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스스로를 사랑하는가? 자기애가 부족한 5가지 신호
당신은 스스로를 사랑하는가? 인간에게 있어서 자기애는 필수적인 것이다. 건강한 자기 존중감을 유지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의 양질의 인간 관계를 즐기고자 한다면, 매우 필수불가결한 것이다.
그러니, 자신을 사랑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과 인연을 맺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우울증의 위험도 높아진다.
당신은 스스로를 사랑하는가?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것을 알리는 신호를 자각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자기 자신의 내면과의 대화나, 다른 사람과의 인간관계를 극복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신호들을 확인하는 것은, 우리가 슬픔이나 실망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찾도록, 우리를 도와줄 수 있다. 심지어, 기분이 좋지 않을 때도 도와줄 수 있다.
“최악의 외로움은 너 자신에게 안락함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 마크 트웨인
다른 사람들이 하는 말, 혹은 해주는 일에 대한 의문
이렇게,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의 근원은, 대개 자신에 대한 자존감과 자기애가 부족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것이 의미하는 것은, 당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감정, 말, 행동에 스스로 의문을 제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진다는 것이다. 당신은 다른 모든 사람들이 하는 말을 믿지 않으며, 당신 자신에 대한 감정을 거부하려 한다.
누구나, 자신이 사랑받고 이해받고 싶어한다. 이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말하고 수행하고, 끊임없이 의문을 제기하는 것에 대해 과대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아무도 자신을 사랑하거나, 자신이 가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들은 비판을 매우 개인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더욱 더 심각한 것은, 누군가가 감사를 표현할 경우, 그 뒤에는 항상 악의어린 동기가 있을 것이라고 단정지어버리는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어찌 보면 앞뒤가 맞는 말이다. 그 뒤에는 매우 일관된 무의식적인 사고가 존재한다. 어떻게 나 자신보다, 다른 사람이 나를 더 사랑할 수 있는 걸까?
자기애가 부족하다는 5가지 신호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는 것보다, 나를 사랑할 수는 없는 걸까? 다른 사람이, 왜 나 자신보다 나를 더욱 사랑하고 호의를 갖는 걸까?
항상 방어적인 면모를 보인다
항상 방어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은, 당신이 스스로를 사랑하지 않는다는 신호 중 하나이다. 불안정하고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은, 필요 이상으로 계속 경계를 유지하려 한다.
그리고, 그것은 단순히 당신의 스트레스만 올리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객관적으로 볼 수도 없게 만든다.
이런 수비적인 연쇄에 빠져버리면, 사람들이 당신에게 무엇을 말하고 물으려 하는지,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그것은 당신이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게 만든다.
또한, 당신이 당신이 사는 삶을 누릴 수 없는, 두려움과 슬픔의 원인이 된다. 방어적인 태도를 취할 때, 타인에 대한 태도가 폭력적인 상황에까지 이르진 않더라도, 충분히 쉽게 무례하고, 불쾌하고,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또한, 항상 방어적인 태도만 유지하다보면, 결국 항상 최악의 시나리오만 상정한 채 행동하게 된다. 결국에는 당신의 행동은, 매우 비합리적이며, 극에 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결국, 상대와의 충돌로 이어져, 최악의 상황이 현실이 되고, 당신의 삶의 관점을 바꾸지 않을 수 없게 된다.
모든 것이 잘 되는 척 하며 문제를 피하려 한다
그러나, 당신에게 일어날 수 있는 또 다른 일은, 당신이 갈등을 피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당신은 모든 것이 위선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즉, 공평을 표명하거나 자신을 위해 옹호하지 않고, 그저 문제를 피하기 위해, 당신이 지닌 모든 것을 포기하려 한다.
문제는, 자기 존중과 자기 사랑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힘을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당신은 무의미한 것, 혹은 당신에게 정말로 중요하지 않은 것에 대한 논쟁을 불러 일으키기 쉬워진다.
당신은 다른 사람들이 화를 내거나, 당신이 당신의 의견을 변호한다 해서 당신을 외면할까 두려워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대방 이 말하는 것을 받아들이거나, 동의하게 되므로 서로 만족하려 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당신의 의견이 아무도 중요하다고 여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무도 당신이 원하는 것에 관심이 없다고 생각하게 된다.
