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선 성격 장애를 위한 치료법

경계성 인격 장애는 불안정한 인간관계, 자아상, 그리고 감정에 패턴을 수반한다. 그리고 자기 파괴적인 성향도 나타난다.
경계선 성격 장애를 위한 치료법
Alicia Escaño Hidalgo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Alicia Escaño Hidalgo.

마지막 업데이트: 27 12월, 2022

경계성 성격 장애는 불안정한 인간관계, 자아상, 그리고 감정에 패턴을 수반한다. 그리고 자기 파괴적인 성향도 나타난다. 오늘의 글에서 경계선 성격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게 필요한 치료법을 알아보려 한다. 이 장애를 앓는 사람들은 어떤 계기나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인생을 살아가면서 다른 종류의 위기를 맞이한다.

나이를 먹을수록 장애의 정도는 약화한다. 하지만 이는 성격 장애고 본질적으로 만성임을 기억해야 한다. 따라서 장애를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경계선 인격 장애를 가지고 있을 때 찾아오는 위기는 통제하기 힘든 감정적인 쓰나미 같다. 환자들은 충동성, 두려움, 무력감과 버림받은 듯한 느낌을 경험한다.

종종 자학하는 경우도 있다. 폭풍과 같은 감정 앞에서 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

마치 누군가에게 지배당한 기분이 든다.

사실 위기가 지나가면 이 장애를 앓는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과 내면 사이의 괴리감을 느끼기 때문에 종종 수치심과 죄책감을 느낀다.

반면에, 그 환자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위기가 찾아올 때마다 나중에 후회할 짓은 하지 않도록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시도해 본다.

이는 환자의 가족에게 매우 고통스럽고 어려운 일이다.

그들이 신체적으로나 감정적으로 폭력적으로 돌변할 수 있고, 가족들은 가장 고통스러운 사람은 환자 본인임을 알기 때문이다.

경계선 성격 장애를 가진 여인

경계선 성격 장애를 위한 치료법

이들에게 위기가 찾아올 때 무엇이 가장 필요하냐고 묻는다면 그것은 애정, 이해심, 사랑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경계선 성격 장애를 가진 동안 위기가 찾아오면 환자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공허한 느낌을 겪는다. 그렇기 때문에 부서진 조각들을 맞추려고 노력한다.

불행히도, 제대로 된 노력인 경우는 거의 없다. 말로 애정과 사랑을 강구하지 않고, 요구하거나 남을 헐뜯거나 불쾌감을 야기하곤 한다.

처음에 위기가 닥치면 근처에 있는 사람들은 환자에게 주의를 기울이고, 마음에 공감하도록 노력한다. 헛수고임을 깨달을 때 차라리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결심한다.

이는 경계선 성격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이미 두려워하고 있는 버림받은 감정을 강화해 줄 뿐인데, 이로써 감정적 고통이 증폭된다.

대신, 전문가들은 가족이나 환자에게 소중한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가장 현명한 일은 위기가 닥쳤을 때 그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 동반자가 되기를 권고한다. 더 자세히 알아보자.

경계선 성격 장애를 위한 위기관리 전략

이 질환으로 고통받는 대부분의 사람은 아무도 그들의 감정을 증명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 환경은 무력화 환경으로 이해하면 된다.

어느 정도의 유전적 요소와 더불어, 이런 환경은 경계선 성격 장애의 발달을 촉진한다.

생물학을 통제할 수는 없지만, 환경을 통제할 수는 있다.

앞서 말한 것처럼 경계선 성격 장애 앞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무판단과  무조건적인 수용, 감정 검증의 동반자다. 이런 조합은 위기의 감정적 강도와 지속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다음은 가족 구성원이 사용할 수 있는 경계선 성격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전략들이다:

무조건적인 수용

경계성 인격 장애를 가진 사람은 무조건 받아들여지는 느낌을 받을 필요가 있다. 즉 자신의 삶에 찾아오는 혼란, 무질서, 위기 등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들은 위기를 질병과 관련된 것이라고 명명해줄 사람들이 필요하다.

그 말은 만약 당신이 경계선 성격 장애를 앓는 환자와 함께 있을 때 그리고 그들이 위기를 겪고 있을 때, 그들을 훈계하지 말아야 한다.

방어적으로 굴지 말고, 반박하지 마라. 대신 위기는 그들의 무질서의 일부분이고 그것은 영원히 지속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기억하라.

사랑하고 배려하라

앞에서 언급했듯이, 경계선 성격 장애의 위기의 한가운데에 있는 사람들은 사랑, 회사, 배려, 그리고 공감이 필요하다.

