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적인 울음: 영혼을 “비우는” 약
어떤 사람들은 잠깐 혼자 떨어져서 조용히 운다. 그러나 다시 시작할 유일한 방법, 슬픔, 짜증, 긴장을 비울 유일한 방법은 감정적인 울음, 마음으로 흘리는 눈물이다. 다 쉬어버린 목소리로 위로하며 바다처럼 쏟아지는 눈물을 흘리고 나야만 진정한 안정을 취할 수 있다.
정신 생물학 전문가들은 인간다운 몇 가지 행동이 웃음과 울음을 포함한다고 말한다. 사실 두 감정 표현은 공통적인 부분이 상당히 있다. 웃음과 울음 모두 시작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고 쉽게 멈출 수 없는 지속성이 있는 등의 “인내” 요소를 포함한다. 더구나 두 가지 모두 우리의 기분을 낫게 하는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영혼은 눈물을 흘리며 휴식을 취하지만, 고통은 진정한 안식을 얻기 위해 울어야 한다.
반면 우리 모두는 진정한 안식을 가져오는 감정적인 울음이 사회적으로 눈총을 받는다는 걸 안다. 정반대로, 정치적인 연설이나 떨리는 얼굴, 자랑스러움으로 설레거나 아름다운 사색 등으로 표현되는 혼자 우는 울음은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아마 바로 이런 이유로 인해 우리 대부분이 “ 목놓아 우는 울음” 을 피할 것이다. 아무도 우리의 눈물을 보지 못하는 어두운 구석으로 가서 조용히 혼자 우는 것이 언제나 좀 더 편하다. 아무도 우리의 목소리를 듣지도, 보지도, 우리가 보기보다 강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지도 않는 장소 말이다.
그러나 정신과 의사와 신경 생리학자는 명백하게 말한다. 혼자이거나 누군가와 함께이거나, 안식은 반드시 진실되고, 후련하며, 자유로워야 한다. “자기 제어”로 인해 만들어지는 긴장과 스트레스 요소 모두를 말이다. 울음은 사람들에게 필요하다.
다양한 목적을 가진 감정적인 울음
대부분이 아기가 세상에 태어나면, 아기는 운다. 여기서 짚고 넘어가자면, 아기의 울음에는 눈물이 없다. 눈물을 내보낼 아기의 눈물샘을 조절하는 뇌구조가 아직 다 자라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기의 눈물은 이미 생물학적인 역할을 충족시킨다. 관심, 보살핌, 위로, 애정을 받기 위해 눈물을 생존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그에 더해, 우리가 점점 자라고 성숙해지며 우리의 울음은 유용한 만큼 흥미로운 다양한 역할을 충족시킨다. 실제로 우리가 항상 울음의 이점을 취하지 않는다고 해도 말이다.
가장 먼저, 울음의 목표 중 하나는 스트레스와 불안으로 인한 해로운 물질을 몸 안에서 배출시키는 것이다. 우리에게 그 어떤 부정적인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해도 우리는 슬픔이나 괴로움을 느낄 수 있다. 때때로 우리는 단지 지쳤기 때문에 울기도 하고, 이는 완전히 건강하다는 증거이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주립대(UCLA)의 정신의학과에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울음은 경고 역할도 한다고 한다. 마치 의식을 깨우는 신호처럼 말이다. 때때로 우리는 반응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것에 대해 짜증도 나고 혼란스럽기도 하다.
그러나 우리가 눈물을 흘리는 것에 대한 단순한 사실은 세련된 생물적인 구조를 사용하는 것으로, 우리가 좀 더 탁 트인 눈을 가지게 한다.
연구원들은 감정적인 울음이 사실 특별한 진화적 혁신이라고 설명한다. 이는 단순히 “눈물이 떨어지게 하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가 진정할 수 있도록 돕는 진실하고 깊은 울음은 뉴로트로핀의 역할을 활성화시킨다. 이는 신경 유연성을 돕는 단백질의 한 종류이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우리를 고친다.” 우리가 새로운 것을 배우고, 새로운 행동을 적용하도록 좀 더 창의성을 길러주며, 주변 환경에 적응하도록 돕는다.
울음, 연약함, 위로
일에 대한 책임은 영원히 우리가 잠깐이라도 혼자만의 시간을 필요로 하게 만든다. 의사, 간호사, 소방관, 경찰관… 우리 대부분은 복잡한 일과 일상의 스트레스를 진정시키도록 잠깐 다른 사람들로부터 떨어질 순간을 찾는다. 그러나 때때로 그 순간은 충분하지 않다.
진정한 “회복”은 없다. 이것은 천천히 계속되며, 우리는 부담되고, 막히고, 불안하다. 그리고 이 척추는 우리가 더 이상 숨쉬지 못하게 한다. 우리가 말하지 않은 말, 우리가 마주하지 않은 실패, 우리가 숨기려하지 않지만 두드리는 고통 등, 같은 일이 일상의 문제에서도 반복된다. 왜 도움을 청하는 것이 이렇게 어려울까? 감정적인 울음이 왜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약하다고 느끼게 만들까?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법은 모두가 알지는 못하는 기술이다
문제의 핵심은 분명한 만큼 어렵다. 모든 사람이 어떻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하는지 알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왜 울어?” 또는 “걱정 마, 그건 그렇게 큰 문제가 아니야” 라고 말하는 건 당사자의 마음의 문을 더욱 굳게 닫을 뿐이다. 부정적인 감정과 우울증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면서 말이다.
우리가 누군가와 감정적인 안정을 찾아야 할 때, 올바른 사람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사람이 친밀감을 느끼게 하고, 상처를 천천히 내려놓고,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을 보내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거나 잘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좋은 친구와 당연히 심리학자들은 이 과정에서 가장 좋은 안내자가 될 수 있다.
누군가의 앞에서 감정적으로 울도록 자기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건 약함이나 연약함을 보이는 것이 아니다. 이는 긴장, 두려움, 슬픔 등을 내려놓으려고 강한 사람이 밟는 단계이다. 다시 처음부터 시작해서 고쳐나가고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사람이 말이다.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것은 단순한 포옹을 의미하지 않는다. “ 다 괜찮아” 라고 말하는 것도 아니다. 이 안정을 함께 할 것을 직감하고 어떻게 도울지 아는 것이다. 부담이나 편견없이 “내가 여기 있어”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는 친밀함을 나누고 함께 하면서 따로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혼자이든 다른 사람과 함께이든 진정한 감정적인 안정의 순간을 가지는 것이 아무리 복잡하더라도, 때때로 그렇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물적으로, 심리적으로 영혼을 비워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시에라 몰리나의 고전적인 말, “ 감정을 표현하면 감정을 이겨낼 수 있다” 는 말을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