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유발하는 가정 폭력

가정 폭력은 일반적으로 가정이라는 폐쇄된 환경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폭력에는 개인이 안전하다고 느껴야 하는 장소에서 발생하는 역설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에 초점을 맞춰 가정 폭력에 관해 이야기하겠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유발하는 가정 폭력
Elena Sanz

작성 및 확인 심리학자 Elena Sanz.

마지막 업데이트: 17 3월, 2023

가정 폭력은 단순한 오해나 관계 문제 또는 지나치게 권위적인 부모를 포함하지 않는다. 가정 폭력 피해자들은 장기적인 충격적인 상황을 경험하고 웰빙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를 맺는 능력에도 영향을 받는다. 종종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도 이어질 수 있다.

가정 폭력은 피해자에게 극도로 고통스러운 일이다. 이론적으로 가장 큰 지원 또는 안전한 피난처가 되어야 하는 사람들인 파트너 또는 부모가 가해자이기 때문이다. 어린이의 경우 평생 영향을 미치 는 심각한 애착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성인의 경우 증상이 극도로 제한되고 삶의 질이 크게 저하한다.

가정 폭력 심리적 장애
가정 폭력은 피해자에게 심리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PTSD는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SM 5) 내의 외상 및 스트레스 요인과 관련된 장애 범주에 포함된다. 충격적인 상황에 대한 노출에 대한 심리적 반응으로 사건이 발생한 후 최대 몇 개월부터 시작할 수 있다.

참전용사를 대상으로 연구됐던 장애지만 이제는 잠재적으로 충격적인 상황에 노출된 누구나 PTSD 환자가 될 수 있다. 잠재적으로 충격적인 상황은 무엇일까?

개인 의 신체 또는 심리적 무결성을 위협하는 모든 사건/환경은 잠재적인 충격적인 상황으로 간주한다. 직면하는 데 필요한 자원이 없다고 느끼거나 바위와 힘든 장소 사이에 갇혀 있다고 느낄 수 있는 경험이다.

PTSD는 모든 트라우마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개인마다 이러한 종류의 사건을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고 처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성인 약 70%가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했지만 그중 20%만이 PTSD로 고통받았다고 한다.

가정 폭력은 개인이 집에서나 애착 대상과 함께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하는 만성적인 위협 상황을 의미한다. 투쟁-도피-동결 메커니즘을 활성화하고 전신을 경계 상태로 만든다. 따라서 PTSD는 결국 트리거가 될 수 있다.

PTSD의 주요 증상

가정 폭력을 경험한 성인이나 아동은 결국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발전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

  • 생생한 플래시백이나 악몽의 형태로 충격적인 사건에 대한 침투적 기억
  • 외상과 관련된 자극의 회피 및 지속적인 회피: 환자는 사건을 연상시키는 생각, 상황, 사람 또는 물건을 피할 것이다.
  • 강렬한 부정적인 감정: 공포, 분노, 죄책감, 수치심 등은 무관심과 흥미 상실로 나타난다. 또한 자신과 타인 모두에 극도로 부정적인 믿음을 갖는다.
  • 과각성: 각성 상태에 변화가 있다. 이로 인해 환자는 끊임없이 경계하고 큰 충격에 반응하는 경향이 있으며 짜증을 내고 집중하지 못한다.

PTSD를 유발하는 가정 폭력

위에서 설명한 증상은 극도로 제한적이며 큰 고통을 유발한다. 가정 폭력 피해자 경험을 과소평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심리적 수준에서의 영향은 공격, 자연재해너 전쟁으로 인한 영향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가정 폭력에는 위험 요소를 구성하는 특정 구성 요소 때문에 PTSD를 유발할 확률을 높인다.

가정 폭력 애착 문제
가정 폭력은 아이들에게 애착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가정 폭력 PTSD의 결과 및 치료

개인이 파트너나 부모로부터 폭력을 당하면 심리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PTSD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조건화된 공포 및 의사 결정을 중재하는 다양한 뇌 영역의 구조와 기능이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결과적으로 피해자가 다른 사람을 다시 신뢰하거나 친밀감이 발생할 만큼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일부 조사에 따르면 12세 이전에 신체적 학대를 당한 아동은 자신을 학대하려는 또래들에게 더 취약하다. 마찬가지로 재피해는 가정 폭력 피해자들에게 흔하다. 파트너에게 당연히 학대당해도 된다는 생각을 내면화한다.

피해자는 또한 외상 경험과 연관한 자극의 출현으로 경계, 공포 및 고통을 활성화한다. 자극은 자물쇠 소리, 특정 자동차나 특정 향수 냄새처럼  트라우마나 가해자를 연상시키는 모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개인은 큰 고통을 경험한다. 무질서한 애착 스타일 로 성장한 아이들은 더  큰 영향을 받는다. 전문적 치료가 필수지만 가정 폭력은 피해자를 마비시키고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소셜 네트워크 지지는 치룔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guirre, P., Cova, F., Domarchi, M., Garrido, C., Mundaca Ll, I., Rincón, P., … & Vidal, P. (2010). Estrés postraumático en mujeres víctimas de violencia doméstica. Revista chilena de neuro-psiquiatría48(2), 114-122.
  • Benedini, K. M., Fagan, A. A., & Gibson, C. L. (2016). The cycle of victimi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altreatment and adolescent peer victimization. Child Abuse & Neglect59, 111-121.
  • Sidran Institute. (2018). Traumatic Stress Disorder Fact Sheet. Disponible en: https://www.sidran.org/wp-content/uploads/2018/11/Post-Traumatic-Stress-Disorder-Fact-Sheet-.pdf
  • Zegarra-Valdivia, J. A., & Chino-Vilca, B. N. (2019). Neurobiología del trastorno de estrés postraumático. Revista mexicana de neurociencia20(1), 21-2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