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자민 프랭클린 효과와 인지 부조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다음의 이야기에서 비롯된다. 이 이야기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느끼지만, 동시에 무의식적으로 하는 일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바로 우리의 뇌가 하는 일이자 작용이다.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하는 것 사이에 불일치가 있거나, 혹은 연결이 끊어질 때 느끼는 불안감을 해결하도록 하자.
벤자민 프랭클린 효과의 기원은 무엇일까?
이 심리적 효과의 기원은 참으로 이상하다. 피뢰침을 발명한 미국의 정치인인 벤자민 프랭클린이 미국 건국의 아버지 중 한 사람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이다. 그러나 사실 그는 입법부에 상당히 많은 적을 둔 사람이었다. 그의 엄청난 적들은 공적과 사적으로 모두 이 과학자의 정치적 의제에 대한 이의를 표명하는 데 거리낌이 없었다.
이 특별한 적개심은 물론 벤자민은 잘 알고 있었고, 사실 그는 이 문제를 크게 걱정했다. 그런데 벤자민 프랭클린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택한 방법은 참으로 기이했다. 프랭클린의 첫 번째 생각은 천재적이었다. 그는 그가 고도로 교양 많은 사람을 마주하고 있음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는 도서관에서 매우 희귀한 책을 요청했다. 물론, 그는 이 책에 진심으로 흥미가 있던 것은 아니었다.
벤자민의 정적은 그의 요청을 받고 매우 존경받고 기분이 좋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주저하지 않았다. 그것이 프랭클린이 적을 물리치고, 오히려 친밀감을 향해 첫 걸음을 내딛고 평생의 우정으로 바뀌게 된 계기가 되었다.
벤자민 프랭클린 효과 뒤에서는 무엇이 있는 걸까?
위의 이야기가 사실이건 아니건, 벤자민 프랭클린 효과는 깊은 심리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 매우 기뻐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는 실제로 인지 부조화에 근거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처음에는 이러한 불협화음을 피하려는 우리의 욕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프랭클린이 그의 요구에 따라 달성한 것은 바로 적의 모순을 만드는 것이었다. 한편으로는, 두 사람은 치열한 정치 경쟁자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그는 그의 정적에게 사적인 부탁을 하고 있다. 이런 상황 자체는 모순되지 않는다. 그러나, 프랭클린의 상대방은 정적의 모순을 느꼈을 가능성이 크다. 이 ‘모순’은 정치적 악의를 서로에 대한 우호로 바꿔줄 것이다.
이와 같은 모순을 인식하는 것은 사람에게 약간의 불편함을 유발시켜, 사람이 사고 방식을 재조정하도록 유도시킨다. 이것은 정확히 프랭클린의 정적들이 한 행동들이다. 그의 행동(책을 빌려주는 것)이 순전히 정치적 적대감보다, 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바람직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래서, 프랭클린의 적들은 자신의 관대함을 정당화하고 싶다면, 자신이 보는 프랭클린의 모습을 바꾸어야 했다. 이 새로운 관점은 확실히 강해지는 우정을 시작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
두뇌는 부당한 것을 정당화하려고 노력할까?
두뇌가 우리 자신의 이미지를 해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우리의 행동을 정당화하려고 시도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그래서 인지 부조화가 나타나게 되고, 우리는 이를 제거하려고 노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정당화할 수 없는 군사적 갈등이 있다고 해보자. 우리가(심지어 아무것도 말하지 않고도) 이 분쟁에 여전히 참여한다면, 생각은 우리의 입장을 정당화할 이유를 찾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우리의 자유에 관한 것에서 애국심이나 종교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사실, 인지 부조화는 우리 삶의 정상적인 부분이다. 개인적으로 혹은 전문적 수준에서 우리는 종종 우리가 실제로 동의하지 않는 행동을 정당화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당신은 아마 당신이 싫어하는 사람들과 일하거나, 당신이 불쾌한 사람을 찾도록 도와주었을 것이다. 당신의 상황이 어떻든 당신의 마음은 당신의 행동을 설명하고, 정당화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적용하기 시작할 것이다. 따라서 누군가에게 호의를 베풀면, 그 사람에 대해 더 나은 시각을 갖게 될 것이다.
우리의 사고 방식은 매우 이상하다. 우리의 의견을 수정하여, 자기 이미지와 생각과 행동 사이의 연결을 보호하려 한다. 그리고 그 연결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일단 정당화나 새로운 의견이 나오면, 우리는 그것을 뒷받침하는 작은 정보에 더욱 민감해질 것이다. 그러면 우리가 반대하는 정보에 대해서도 회의적으로 행동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