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시시즘 : 자기애 성격장애의 5가지 원인

나르시시즘 : 자기애 성격장애의 5가지 원인

마지막 업데이트: 08 4월, 2019

자기애 성격장애의 원인은 어린 시절의 결핍 및 과잉과 관련이 있다. 아이는 자신이 필요로 하는 다른 자극이나 애정의 부족함을 경험했을 것이다. 또는, 여러 가지 과잉 때문에 자기애(나르시시즘)가 형성되기 시작하기도 한다. 이것의 한 예로, 부모가 자녀의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최선을 다하는 것이다.

자기애와 관련된 문제는 여러 수준을 가지고 있다. 때때로 그것은 단순한 우리의 방식이다. 어떤 경우에 자기애 성격장애는 훨씬 더 심각하다. 이 경우, 자만과 이기심이 그 사람의 성격 전체를 침해한다. 게다가, 반사회적 특성이 있을 수 있다.

“수줍음은 우리가 무엇을 입었는지  혹은 어떻게 행동하는지가 진정으로 타인에게 중요하다고 믿는 자기애의 이상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안드레 듀버스-

나르시시즘 : 자기애 성격장애의 5가지 원인

자기애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따라, 자신의 성격은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다. 하지만, 모든 사례에는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이 있는데, 이는 강도의 정도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지배적인 것은 과대망상, 교만, 타인 착취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이다. 열등감을 나타내는 숨겨진 특성도 많을 것이다. 어떤 경우이든, 자기애 성격장애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학대, 과장된 자기애의 원인 중 하나

보통 어린 시절 학대로 고통받은 사람은 완전히 내향적인 것으로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항상 맞는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에 정반대 현상이 일어난다. 피해자는 자기애 성격을 갖게 되고, 주변 사람보다 우월감을 느끼고 싶을 뿐이다.

자기애 성격장애

학대는 자기애의 가장 복잡한 원인 중 하나이다. 이런 경우에 일어나는 것은 일종의 보상과 방어기제의 유형이다. 학대를 받은 사람은 다시는 다른 사람에게 희생되지 않겠다고 결심하고, 자아상을 부풀리게 된다. 만약 그들이 이 길을 계속 따라간다면, 자신의 삶에서 과장된 형태의 자기애가 형성될 것이다.

방임

방임의 경우, 학대와 유사한 점이 많다. 사람은 어린 시절 취약함 같은 경험을 하고 자신과 세상 사이에 벽을 세운다. 그 벽이 자기애(나르시시즘)이다. 이 경우, 방임의 주된 결과는 공감을 경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런 경우에 일어나는 것은 자기애가 껍데기처럼 작용한다는 것이다. 매우 약한 사람을 숨기는 껍데기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사람은 다른 사람의 거절을 두려워하는 것이 지극히 정상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내면의 자신에게 어떻게 명령했는지 깊은 수치감을 가진다. 자기애는 단순히 이러한 감정을 숨겨버린다.

자기애 성격장애의 원인이 되는 부모의 모순

부모의 모순은 자기애 성격장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부모의 말과 행동 사이의 불일치로 인한 모순 때문에, 또는 행동 자체 때문에 일어날 수 있다. 부모가 어떤 말을 할 때, 완전히 다른 행동을 하는 것으로 발생한다. 그것은 또한 부모가 변덕스럽고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반응하는지 전혀 모를 때 발생한다.

이것은 안절부절못하고 불안해하는 부모의 특징이며, 자녀에게 깊은 불안감을 안겨준다. 이런 부모는 종종 자녀에게 과장된 칭찬을 아끼지 않지만, 때로는 너무 엄하게 비난하기도 한다. 자기애는 문제가 되고 일관성이 없는 환경에 의한 고뇌의 반응이다.

자기애

공허한 칭찬과 선물

공허한 칭찬은 죄책감을 가진 부모에게 매우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그들은 아마 자신이 아이에게 충분한 시간과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고 느끼고, 이것이 옳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런 결핍을 보완하기 위해 종종 적절치 않게 자신의 자녀가 자랑스럽다고 생각하는 특정한 특성을 강조하려고 노력한다. 이런 부모는 자녀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자녀가 가지고 있든 없는 상관없이 공허한 칭찬을 한다.

죄책감을 가진 부모는 공허한 칭찬과 값비싼 선물을 한다. 그것은 자신의 부족한 애정을 보상하고 은폐하는 방식이다. 자녀가 무엇을 하든 축하해야 한다고 느낀다. 이런 식으로 부모는 아무도 자신에 대한 사랑을 의심하지 않을 것이라고 결론짓는다. 이 때문에, 자녀는 현실과는 거리가 먼 이상화된 자기 모습으로 발전한다.

과잉보호

과잉보호는 학대의 형태이다. 두려움과 불안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과잉보호는 자녀의 마음에 자신의 삶에 어려움은 직면할 수 없다는 생각을 심어 놓는다. 그들은 또한 자신 내면에 끊임없이 돌보아야 하는 내재한 약점인 ‘특별한 것’이 있다고 생각한다. 과잉보호는 불안하고 과장된 자기애를 동시에 제공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을 가두기 시작한다. 자기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신만의 거품 속으로 빠져든다. 그들은 다른 사람이 자신을 정말로 사랑한다면, 자신을 보호하고 모든 응석과 ‘필요’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기애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또한 다른 사람의 필요에는 무관심하다.

과장된 자기애

자기애 성격장애의 많은 원인은 부모 자신의 자기애와 관련이 있다. 때로는 자녀를 이용하여 자기 자존감의 상처를 치유하거나, 다른 경우에는 자기애 욕망을 갈망하며 치유하려고 한다. 문제는 결국 완전히 정반대로 성취하게 된다는 것이다. 심리치료는 실제로 어떤 이의 자존감을 다시 일으켜 강하고 건강하게 만드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