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폭력: 축구경기에는 왜 그렇게 많은 폭력이 존재할까?

축구 경기에서 보여지는 폭력, 특히 축구 팬들 사이에 벌어지는 폭력은 우리가 매우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무엇이 이런 행동을 야기하는가? 이 글에서 우리는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몇몇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축구 폭력: 축구경기에는 왜 그렇게 많은 폭력이 존재할까?

마지막 업데이트: 16 8월, 2019

축구 경기에서 보여지는 폭력, 특히 축구 팬들 사이에 벌어지는 폭력은 우리가 매우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무엇이 이런 행동을 야기하는가? 이 글에서 우리는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몇몇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축구는 왜 그렇게 폭력적인가? 특히 팬들 사이에서 더욱 그런 이유는 뭔가?  우리는 서로 라이벌 팀 관계에 있는 팬들 사이의 폭력적인 충돌에 대한 많은 뉴스 기사들을 본다. 최근 마지막 폭력 사태는 아르헨티나 팀 리브 플레이트와 보카 주니어스의 경기 도중 코파 리허바도레스 결승전에서 발생했다.

팬 그룹 간 폭력 사태의 결과로 인해 결승전 경기는 아르헨티나가 아닌 스페인에서 펼쳐졌다. 많은  사람들은 이런 집단 행동이 일어날 때 종종 혼란스러워하고 충격을 받았다. 그들은 왜 그런 일이 일어나는지 젼혀 이해하지 못한다.

그런 점에서 심리학은 수년 동안 집단적 사회행동을 연구해 왔다. 이 글에서 우리는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행동 뒤에 숨겨진 동기를 밝힐 것이다.

탈개인화 과정에서 보여지는 축구 폭력

우선 축구에서의 폭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탈개인화 과정을 다뤄야 한다. 비록 이 과정이 폭력을 직접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지만 집단적인 그룹 행동을 설명한다.

축구 폭력 경기장 한 손을 올린 남자

당신이 축구 경기에 있고 상대 팀의 선수가 근처에 있다고 한 번 상상해보자. 그들을 모욕할 생각이었지만 라이벌 팬들에 둘러싸여 있었다면 결국 그렇게 하지 못했을 것이다. 반대로  만약 당신이 당신 팀의 팬들에 둘러싸여 있다면 어떻게 될까?

만약 우리 주변의 팬들도 우리 팀을 응원한다면 우리 모두는 아마도 경쟁하는 축구 선수를 언어적으로 공격하게 될 것이다. 두 상황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바로 익명성 책임감이다.

“폭력은 무능한 자의 마지막 피난처다.”

– 아이작 아시모프 –

축구 폭력 경기장 환호하는 팬들

익명성과 폭력

모랄, 고메즈, 칸토(2004년)는 “이런 상황에서 익명성, 집단성, 개인의 자각 감소는 사람들을 억제하지 못하고 충동적이며 불법적인 행동으로 이끌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익명 상태를 누리면 우리는 폭력적인 행동에 더 기울게 된다. 만약 아무도 우리가 그들을 모욕하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알 수 없다면 우리가 관심의 중심이 되는 것보다 그렇게 할 가능성이 더 많을 것이다. 그룹에 속해 있다는 것은 우리의 자각을 떨어뜨린다.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의 책임을 그룹에 전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리가 되는 것을 멈추고 대신에 그룹이 된다.

순응 과정과 축구 폭력

순응은 축구 경기에서의 폭력을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과정이다.

이 과정은 개인의 반응을 수정하여 집단의 반응에 더 가깝게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즉, 집단에 따라 행동을 바꾸는 것이다.

파에즈와 캄포스는 “순응은 집단 압력에 의한 믿음이나 행동의 변화다. 문제의 집단에 의해 확립된 규범에 대한 개인의 기질을 수정한다.”

우리는 집단에서 다른 종류의 규범을 찾을 수 있다. 그 중에는 한 사람이 집단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나타내는 서술적 규범과 한 사람이 개인으로 어떻게 행동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나타내는 규범적 규범도 있다.

순응은 개인이 집단에 적응하기 위해 행동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 영향의 한 유형이다. 그들은 심지어 그들이 개별적으로 행동하는 방식과는 정반대의 방식으로 행동할 수 있다.

“폭력에 의해 얻어진 승리는 패배와 같아. 왜냐하면 그것은 순간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마하트마 간디-

집단성과 폭력

결과적으로 만약 우리 집단이 난폭하게 행동한다면 우리는 같은 행동을 채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순응은 집단의 구성원에 대한 통제와 이들의 상호의존성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또한, 일정 수준의 불확실성이나 모호성이 있을 때 증가한다.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를 때 그 집단의 행동을 받아들인다.

순응은 집단과 개인 사이에 유사성이 있을 때 증가한다. 어떤 사람이 축구팀과 팬 그룹의 폭력적인 이념을 동일시한다면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 것에 동의하는 경향이 있다.

최종적인 반사

만약 누군가가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폭력을 통해 이견을 해결하는 데 익숙하다면 의견 차이를 직면하는 경우 공격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존중감 있는 양육은 이런 유형의 행동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풍요로운 내면 세계와 개방적이고 반사적인 정신은 우리 자신을 강하게 하고 집단의 일부가 되어야 할 필요성을 줄여준다.

많은 경우, 이 필요성 뒤에는 우리가 집단의 일원이 되어 완화시키려고 하는 자존감이 숨어 있다. 집단에 소속감을 느끼는 것은 우리에게 감정적인 성취감을 준다.

그러므로 내적인 성취감을 개발하지 않았다면 그것을 외부에서 찾으려고 할 것이다.

결론

우리 자신을 배우고 아는 것은 폭력 집단의 일부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우리의 자존감이 낮아지고 ‘강인한’ 집단이 될수록 우리는 폭력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우리가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존중하기 시작하면 이러한 상황은 과거의 일이 될 것이다.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