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찬과 비판: 칭찬은 우리를 무뎌지게 하고, 비판은 성장하게 한다
우리 삶의 일부인 칭찬과 비판. 이 세상에는, 비판만큼이나 칭찬을 받아들이는 일도 쉽지 않다. 자신에 대한 칭찬의 말을 들었을 때, 오히려 불편해하는 사람도 있다. 우리는 자신에 대한 높은 가치관을 가지도록 배운다. 그 말인즉, 우리는 모든 올바른 일을 해야 하며, 그에 대한 대가를 바라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칭찬과 비판에는, 우리의 가치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한 힘이 존재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 자신을, 다른 사람의 입에 맡기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우리가 칭찬의 말을 들을 때, 그 감탄사는 우리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우리의 자기애가 자극받으면, 우리는 그 자기 자신에 ‘취해버리게 된다.’ 반면에, 우리가 자신에 대한 비판을 받아들일 때, 정반대의 일이 일어난다. 우리 스스로를 비하하고 비난하는 것에, 우리는 참 약하다.
기억하자. 우리는 어떤 식으로건, 이기거나 질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한 수단의 고귀함이다. 정말로 중요한 것은, 우리가 스스로의 길을 나아갈 때의 존엄성이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우리의 목적을 찾을 때에, 우리는 가장 빛나는 법이다. 건설적인 비판을 잘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의 다양한 고난을 헤쳐나가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 반면에, 칭찬은 우리를 방심시켜 우리의 노력을 줄여버려, 약하게 만들 수 있다.
“비판은 우리의 일상의 일부이다. 아무도 우리가 그 비판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우리를 불쾌하게 할 수 없음을 기억하라.”
칭찬과 비판: 비판이란 피할 수 없는 것
판단이란, 모든 인간들의 생각의 과정의 일부이다. 문화권이나 관습에 따라, 우리는 긍정적인 것보다 부정적인 것에 더더욱 귀를 기울인다. 우리는 우리의 결점과 문제점을, 우리의 장점이나 기회보다 더더욱 잘 찾아낸다.
모든 사람들은, 각기 자신만의 방법으로 자신에 대한 비판을 받아들인다. 우리의 생각에 따라, 비판은 건설적인 것이 될 수도, 파멸적인 것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의 예상대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두 사람에게 완전히 똑같은 방식의 비판을 해도, 돌아오는 대답은 정말로 다를 수 있다. 같은 사람에게서 정반대의 반응을 들을 수도 있다.
가끔, 우리가 받아들이는 비판은, 비판을 말한 사람의 것이 아닌, 우리가 받아들이는 생각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그 비판 자체나 비판을 말한 사람과는 관계없이, 우리가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우리가 한 조각의 비판의 중요성과, 그 내용을 정하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동작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며, 비판이나 행동을 한 사람의 가치를 정하기도 한다.
“당신의 비판을 적절한 때에 받아들여야 한다; 일이 다 끝나버린 뒤에 뒤늦게 비난해봤자 소용없다.” – 마오쩌둥
칭찬의 이익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우리가 누군가에게 칭찬을 할 때, 그 사람 자체가 아니라, 그 사람의 행동이나 말 한마디를 직접 칭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방법을 통해, 칭찬이 내뿜는 허무의 함정에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우리가 어떻게 칭찬하느냐에 따라, 그 사람이 어떻게 생각할지를 정하기 때문이다. 동시에, 그들이 자신에 대한 고난, 인내, 그리고 학업적 성과 등을 어떻게 받아들일지도 결정할 수 있다. 크게 두 가지의 사고방식이 존재한다: 진화, 그리고 현상 유지이다.
반면에, 우리가 칭찬을 듣는 입장이라면, 그 칭찬에는 긍정적인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일을 잘 해내서 칭찬을 들었다면, 우리는 올바른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 어떤 작가들은,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인지되기 위해 살아가며, 이것이 완전한 거짓이라고 부인할 수 없다고 말한다. 어떤 사람들에게 있어서, 칭찬은 자만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 극한적인 경우에는, 자만이 현실 속 환경과, 그 사람의 가치를 망칠 수도 있다.
어떻게 창조적인 칭찬을 할 수 있을까?
누군가를 칭찬하고자 하기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은, 그 칭찬을 굳건한 현실과 결과 아래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말, 예를 들어 “잘하고 있어.” “당신은 정말이지 유능하군요.”이런 것들은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차라리, “당신의 그 문제를 대하는 방식이 참 멋지네요.” “당신이 싫어하는 일인데도 그렇게 잘 해내다니, 정말 대단한 사람이군요.” 와 같은 표현을 써보자.
우리가 부정적인 말들로 좌절시키거나, 긍정적인 말로 북돋우건, 그 근원은 같다. 하지만 우리가 가진 대부분의 문제점은, 비판을 받아들여 극복하는 것보다, 칭찬의 달콤함 아래 파멸하는 것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관심이있을 수 있습니다 ...“차분한 사람은, 자신에 대한 모든 비판들을 받아들이는 축복이 있으며, 거짓말에 불쾌해하지 않고, 잘못된 것들은 고칠 수 있다.” – J.W. 폰 괴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