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정서적으로 세심한 반응을 보여야 할 6가지 상황

아이에게 정서적으로 세심한 반응을 보여야 할 6가지 상황

마지막 업데이트: 29 3월, 2018

아이에게 정서적으로 세심한 반응을 보여야 할 6가지 상황에는 무엇이 있을까? 아이들이 어떻든 간에, 스스로에게 던져지는 부정적인 코멘트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라고 가르치는 것은 중요하다. 무엇보다도 자기 이야기를 1인칭 시점에서 얘기할 때, 이는 자기 효능감을 보여주는 모습이다.

다시 말하자면, “난 할 수 없어” “난 잘못할거야” “뭐하러 그래” “창피해질거야” “내가 할 수 있는게 없어”와도 같은 말을 그냥 흘려들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이런 말은 낮은 자존감을 보여주는 말들이기 때문이다.

아이에게 정서적으로 세심한 반응을 보여야 할 6가지 상황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을 안다면, 어린 시절부터 건전한 애정과 사려 깊은 성격을 형성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절대 감정을 무시하지 않아야함을 배운다면 다른 사람의 비판적인 말들을 받아칠 수 있다. 몇가지 예를 들어보자.

아이에게 정서적으로 세심한 반응을 보여야 할 6가지 상황

1. 가장 중요한 “난 할 수 없어”

“나는 할 수 없다”라고 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이는 많은 경우 아주 어렸을 때부터의 내부(혹은 외부) 대화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피로, 에너지의 부족, 무관심, 자신감 부족을 나타내는 말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니야, 할 수 있어” 정도로 대답하지만, “말도 안 되는 소리 하지 마” 등의 답을 듣기 일쑤다.

어떻게 하면 그들이 자신의 부정적인 생각을 멈추도록 도울 수 있을까? 가장 먼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나는 할 수 없어”라는 말이 무슨 뜻이야? 정말로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거야? 시도도 안 하는데 어떻게 알아? 너는 “난 못 해”라는 말이 네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 그냥 ‘안돼’라고 말하지 말고, ‘댓가는 치르겠지만, 할 수 있어’라고 말하는건 어때?

강한 심장의 소녀

2. 별로 그러고 싶지 않아. 안 할래

특정한 일을 하다보면 귀찮고, 흥미가 떨어질 때도 있다. 희망이 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그 일을 해야 현실적으로 이익이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한다.

이런 질문을 하면서 상대방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이다: “하기 싫어, 안 할래”라고 말하지 말고, “지금은 별로 하기 싫지만, 그래도 언젠간 할거야”라고 말해.

결국 “우리가 좋아하는 일만 하면 어떻게 되겠는가? 우리가 싫은 일은 안하면 되는가? 이런 사람들만 세상에 가득했으면 어땠겠는가? 규칙을 지키지 않고 사는게 가능한가? 의사가 귀찮아서 환자를 돌보지 않으면 어떻게 되겠는가?”와 같은 질문이 전부다. 이런 질문을 던지는 것만으로도 귀찮음을 해소하고 태도를 바꿀 수 있다.

우는 소녀

3. 쑥스러워서 그렇게 하고 싶지 않다

생각해 보면, 누군가의 부끄러움을 웃는 일은 잔혹하다.

상대방의 고통을 비웃는 것은, 그들의 정서적 취약성을 조롱하는 일이나 다름없다. 그러니 다른 사람의 관심을 아예 받지 못하는 것보다는, 비웃음을 받더라도 관심 받는 편이 좋으며, 비웃는다고해서 불안해할 필요가 없음을 전파해야한다.

4. 나는 지쳤어/슬퍼/화나

자신의 감정과 정서적 반응을 부정하는 것은 크나큰 실수다. 그런 것들은 인간에게 있어 가장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어렸을 때 ‘뚝 그쳐’라는 말을 듣고 자란다.

특히 사회 생활 하면서 표현하기에 쑥스러운 감정이 있는데, 그런 감정을 부정하면 아이든 어른이든, 아주 중요한 자신의 모습 일부를 잃게된다.

웃는 소녀

5. ‘게으른’ ‘나쁜’ ‘멍청한’ 사람이라고 말하지 말아라

이런 말은 건강한 자존감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아이가 나쁜 짓을 하면 아이에게 욕하는 것 외에도 타이를 수 있는 방법이 많다: 형제를 때리면 안된다, 장난감을 깨뜨리지 말아라, 수학을 더 열심히 해라.

6. 하지만 너무 잘난체하고 싶지는 않다

상대방에게 똑똑한 척 말하면 이해하지 못한다. 그 대신에 보다 더 구체적으로, 이렇게 말할 수도 있다: 너는 숙제를 너무 잘 했고, 청소도 너무 잘했다. 나는 네 그림을 보는게 좋다. 즉, 아이들의 행동을 판단하되, 아이를 판단하지 않는 식으로 말하는 것이다.

만약 상대방에게 다가가고 싶다면 적절한 말투로 말을하고, 절대 공격적으로 말하지 않도록 조심하라. 다정하고 상대방을 동정하는 어조로 말하는 것은 좋은 교육 과정의 일부가 된다. 이런 전략은 심리학적 모델로부터 가져온 것이기 때문에 교육 과정에도 도입되어야함을 명심해라.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