비교할 것이 없는데도, 자신과 비교하려 한다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는 습관은,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또 다른 분명한 신호이다. 우리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이, 항상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지만.
문제는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들이, 특히 자신의 외모 등에 관해서, 너무 많이 비교만을 하려 하는 것이다.
실제로,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비교할 이유가 없는데도, 마냥 비교를 하려 한다. 그리고, 그 결과에 집착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우리의 자존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부러움이나, 자기 자신에 대한 포기, 심지어는 불의의 피해자 행세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것은 모두 자아 – 사랑을 훨씬 더 훼손시키는 일이다.
자신의 성공을 그저 우연에 의한 것이라고 여긴다.
그저, 좀 더 당신 자신을 사랑해보자!
물론, 우리가 한 일에 대해서, 행운이 아예 없었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행운이 절대적인 역할을 한 것만은 아니다. 당신은 그 행운을 우리에게 절호의 기회로 바꾸는 방법을 배워야만 한다.
그러니, 우리 자신을 충분히 사랑하지 않으면, 자신이 성취한 가치를 인식하지 못할 것이다. 그게 바로 당신이 당신의 능력이나 노력을 중요시하지 않는 이유일 수 있다.
물론 당신은 다른 사람들을 가치있게 여길 수는 없으며, 그들이 주는 축하 또는 칭찬을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어떤 면에서, 행운을 빌어주는 것이, 당신의 무능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자신을 믿어라. 자신에게 독을 품지 마라. 자신과 주변에 있는 모든 것이 바뀔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ergagna, E. & Tartaglia, S. (2018). Self-esteem, social comparison, and Facebook use. Europe’s journal of psychology, 14(4), 831-84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266525/
- Harris, M. A., & Orth, U. (2020). The link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relationships: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9(6), 1459-1477. https://pubmed.ncbi.nlm.nih.gov/31556680/
- Nguyen, D. T., Wright, E. P., Dedding, C., Pham, T. T., & Bunders, J. (2019). Low self-esteem and its association with anxiety,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vietnamese secondary schoo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Frontiers in psychiatry, 10(698), 1-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777005/
- Paz, V., Nicolaisen-Sobesky, E., Collado, E., et al. (2017). Effect of self-esteem on social interactions during the Ultimatum Game. Psychiatry Research, 252, 247-255.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16517811631037X
- Vanhalst, J., Luyckx, K., Scholte, R. H., Engels, R. C. & Goossens, L. (2013). Low self-esteem as a risk factor for loneliness in adolescence: Perceived-but not actual-social acceptance as an underlying mechanism.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1, 1067-1081. https://pubmed.ncbi.nlm.nih.gov/23661185/
- Wood, J. V., Giordano-Beech, M., Taylor, K. L., Michela, J. L., & Gaus, V. (1994). Strategies of social comparison among people with low self-esteem: self-protection and self-enhanc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4), 713-731. https://pubmed.ncbi.nlm.nih.gov/7965616/
- García, G., Belloch, A., & Castañeiras, C., (2010). Áreas en las que Basamos Nuestra Autoestima y su Influencia sobre el Bienestar Emocional: Validación de la escala de contingencias de la autoestima para su uso en castellano Revista Argentina de Clínica Psicológica, vol. XIX, núm. 1, abril, 2010, pp. 5-13. https://www.redalyc.org/pdf/2819/281921797001.pdf
- Cazan, A., & Dumitrescu, A., (2016).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RESILIENCE, SELF-PERCEPTION AND LOCUS OF CONTROL. ROMANIAN JOURNAL OFEXPERIMENTAL APPLIED PSYCHOLOGYRJEAP Vol 7. https://scholar.googleusercontent.com/scholar?q=cache:ccOdbWjmXusJ:scholar.google.com/+self+esteem+control+locus&hl=es&as_sdt=0,5&as_ylo=2014
- León, E., (2019). Procesos de autocrítica : crecimiento y destrucción. Relación de la autocrítica con el perfeccionismo y la autoestima. Universidad Pontificia. https://repositorio.comillas.edu/xmlui/handle/11531/31807
- Carrión, O., Sifuentes, B., (2018). Síndrome de Complacencia en estudiantes universitarios de Psicología. Revista Peruana de Psicología y Trabajo Social, [S.l.], v. 6, n. 2, p. 13-27, oct. http://revistas.uigv.edu.pe/index.php/psicologia/article/view/502