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장애의 유형과 특성에 관해 알아보자

언어장애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을까? 원인과 증상은 무엇일까? 오늘 글은 이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줄 것이다.
언어장애의 유형과 특성에 관해 알아보자

마지막 업데이트: 30 5월, 2021

언어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강력한 도구 중 하나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언어장애를 겪는다. 사람들은 말로 감정이나 욕망과 같은 정보를 소통하고 전달할 수 있으며 그들의 문화와 지식을 영속화할 수 있기 때문에 언어장애가 있다는 것은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글에서 언어장애의 유형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자.

많은 심리학자가 인간 발달에 있어서 언어의 역할을 분석해왔다. 그중 한 명은 이 점에서 중요한 공헌을 한 러시아 심리학자 레프 비고츠키였다.

언어장애를 갖는 것은 모든 종류의 사회적, 학문적, 그리고 개인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말은 일상생활의 일부이며, 상호 작용하고, 정보를 공유하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언어 장애가 있을까? 정의, 원인 및 증상을 확인해보자.

“말은 힘이다. 말은 설득하고, 변환하고, 강요하는 것이다.”

-랄프 월도 에머슨-

언어장애의 유형

언어장애의 유형

언어장애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소리를 생성하거나 형성하는 데 장애가 되는 것이다. 이것들은 아이들이 발음과 어휘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말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말할 수 없다.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매뉴얼)에는 다음과 같은 의사소통 장애가 있다.

이 글은 의사소통 장애가 아닌 언어장애의 유형을 다룬다. 음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의 일부만 논할 것이다. 각각의 가장 중요한 특징들을 살펴보자.

언어장애의 유형: 부전 실어증

부전 실어증은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있어 일련의 어려움을 수반한다. 이는 지능이 발달 수준에 적합한 경우에도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친다. 또한, 독서를 포함한 구두 및 서면 언어로 표현된다. 다른 말로 하면, 그것은 꽤 광범위한 장애이다.

그 기원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부전 실어증이 있을 수 있다.

  • 발달장애는 아이가 의사소통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존재하며, 다른 장애로 인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후천성 부전 실어증은 일종의 뇌 사고, 머리 외상, 발작 장애 등으로 발생한다. 그 주된 특징은 언어 생산성 저하이다.

또한 변경된 과정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부전 실어증이 있다.

  • 수용언어 부전 실어증은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
  • 발현 부전 실어증은 표현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랜도-크레프너 증후군이라고 알려진 특별한 종류의 후천성 뇌전증이 있다. 이것은 환자의 뇌전도(EEG)에서 여러 번 변형되어 나타나는 수용성-표현성 질환이다. 간질성 뇌졸중에 의해 발병하며, 일반적인 발병은 3세에서 7세 사이이다. 게다가, 그것은 일반적으로 갑자기 나타난다.

음운장애 – 발음장애

이것은 음운 장애라고도 불리는 음성 장애이다. 발음 장애는 말의 표현에 어려움을 수반한다. 가장 흔한 것은 소리의 대체, 소리의 왜곡, 소리의 부족(누락) 또는 추가(삽입)이다. 그것의 원인은 기능적이다. 다시 말해서, 어떤 유기 병변도 이 장애를 정당화하지 않는다. (그 병변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이 언어장애는 어린 시절에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것 중 하나이다. 추정에 따르면 6세에서 7세 사이의 어린이 중 2~3%가 중등도 또는 중증 형태의 발음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증의 경우 유병률이 증가한다. 아이가 말할 때 저지르는 실수는 그들의 발달 수준에 불충분하고 아이의 사회적, 학문적 기능을 방해해야만 언어장애로 진단한다.

언어장애의 흔한 유형인 말더듬

DSM-5에서는 유년기에 나타나는 유창성 장애라고도 하며, 이는 가장 잘 알려진 언어장애 중 하나이다.

말더듬은 유창함과 말의 리듬에 영향을 미친다. 말을 할 때, 이런 상태를 가진 사람은 연설의 시작이나 도중에 막힘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경련을 일으킨다. 이것은 그들의 정상적인 의사소통 리듬의 중단을 초래한다.

이 장애는 보통 3살에서 8살 사이에 시작된다. 이 나이부터 정상적인 말투가 습득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기능 장애는 지속 기간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 선천성 말더듬은 몇 달 동안 지속한다.
  • 양성 말더듬은 몇 년 동안 지속한다.
  • 지속적인 말더듬은 만성적이며 보통 성인들에게서 나타난다.

흥미롭게도, 이런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노래를 부를 때, 배운 텍스트를 암송할 때, 혼자 있을 때, 또는 반려동물과 이야기할 때 더듬지 않는다. 그것이 사회적 불안의 영향을 받은 장애라는 것을 암시한다.

더 나아가, 다른 연구를 수집한 라모스(2019)의 연구에 따르면, 음악과 그 구성 요소(리듬 등)는 말더듬이가 말하는 속도를 조절하고, 얼굴의 긴장을 줄이고, 음파 호흡 조정 능력을 높이고, 언어 장애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음장애

구음장애

이 언어장애는 말을 구성하는 소리를 명확하게 표현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야기한다. 구음장애는 구강 발성 기관(예: 입술, 치아, 혀의 선천적 기형)의 변화의 결과로 나타난다. 따라서, 그 원인은 유기적이다.

마비성 말장애

이 질환은 신경 운동 조절(신경계 부상)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단어를 발음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는 입에서 나오는 근육질의 음색을 변화시키는 신경학적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마비성 말장애는 사람이 말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게 한다. 구음장애와 마찬가지로 마비성 말장애는 가장 잘 알려진 언어 장애 중 하나이다.

실어증

실어증의 많은 분류가 있다. 고전적인 신경심리학적 모델에 따르면, 부전 실어증과는 반대로 상당히 심각하다. 대신, 실어증과 부전 실어증을 구별하는 것은 실어증은 후천성(부전 실어증은 선천적)이다. 인지 모델에 따라 구별한다.

그러나, 다른 저자들은 실어증과 부전 실어증을 구별하는 것은 어린이가 아닌 성인에게서 나타난다는 점이라고 제안한다. 그들의 분류가 어떻든 간에, 분명한 것은 실어증이 언어의 손실이나 변화를 암시한다는 것이다. 뇌 변화나 부상의 결과로 발생한다(예: 뇌졸중이나 머리에 타격을 받은 경우).

다양한 유형의 실어증은 부상의 위치에 따라 다른 증상을 통해 나타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 Barraquer Bordas, L. (1976). Afasias, apraxias, agnosias. Barcelona. Toray, 2ª ed.
  • Neira Espinoza, A. y Gómez Arreaga, M. (2012). La disglosia y su influencia en la comunicación verbal de los niños.
  • Rodríguez, P. (2002). La tartamudez desde la perspectiva de los tartamudos. Universidad Central de Venezuela.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