이는 즉 주변 사람이 해야 할 일은 단지 판단을 내리지 않고 그들의 곁에 붙어 있는 것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환자가 ‘나’를 모욕해도 방어적으로 대응하거나, 아예 반응하지 마라.

대신, 무슨 일이 있어도 옆에 있을 거라고 말해주자. 상대방이 나를 나쁘게 대하면 참기 어렵겠지만, 위기를 잠재우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과정이다.

그들과 다투면 위기는 더욱 악화할 뿐, 해결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심호흡을 하고 인내심을 가져라. 금방 지나갈 것이다.

자신이 누군지 상기시켜라

환자가 무질서에 지배당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상기시켜라. 경계선 인격장애는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증상을 유발하는데, 그들이 겪고 있는 것은 그 증상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들이 나쁜 사람이거나 그들의 증상을 좋아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런 종류의 생각들은 환자가 이해하고 지지받는 느낌이 들도록  돕는다. 또한 그들이 마침내 위기를 극복했을 때 그동안 일어났던 일에 대해 덜 죄책감을 느끼도록 도와준다.

포옹하는 두 여인

경계선 성격 장애를 가진 환자를 안전하게 지켜라

경계선 성격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위기에 처했을 때 내버려 두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때로는 자해로 감정을 조절하려 하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사람이 자신을 해치거나 자살을 시도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면 칼, 알약 등 위험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제거하는 것이 좋다.

지나치게 보호하지 마라

배려하고 사랑하는 것은 과잉보호하는 것과 동일하지 않다. 그들의 감정을 검증하고 혼돈은 참는 것도 중요하지만, 부추김이 되지 않도록 조심하고 다른 이들에게 너무 크게 의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필요한 업무를 시키고 가능한 한 책임감 있고 독립적으로 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동정심과 관용이 중요하지만 그들의 삶은 평범하게 계속되어야 한다.

간단히 말해서 경계선 성격 장애 위기는 누구에게나 쉬운 일이 아니다. 환자와 그들의 가족, 친구들이 고군분투할 것이다. 의심할 여지가 없다. 감정적인 강도는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있고 싶게 만들 수도 있다. 환자 스스로조차 자해를 통해 자신의 위기에서 멀리 벗어나려고 한다.

하지만 도망가고자 하는 충동을 내려놓고 사랑하는 사람이 필요한 순간 곁을 지킬 수 있다면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다. 도망가지 말고 그들을 포옹해라. 기분이 내키지 않기 때문에 부자연스럽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간단한 포옹만으로 악마가 물러나고 사랑하는 사람을 다시 데려올 수 있다.

오늘의 글을 통해 경계선 성격 장애에 대해 알아보는 유익한 시간이 되었기를 바란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PA) (2014): Manual de Diagnóstico y Estadísitico de los Trastornos Mentales, DSM5. Editorial Médica Panamericana. Madrid.
  • Back D., Blum N., Pfohl B., y Hale N. (2004). Suicidal behavior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prevalence, risk factors, prediction, and prevention. Journal of personality disorders18(3), 226–239. Recuperado de: https://doi.org/10.1521/pedi.18.3.226.35445
  • Díaz-Benjumea, M. D. (2003). El enfoque terapéutico de Marsha Linehan en los trastornos borderline. Aperturas Psicoanalíticas13. Recuperado de: http://www.aperturas.org/articulo.php?articulo=236
  • Frías, A. (2017). Vivir con trastorno límite de la personalidad. Una guía clínica para pacientes. Serendipity. Desvele de Brouwer.
  • Fundación AMAI TLP. (2022). ¿Qué es el Trastorno Límite de la Personalidad?. Recuperado de: https://www.amaitlp.org/trastorno-limite-de-la-personalidad/
  • Morales N., Sancho M., Granados B., Gibert J. (2019). Trastorno límite de la personalidad (TLP): características, etiología y tratamiento. Psiquiatría Biológica, 26(3), 85-98. Recuperado de: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134593419300466
  • Regalado P., Pechon C., Stoewsand C., Gagliesi P. (2011). Familiares de personas con Trastorno Límite de la Personalidad: estudio preexperimental de una intervención grupal. Fundación Foro, Buenos Aires, Argentina. Recuperado de: https://www.fundacionforo.com.ar/pdfs/invest02.pdf
  • Vera C., Giner L., Baca E., & Barrigón, M. (2019). Trastorno límite de personalidad: el reto del manejo de las crisis. Psiquiatría Biológica26(1), 1-6. Recuperado de: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134593419300065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