할까?

보통 집단에 있을 때는 혼자일 때 하지 않을 행동을 한다. 이는 폭력적이거나 부적절한 행동을 하는 집단에서 자주 관찰된다. 축구 경기장에서 일부 팬들의 폭력 사태도 분명한 예다. 핵심은 탈개성화 과정에 있다.

스페인 말라가 대학의 모랄, 칸토와 고메스 하신토(2004)는 ‘익명성, 집단 및 개인의 자기 인식 감소를 기반으로 구성원들이 충동적이며 반규범적인 행동을 한다.’고 주장한다.

환경을 존중하는 법을 모르고 쓰레기를 아무 데나 버리는 사람도 누군가가 지켜본다면 그런 행동을 하지 않는다. 바로 자의식 때문인데 자신이 하는 옳지 못한 짓을 드러내기를 원치 않는다.

익명

집단에서는 익명성이 더 크고 자기 인식이 해체된다. 개인적 책임이 집단으로 이전된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은 부적절한 행동을 하면 자신이 속한 집단의 책임이라고 믿는다.

결론적으로 집단 규범 덕분에 사회에서의 개인 행동은 심오한 방식으로 이해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ltemeyer, B. (1998). The other Authoritarian Personality. In M.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30, 47-92). Orlando, FL: Academic Press.
  • Benne, K. D., y Sheats, P. (1948). Functional roles of group members. Journal of Social Issues, 4, 41-49.
  • Blanco, A., y Fernández Ríos, M. (1985). Estructura grupal: Estatus y roles. En C. Huici (Dir), Estructura y Procesos de grupo (pp. 367-396). Madrid: UNED.
  • Brown, R. (2000). Group processes. Oxford: Blackwell Publishers.
  • Cartwright, D., y Zander, A. (1992). Dinámica de grupos: Investigación y teoría. México: Trillas.
  • Cialdini, R. B.; Kallgreen, C. A., y Reno, R. R. (1991). A focus theory of normative conduct: A theoretical refinement and the reevaluation of the role of norms in human behavior.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21, 201-224.
  • Falomir-Pichastor, J. M. (2012). Procesos de influencia en grupo. En C. Huici, F. Molero Alonso, A. Gómez y J. F. Morales (Eds.), Psicología de los grupos (pp. 283-330). Madrid: UNED.
  • Gaviria, E. (2012). Formación y desarrollo de los grupos. En C. Huici, F. Molero Alonso, A. Gómez y J. F. Morales (Eds.), Psicología de los grupos (pp. 211-250). Madrid: UNED.
  • Hare, A. P. (1994). Types of roles in small groups. A bit of history and a current perspective. Small Group Research, 25, 433-448.
  • Huici, C. (2012a). Estudio de los grupos en psicología social. En C. Huici, F. Molero Alonso, A. Gómez y J. F. Morales (Eds.), Psicología de los grupos (pp. 35-72). Madrid: UNED.
  • Huici, C. (2012b). Los procesos de decisión en grupos. En C. Huici, F. Molero Alonso, A. Gómez y J. F. Morales (Eds.), Psicología de los grupos (pp. 373-426). Madrid: UNED.
  • Huici, C. y Gómez Berrocal, C. (2012). Las relaciones intergrupales. En C. Huici, F. Molero Alonso, A. Gómez y J. F. Morales (Eds.), Psicología de los grupos (pp. 427-480). Madrid: UNED.
  • Molero, (2012a). El liderazgo. En C. Huici, F. Molero Alonso, A. Gómez y J. F. Morales (Eds.), Psicología de los grupos (pp. 173-210). Madrid: UNED.
  • Molero, (2012b). Cohesión grupal. En C. Huici, F. Molero Alonso, A. Gómez y J. F. Morales (Eds.), Psicología de los grupos (pp. 251-282). Madrid: UNED.
  • Scott, W. A., y Scott, R. (1981). Intercorrelations among structural properties of primary grou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279-92.
  • Sherif, M., y Sherif, C. (1979). Research on intergroup relations. En W. G. Austin y S. Worchel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pp. 7-18). Monterrey CA: Brooks/Cole.
  • Sidanius, J., y Pratto, F. (1999). The dynamics of social dominance and the inevitability of oppression. En P. Sniderman & P. E. Tetlock (Eds.), Prejudice, politics and race in America today (pp. 173-211). Stand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 Tajfel, H. (1981). Human groups and social categorie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ajfel, H., & Turner, J. C. (2005).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tact. En W. G. Austin & S. Worchel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Vol. 33, pp. 34-47). Chicago: Nelson-Hall.
  • Turner, J. C., y Reynolds K. J., (2001). The social identity perspective in intergroup relations: Theories, themes and controversies. En R. Brown y S. Gaertner (eds.), Blackwe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Intergroup Processes (pp. 133-152). Oxford: Blackwell Publishing Co.
  • Wilder, D. A., y Simon, A. F. (1998).Categorial and dynamic groups: Implications for social perception and intergroup behavior. En C. Sedikides, J. Schopler, y C. A. Insko (eds.), Intergroup cognition and intergroup behavior (pp. 27-44). Mahawh, NJ: Lawrence Erlbaum.
  • Zárate Ortiz, J. F. (2015). La identidad como construcción social desde la propuesta de Charles Taylor. eidos, (23), 117-134.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